항목

  • 경제지수 經濟指數, economic indices
    경제 현상에 관한 통계량을 일정시점의 수치에 대해 환산한 지표이다. 대개 금리, 환율, 외환보유액, 소비자 물가지수, 주가지수, 조세부담률, 경상수지 등 8가지로 살펴볼 수 있다. 예를 들어 금리가 상승하면 예금이 늘어나고 대출자는 오른 이자만큼 돈을 더 내야 한다. 반면 금리가 하락하면 예금이 줄어들고, 대출...
    도서 다음백과
  • 경제고통지수 經濟苦痛指數, misery index
    고안한 경제지표로, 기상 용어인 불쾌지수의 개념을 차용해 만들었다. 기상에서 불쾌지수가 온도나 습도 등 기상요소들을 합해 얻은 결과라면, 고통지수물가상승률과 실업률, 국민소득증가율 등을 통해 일반 국민이 실제로 느끼는 경제적 체감도를 수치화하는 것이다. 물가상승률과 실업률을 합한 다음 소득증가율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제
  • 생산지수 生産指數, production index
    품목의 기준시점에 대한 비교시점의 생산수량의 변화를 산출하고, 각 품목의 생산액 또는 부가가치를 가중치로 해서 구할 수 있다. 금액의 변동을 나타내는 물가지수에 대응되며 생산수량의 동태적 변화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각 산업별로 작성되며 농업생산지수, 제조업 특수분류별 생산지수, 중소제조업생산지수 등...
    도서 다음백과
  • 가격지수 산출 가격 지수, output price index
    나타낸다. 상품에 따라 단가가 다르기 때문에 시간이 경과하면서 상품별 가격이 어느 정도 변했는지를 알고자 할 때 유용하게 쓰인다. 주로 수출입 가격지수나 국내 물가지수 등에 사용하는데, 각각 상품별 개별지수와 개별지수에 무게를 둔 가중평균종합지수로 구분하며, 후자는 매크로 경제 분석에 자주 이용한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제
  • 빅맥지수 Big Mac index
    변수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빅맥지수가 항상 정확한 현실을 반영하지는 못하지만, 시장 환율과 적정 환율 사이의 차이를 어느 정도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지수로 받아들여진다. 스타벅스 커피 가격에 기초해 작성되는 '라테지수' 역시 주요 국가의 물가 수준과 적정 환율을 비교하는 지수로 사용되고 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시사용어 , 경제
  • 경제고통지수 economic misery index
    경제고통지수물가상승률과 실업률을 합한 다음 소득증가율이나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을 빼 수치로 나타내는 것으로 국민이 피부로 느끼는 경제적인 삶의 질을 수치화한 것을 말한다. 경제고통지수는 오쿤의 법칙을 만들어 낸 미국의 경제학자 오쿤이 착안했다. 오쿤은 실업률과 소비자물가상승률이 국민의 삶에...
    도서 에듀윌 시사상식 | 태그 경제
  • 물가연동계수
    채권의 발행시점 대비 기준일까지의 물가변동을 나타내는 지수. 물가연동계수는 기준일의 참조지수를 발행일의 참조지수로 나누어 계산하며, 물가연동국채의 원금 및 이자지급액 산정에 사용된다.
  • 지표 · 지수 지표, 지수가 뚜렷하게
    지표와 지수를 다 포함하는 거야. 경제지표들은 딱 특정시기의 수치만 봐서는 현재 지표가 좋아지는지 아닌지 파악할 수 없어. 그래서 다른 시기와 비교해서 살펴보곤 해. 2012년 9월의 전월대비는 8월, 3분기의 전기대비는 2분기와 비교한 거야. "전월대비 3% 성장" 식으로 표현해. 전월대비와 전기대비는 연속된 흐름...
  • 생계비지수 Cost of living, 生活費
    생계비지수(生計費指數)는 물가지수의 일종으로, 가격변동을 가계의 입장에서 평가하려고 하는 것이다. 발생적으로는 일반 물가지수의 품목중에는 가계에 직접 관계가 적은 것이 있고 관계가 깊은 것이 제외되기도 하여 생계비지수가 작성된다. 가계에 있어서 생계비지수는 보다 중요하다고 인정되는 것의 가격변동이...
    도서 위키백과
  • 이마트 지수
    이마트가 자체 개발한 생활물가지수. 대형소매유통업체인 이마트가 판매하는 476개 상품군의 판매량 증감 수준을 분기별로 지수화한 것으로 100 이상이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소비가 늘었고, 100 미만이면 소비가 줄었다는 뜻이다.
  • 실질임금 實質賃金
    실질임금이란 구매력을 측정하기 위해 명목임금을 소비자물가지수로 나눈 것이다. 근로자가 노동의 대가로 받는 임금을 현재의 화폐단위로 표시한 것을 명목임금이라고 한다. 물가상승률이 명목상승률보다 더 높으면 실질임금은 오히려 줄어들어 실제 구매력은 감소하게 된다.
  • CRB지수
    국제적인 상품가격 조사회사인 CRB(Commodity Research Bureau)사가 만든 지수다. 원자재값의 하루하루 동향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상품지수물가의 움직임을 판단하는 데 좋은 자료가 된다. 천연가스 ・ 금 ・ 구리 ・ 니켈 ・ 설탕 ・ 커피 ・ 옥수수 ・ 밀 ・ 오렌지주스 ・ 돼지고기 등의 주요 원자재 선물가격을...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현재페이지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4건

수입물가지수
소비자물가지수
생산자물가지수
MB 물가지수
생활물가지수
소비자물가지수 개편
공식물가와 체감물가
물가관리 목표
신선식품지수
불황에 유행하는 립스틱과 넥타이
초고층 빌딩의 저주
GDP 디플레이터
근원 인플레이션율
소비자물가지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