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허성 공언(功彦), 許筬
    병조의 판서에 제수되었으며, 그 뒤 이조판서에까지 이르렀다. 1607년 선조의 유교(遺敎)를 받게 되어 세인들이 고명칠신(顧命七臣)이라 칭하게 되었다. 선조대에 학문과 덕망으로 사림의 촉망을 받았으며, 성리학에 조예가 깊었고 글씨에도 뛰어났다. 찬성에 추증되었다. 저서로는 『악록집(岳麓集)』이 있다. 참고문헌
    시대 :
    조선
    출생 :
    1548년(명종 3)
    사망 :
    1612년(광해군 4)
    경력 :
    이조참의, 대사간, 부제학, 이조참판, 전라도안찰사, 이조판서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대표작 :
    악록집(岳麓集)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양천(陽川)
  • 각종학교 各種學校
    설치 및 운영에 관한 사항은 교육부령으로 정하게 되어 있다. 교육부령에 명시된 각종학교 설치규정에 따르면 각종학교의 설치 주체가 개인의 경우 학식과 덕망이 있고 학교를 경영할 능력이 있는 자 만이 각종학교를 설치 운영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수업연한과 수업일수는 그에 준하는 정규학교 교육의 정도에 따라...
    시대 :
    현대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교육/교육
  • 거창 당산리 당송 居昌 棠山里 堂松
    해방, 그리고 1950년 한국전쟁 전에도 소리를 내어 울었다고 한다. 매년 음력 보름날에는 온 마을 주민이 함께 영송제를 올린 뒤 마을 대동회를 개최하고 덕망 있는 사람으로 유사를 선정하여 1년간 이 소나무를 보호, 관리토록 하고 있다. 당송은 원래 세 그루였으나 한 그루는 6.25 후 자연고사하고, 한 그루는 1955년...
    유형 :
    생물
    분야 :
    과학/식물
  • 대한민국학술원상 大韓民國學術院賞
    제14조 및 <학술원상시상규정> 제4조에 의거,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학술연구 또는 저작이 매우 우수하여 학술발전에 기여한 현저한 공로 및 학자로서의 덕망 등이 종합적으로 고려되고 있다. 선정과정은 분과회의 예심을 거쳐 5인 이상 13명 이하로 구성된(외부인사 포함) 부문별심사위원회의 심사와 종합심사위원회...
    시대 :
    현대
    성격 :
    수상(受賞)제도, 상
    유형 :
    제도
    시행일 :
    1955년
    시행처 :
    대한민국학술원
    분야 :
    정치·법제/법제·행정
  • 윤진 자경(子敬), 尹搢
    임명되었는데 남구만(南九萬)이 어전에서 “윤진은 학문과 인격이 훌륭하니 특별히 정성과 예로써 대우하여야 됩니다.”라고 한 것을 보면, 당시에 윤진의 덕망을 짐작할 수 있다. 1696년 경기관찰사로 임명되었으나 대신들의 진정으로 체대를 허락하여 전직에 유임되었다. 윤진은 관직에 있을 때 붕당을 타파시킬 것...
    시대 :
    조선
    출생 :
    1631년(인조 9)
    사망 :
    1698년(숙종 24)
    경력 :
    순창군수, 예조참의, 대사헌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대표작 :
    덕포유고
    성별 :
    분야 :
    종교·철학/유교
    본관 :
    파평(坡平)
  • 향임 鄕任
    감관을 겸임했기 때문에 감관에 임명되는 향임은 2~3명에서 10여 명이며 창고가 많은 곳에는 창감의 수효가 많았다. 좌수·별감은 향원 중에서 연령·인격·덕망 등을 기준으로 하여 천망(薦望)되었는데, 경재소 당상이 결재를 얻어 임명되었다. 조선 후기에는 경재소가 혁파되어 수령이 임명권을 가졌다. 그러나 실제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1910년대 한국문학에 영향을 준 사건, 대한 독립 선언서
    법리(法理)에 비추어 만국이 입증하여 합방의 무효를 선언 · 전파하여 너희의 죄악을 응징하여 우리의 권리를 회복한다.······ 우리 같은 마음, 같은 덕망의 2천만 형제 자매여! 단군 대황조(大皇祖)는 상제에게 좌우로 하명하고 우리들에게 기운(機運)을 내렸다. 세계와 시대는 우리에게 복리를 내리려 한다...
    시기 :
    1918년
  • 김종표 영조(永朝), 金宗杓
    隊伍典樂)으로 활약했다. 1877년 통명전(通明殿)의 진찬 때에는 등가에서 집사악사(執事樂師)의 직분을 맡았다. 1887년과 1892년 만경전(萬慶殿)과 강녕전에서의 진찬 때에도 그는 김종남·서홍범(徐鴻範)과 함께 집사악사로 활약했다. 덕망이 높아서 그의 초상화가 박연(朴堧)의 신실(神室)에 봉안되어 있다. 참고문헌
    시대 :
    근대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유형 :
    인물
    직업 :
    가야금명인
    성별 :
    분야 :
    예술·체육/국악
    본관 :
    경주(慶州)
  • 좌수 座首
    고을의 사족으로 나이 많고 덕망이 있는 사람을 선출하도록 했다. 정원은 읍격에 관계 없이 1읍에 1명이 원칙이었던 것 같다. 위상과 선출방식은 시기와 지역에 따라 큰 차이가 있다. 16세기에는 고을의 사족명부인 향안(鄕案)에 등록된 사람들이 모인 향회에서 선출했는데, 반드시 경재소 당상의 승인을 받고, 이임식...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신라 3대 유리왕 즉위
    죽고 아들이 유리왕으로 즉위했다(재위 24년~57년). 유리왕의 호칭은 ‘이사금’이었는데, 여기에는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전해진다. 유리는 남해왕이 죽자 덕망이 높은 탈해(신라 4대 탈해왕 즉위 참조)에게 왕위를 양보하려 했다. 그러자 탈해는 성스럽고 지혜가 있는 사람은 이가 많다며 시험해 보기를 청했다. 유리...
    시대 :
    24년
    재위 :
    24년~57년
    국가/대륙 :
    한국
  • 사상견례 士相見禮
    내용 사상견례는 청견(請見)·전지(傳贄)·반견(反見)·전언(傳言)·궤식(饋食)·빈출(賓出)·환지(還贄) 등의 절차로 나누어진다. 사상견은 연령·학문·덕망·지위 등이 서로 엇비슷한 사람들이 만나는 절차이므로 대등한 위치에서 대등한 대화로 이루어지는 것이 원칙이며, 신분·연령의 차이 등은 특별히 고려되지...
    성격 :
    유교의례
    유형 :
    의식행사
    분야 :
    종교·철학/유교
  • 이칙 숙도(叔度), 李則
    중함을 생각지 않는다고 복합(伏閤) 상소하였다가 한때 큰 노여움을 샀으나 기지로 위기를 넘겼다. 다음해 대사성을 거쳐 충청도관찰사로 나갔고, 1491년 동지중추부사, 1493년 평안도관찰사, 이듬해에 지중추부사가 되었다. 선견과 직언·덕망 등으로 당시 학자들의 존경을 받았다. 시호는 정숙(貞肅)이다. 참고문헌
    시대 :
    조선
    출생 :
    1438년(세종 20)
    사망 :
    1496년(연산군 2)
    경력 :
    승정원동부승지, 좌우부승지, 평안도관찰사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고성(固城)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현재페이지6 7 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