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서지 수지(綏之), 徐祉병으로 체임되었다. 1524년에는 황해도관찰사가 되었으나 공함(公緘: 공무에 관하여 주고 받는 문서)에 대한 답변문제로 유배되었다가 곧 풀려났다. 1530년 대사헌을 거쳐 형조참판·한성부우윤 등을 역임했으나, 이항(李沆)의 옥사에 대하여 대사헌으로서 정언(正言)들의 비판을 받자 체직을 주청하였고, 대간의 논척을...
- 시대 :
- 조선
- 출생 :
- 1468년(세조 14)
- 사망 :
- 1537년(중종 32)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이천(利川)
-
송성명 성집(聖集), 군집(君集), 宋成明되었고, 도목정사(都目政事: 관리들의 근무 성적을 평가하던 제도)을 실시하여 공조판서로 임명되었고 반송사(伴送使)로 활약하기도 하였다. 이듬해에는 대사헌·판윤·지의금부사(知義禁府事)·예문관제학 겸 예조판서를 거쳐 대사헌을 지냈다. 1735년에는 좌참판을 거쳐 함경도관찰사에 임명되었고 임기 동안 도내에...
- 시대 :
- 조선
- 출생 :
- 1674년(현종 15)
- 사망 :
- 1740년(영조 16)
- 경력 :
- 사헌부지평, 이조좌랑, 동부승지, 대사성, 형조참판, 공조참판, 도승지, 대사헌, 함경도관찰사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신
- 대표작 :
- 송석헌집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여산(礪山)
-
성세창 번중(蕃仲), 成世昌정광필(鄭光弼)이 영의정이 되면서 예조참판 · 이조참판이 되어 기묘사화에 죄를 입은 사람들을 등용시키는 데 힘썼다. 함경도관찰사를 거쳐 1530년 대사헌 · 홍문관부제학으로 있으면서 권신(權臣) 김안로(金安老)를 논척(論斥)하려다가 도리어 평해에 유배되었다. 그러다가 1537년 김안로와 그 일당이 숙청되면서...
- 시대 :
- 조선
- 유형 :
- 인물/전통 인물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장유 지국(持國), 張維파직되었다. 1623년 인조반정에 가담해 정사공신(靖社功臣) 2등에 녹훈되고 봉교를 거쳐 전적과 예조 · 이조의 낭관을 지내고, 그 뒤 대사간 · 대사성 · 대사헌 등을 역임하였다. 1624년(인조 2) 이괄(李适)의 난 때 왕을 공주로 호종한 공으로 이듬해 신풍군(新豊君)에 책봉되어 이조참판 · 부제학 · 대사헌 등을...
- 시대 :
- 조선
- 유형 :
- 인물/전통 인물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
-
채유후 백창(伯昌), 蔡裕後오르고, 이듬해에는 대제학으로서 『인조실록』 편찬에 참여하여 가자(加資)되었다. 이후 이조참판 겸 동지경연사(同知經筵事)를 역임하고, 여러 차례 대사헌을 거친 뒤 1657년 대제학으로서 『선조수정실록』 편찬의 책임을 졌으며, 곧이어 예조판서 · 우참찬에 승서되었다. 이듬해 이조판서에 오르고, 대제학을 8...
- 시대 :
- 조선
- 유형 :
- 인물/전통 인물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조박 趙璞관찰사로서 민심수습에 힘썼다. 1395년 군사를 점고하지 않고 변방에 대한 보고를 늦게 했다는 이유로 공주에 안치되었다가 다음 달에 석방되었다. 1398년 겸대사헌(兼大司憲)으로서 지경연사정당문학(知經筵事政堂文學) 하륜(河崙)과 함께 사서(四書)의 구절에 방점(傍點)하여 왕이 볼 수 있도록 하였다. 같은 해 10...
- 시대 :
- 조선
- 출생 :
- 1356년(공민왕 5)
- 사망 :
- 1408년(태종 8)
- 경력 :
- 개성유후사 유후(開城留後司留後), 호조판서, 동북면도제찰사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평양(平壤)
-
민종현 공기(公紀), 閔鍾顯개설 본관은 여흥(驪興). 자는 공기(公紀). 호는 한계(寒溪). 초명은 민종렬(閔鍾烈). 우참찬 민진후(閔鎭厚)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대사헌 민우수(閔遇洙)이고, 아버지는 민백겸(閔百兼)이며, 어머니는 이구(李絿)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766년(영조 42) 정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 1768년 문학(文學)이 되었다...
- 시대 :
- 조선
- 출생 :
- 1745년(영조 21)
- 사망 :
- 1798년(정조 22)
- 경력 :
- 문학, 교리, 우부승지, 형조참판, 대사성, 동지부사, 비변사당상, 예조판서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여흥(驪興, 지금의 경기도 여주)
-
이원 차산(次山), 李原데 협력한 공으로 1401년(태종 1) 좌명공신(佐命功臣) 4등에 책록되었다. 그 해 철성군(鐵城君)에 봉작되었고, 같은 해 공안부소윤(恭安府少尹)을 거쳐 대사헌으로 있을 때 순군(巡軍) 윤종(尹琮)을 구타한 죄로 한 때 파직되었다. 이듬 해 복직되어 경기좌우도도관찰출척사(京畿左右道都觀察黜陟使)가 되었고, 1403년...
- 시대 :
- 조선
- 유형 :
- 인물/전통 인물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박신 경부(敬夫), 朴信승추부좌부승지(承樞府左副承旨)로 기용되었다. 1401년(태종 1) 참찬관승지(參贊官承旨)로서 경연에 참가하기도 하였다. 1402년 대언(代言) · 사헌부대사헌에 특배(特拜)되고, 각도에 경차관(敬差官)을 파견해 곡식의 손실을 검사하자고 주청하였다. 다음 해에는 광주목사로 나아갔다가, 1404년 개성유후(開城留後...
- 시대 :
- 조선
- 유형 :
- 인물/전통 인물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