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능허관만고 凌虛關漫稿
    하동의 불일암(佛日庵), 합천의 해인사와 학사대(學士臺), 언양의 반구대(盤龜臺) 등 명승고적을 칠언절구로 묘사한 것이다. 권2∼4는 1749년에 부왕이 대리청정(代理聽政)을 교시(敎示)하였을 때 그 철회를 호소한 상소문과, 대리청정할 때 조정 군신(群臣)들의 소(疏)에 대한 비답(批答)과 판부(判付)를 모은 것이다...
    시대 :
    조선
    저작자 :
    장헌세자(莊憲世子)
    성격 :
    시문집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7권 3책
    분야 :
    종교·철학/유교
    소장/전승 :
    규장각 도서, 장서각 도서, 국립중앙도서관
  • 현구기사 玄駒記事
    죽음을 당한 임오년의 간지를 옛날식으로 표현한 데서 따온 것이다. 1728년(영조 4)효장세자(孝章世子 : 뒤에 眞宗으로 추존)의 죽음에서 1755년 왕세손의 대리청정에 이르는 내용이 실려 있다. 서문·발문 등은 없고, 편자가 보고 들은 내용을 시기순으로 편집한 형식을 취하였는데 상소문과 국왕의 전교문 등을 많이...
    시대 :
    조선
    저작자 :
    박종겸(朴宗謙)
    창작/발표시기 :
    영조 연간
    성격 :
    정치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책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소장/전승 :
    규장각 도서
  • 김창집 여성(汝成), 金昌集
    판윤·우의정, 이어서 좌의정에까지 이르렀다. 1712년에는 사은사로 청나라에 갔다가 이듬해 귀국, 1717년 영의정에 올랐다. 노론으로서 숙종 말년 세자의 대리청정을 주장하다가 소론의 탄핵을 받았다. 숙종이 죽은 뒤 영의정으로 원상(院相: 나이 어린 왕을 보필하던 재상급의 원로 관료)이 되어 온갖 정사를 도맡았다...
    시대 :
    조선
    출생 :
    1648년(인조 26)
    사망 :
    1722년(경종 2)
    경력 :
    정언, 지돈녕부사, 우의정, 좌의정, 영의정
    유형 :
    인물
    관련 사건 :
    기사환국, 신임사화
    직업 :
    문신
    대표작 :
    국조자경편, 몽와집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안동(安東)
  • 신임록 辛壬錄
    輝)가 그 부당함을 주장하는 소를 올림으로써 노론과 소론간의 대립이 노출된 사실을 기록하였다. 이어 그해 10월 7일 집의(執義) 조성복(趙聖復)이 세제대리청정(世弟代理聽政)을 요구하는 소를 올려 노·소론간의 대립이 격화되었으며, 같은해 12월 6일 사직 김일경(金一鏡) 등 7인이 조성복과 대리청정을 실행하고자...
    시대 :
    조선
    저작자 :
    조봉하(趙鳳夏)
    창작/발표시기 :
    1817년(순조 17)
    성격 :
    역사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책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소장/전승 :
    규장각 도서
  • 경헌집 敬軒集
    죄를 물어 포도대장과 형조당상을 파직하고, 강화유수 이광헌에게 삭직할 것을 명령한 내용이다. 「고시신특제교리영지(高時臣特除校理令旨)」는 익종이 대리청정한 이래 “언로(言路)를 열어야 한다.”라고 진언한 종부시정 고시신을 교리로 특진시킬 것을 명한 것이다. 「칙과장사습영지(勅科場士習令旨)」에서는 과거...
    시대 :
    조선
    저작자 :
    익종
    창작/발표시기 :
    조선 후기
    성격 :
    시문집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2권 6책
    분야 :
    종교·철학/유교
    소장/전승 :
    장서각 도서
  • 홍계적 혜백(惠伯), 洪啓迪
    그 뒤 대사성으로 복직하고, 곧 부제학·이조참의가 되었다가, 1720년 호조참의로 자리를 옮겼다. 1721년(경종 1) 대사헌에 올라 노론의 선봉으로 세제의 대리청정을 주장해 소론과 대립하였다. 그 해 강화유수가 되고, 경종의 세제 대리청정 교시를 철회하도록 하는 조신회의에 승지로 참석하였다. 부제학이 되어서는...
    시대 :
    조선
    출생 :
    1680년(숙종 6)
    사망 :
    1722년(경종 2)
    경력 :
    대사헌, 강화유수, 부제학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대표작 :
    수허재유고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남양(南陽)
  • 이건명 李健命
    로 청나라에 갔다. 그러나 그가 청에 간 사이 경종이 소론을 비호하는 태도를 취하자 김일경(金一鏡)을 중심으로 한 소론 과격파는, 세제대리청정을 요구한 조성복(趙聖復)과, 청정명령을 받들어 행하고자 한 노론4대신이 모역한다고 소를 올렸다. 이 일로 소론이 정권을 잡았고, 1722년 귀국한 그는 청나라에서 세제...
    출생 :
    1663(현종 4)
    사망 :
    1722(경종 2)
    국적 :
    조선, 한국
  • 소론 강경파의 정권 탈환 모의, 이인좌의 난 무신란(戊申亂)
    않게 여기고 있었다. 희빈 장씨에 대한 반감이 남아 있었고, 그럴수록 연잉군에 대한 기대도 컸다. 독대 직후 숙종은 안질 등 건강상의 이유를 들어 세자의 대리청정(代理廳政) 의사를 밝혔고, 이에 따라 세자 윤은 8월부터 숙종을 대신해 국정을 운영했다. 당시 세자 윤을 보호하던 소론은 숙종이 세자의 실책을 유도해...
    시대 :
    1728년
  • 기유처분 己酉處分
    2)에 발생한 옥사를 통칭한다. 경종 즉위 후 노론 측에서 건저(建儲) 논의를 통해 연잉군(延礽君)이 왕세제로 책봉된 뒤, 이들은 병약한 국왕을 대신해 대리청정을 추진하였고, 영의정 김창집(金昌集) 등이 연명으로 대리절목(代理節目)을 제정해서 국왕에게 보고하였다. 이를 ‘연차(聯箚)’라고 한다. 그러나 노론 측...
    시대 :
    조선 후기
    유형 :
    사건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노론 4대신 老論四大臣
    있었다. 영의정 김창집, 좌의정 이건명, 판중추부사 조태채 등의 노론영수들이 이에 찬성하고, 1721년(경종 2) 연잉군이 세자로 책봉되었다. 그후 세자의 대리청정문제로 노론과 소론은 다시 격렬하게 대립하였다. 그결과 세자의 청정은 취소되고, 그해 12월에 소론의 김일경(金一鏡) 등이 노론의 김창집 등을 '사흉...
  • 유상 최초의 천연두 전문의
    심하게 앓았다. 그는 어김없이 이 병을 돌보게 되었고 자신의 비방에 따라 병을 거뜬히 치료하자 또다시 수령직을 맡게 되었다. 그러자 사헌부에서는 대리청정하는 세자에게 이렇게 아뢰었다. 수령의 연한은 실로 나라에서 정한 바꿀 수 없는 법전이옵니다. 약방에서 들어가 성상을 진찰할 적에 어의 유상에게 수령을...
  • 자교소장 紫橋小藏
    기록이 수록되어 있다. 권5까지의 내용은 왕세제 책봉에 승리한 노론 세력이 다시 한 걸음 나아가 경종의 옥체가 편안하지 못하다는 것을 구실로 왕세제의 대리청정을 추진함으로써 노론과 소론의 정쟁이 절정에 달한 사실을 기록하였다. 이 밖에 경종의 친정을 명분으로 하는 소론 세력이 왕세제 대리청정을 추진하고...
    시대 :
    조선
    저작자 :
    미상
    창작/발표시기 :
    1721년(경종 1)
    성격 :
    정치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9권 9책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소장/전승 :
    규장각 도서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현재페이지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건

대리청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