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답사향곡 答思鄕曲내용 및 평가 내용은 “미산관 졔월당의/츈면이 몽농니/챵외예 더○ 달이/어 각이 되엿던고?”로 시작하여 “ 원망도 어 가고/회답을 못다 와/단문과 졸필노/일 오십뉵지팔/졀반으로 희기라”로 끝맺고 있다. 시누이가 「사향곡」에서 너무 친가를 그리워하니까, 그에 대하여 그리 친정 걱정만 하지 말고...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광산김씨
- 창작/발표시기 :
- 조선 후기
- 성격 :
- 규방가사
- 유형 :
- 작품
- 분야 :
- 문학/고전시가
- 소장/전승 :
- 국립중앙도서관
-
대한문전 大韓文典후사(後詞 : 조사) · 접속사 · 감탄사 등과 같이 8품사를 설정하여 각기 설명하였다. 제2편 문장론은 주어 · 설명어 · 객어, 주부와 객부, 설명부, 단문과 복문, 연구문(聯搆文) · 도치구(倒置句) · 호응구법(呼應句法) 등의 9개 항목으로 나누어 각기 설명하였다. 부론에서는 ‘축어법(縮語法)’이라 하여 축약...
- 시대 :
- 근대
- 유형 :
- 문헌
- 분야 :
- 언어/언어·문자
-
육지수 석전(石田), 陸芝修교수로 재직하였다. 경제학과 출신으로 경제지리학과 인구문제 연구에 주력하였다. 『경제지리학』·『통계학개론』 등의 저서가 있다. 또 20여 편의 논문과 단문(短文) 등을 모은 『석전육지수교수유고문집』을 남기고 있다. 학회활동으로는 대한지리학회의 창설회원으로 부회장을 역임하였고, 1960년 학술원 회원이...
- 시대 :
- 현대
- 출생 :
- 1907년
- 사망 :
- 1967년
- 경력 :
- 서울대학교 교수, 대한지리학회 부회장, 서울대학교 신문연구소장
- 유형 :
- 인물
- 직업 :
- 학자, 경제지리학자, 교육자
- 대표작 :
- 경제지리학, 통계학개론, 석전육지수교수유고문집
- 성별 :
- 남
- 분야 :
- 지리/인문지리
- 본관 :
- 옥천(沃川)
-
이본으로 본 한문 소설 베스트 10, 구운몽된다. 시집가신 첫 해에 돌아가셨기에 구체적인 자료가 없다. 책 말미에 “이 은 소셜노는 가히 볼만호기로 년 십칠 셰의 이권 을 번역오나 번시 은문이 단문와 글시 고약고 오 낙셔 만오. 보시는 이가 눌너 보시쇼셔”라는 기록이 있어 17세에 필사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로 미루어 보건대, 비교적 이른 나이의 처녀들...
-
우리 옛집 안방에 단아한 모습으로 있던 문갑이 가운데 외짝으로 만든 단문갑은 쌍문갑에 견주어 키가 크지요. 양쪽에 뚫린 공간은 두루마리나 편지를 꽂을 수 있게 한 것이며, 서랍과 문짝이 달려서 물건을 넣을 수 있게 한 공간에는 자물쇠를 채울 수 있게 해서 중요한 것들을 보관하게 했습니다. 그런가 하면 쌍문갑은 두 개가 한 조를 이루는 전형적인 문갑인데...
-
돈녕부 敦寧府판관 · 주부도 각각 1인씩을 줄였다. 1437년에는 소속 인원이 많아지는 것을 막기 위해 구체적으로 친척의 범위를 촌수로 제한해 관직을 제수하였다. 종성은 단문(袒免 : 상례 때 입는 시마복) 이상의 친족과 6촌자매 이상의 지아비까지 관직을 제수하였다. 왕비는 6촌 이상 친척과 4촌 자매 이상의 지아비까지, 이성은...
- 시대 :
- 조선
- 유형 :
- 제도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영주 소수서원 문성공 묘 榮州 紹修書院 文成公 廟놓아 종도리를 받치고 있다. 맞배지붕의 양측 박공에는 풍판을 달았다. 건물의 좌측과 뒷면에 장대석으로 축대를 쌓았으며, 사방에 돌담을 두르고, 정면에 외단문을 설치하고 우측에 협문을 두었다. 현황 소수서원 내의 주요 건물로, 보물로 지정되어 잘 보존되고 있다. 여기서는 매년 3월과 9월 초정일(初丁日)에...
- 유형 :
- 유적
- 분야 :
- 예술·체육/건축
-
숙옹유고 塾翁遺稿大雨)」·「증춘(贈春)」·「영위성류(詠渭城柳)」 등을 꼽을 수 있다. 권3의 「언지(言志)」는 사회의 여러 가지 모순을 적극 비판하지 못하고 현실에 안주하고 있는 학자적 양심을 표출한 작품이다. 잡저는 제목 없는 7편의 단문으로 이루어진 일종의 단상적(斷想的)인 수필인데, 주로 자신의 내면세계를 표현한 것들...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유흥룡
- 창작/발표시기 :
- 1734년
- 성격 :
- 시문집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4권 3책
- 간행/발행 :
- 유운우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소장/전승 :
- 국립중앙도서관, 규장각 도서
-
수정조선문법 修正朝鮮文法朝鮮語の先生, 1918)의 문법과 유사하나 그보다 1년 앞선다. 의의와 평가 문장론에서 밝힌 주동과 피동의 전환, 긍정과 부정의 전환, 의문과 서술의 전환, 단문과 복문의 전환, 복문과 중문의 전환 등의 문장구조의 전환과 동작의 호응, 시(時)의 호응, 반대의 호응, 미정(未定)의 호응 등의 호응법은 문법규칙을 바로...
- 시대 :
- 근대
- 저작자 :
- 안확(安廓)
- 창작/발표시기 :
- 1923년 4월
- 성격 :
- 문법서, 국어문법서
- 유형 :
- 문헌
- 간행/발행 :
- 경성 회동서관
- 분야 :
- 언어/언어·문자
-
만향정탐연록 晩香亭探硏錄치국(治國)·평천하(平天下)의 8조목으로 분류하여 학문의 근본으로 삼았다. 또한, 덕행(德行)을 건곤(乾坤)의 계사(繫辭)와 결부시켜 설명하고, 도를 출괘(出卦)·단문(彖文)·괘사(卦辭)와 설괘(說卦)에 붙여 일음일양을 체(體)로 삼고, 상사(象辭)와 점변(占變)을 용(用)으로 풀이하였다. 시는 공자의 찬역(贊易)을...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남정숙
- 성격 :
- 역학서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책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소장/전승 :
- 국립중앙도서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