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세종충무공이야기
    군사정책], [한글도서관] 총 6개의 전시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충무공이야기 전시장은 [성웅 이순신의 생애], [조선의 함선], [7년간의 해전사], [난중일기를 통해 본, 인간 이순신], [이순신의 리더십], [영상체험관] 총 6개의 전시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양한 체험 및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생생한 역사를...
    위치 :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대로 지하 175 (세종로)
  • 손인필 비각
    때 이원춘과 유해(柳海)가 나와 맞이했으며 일본군 토벌에 관해 이야기했다. 이날 저녁 이순신의 숙소에 손인필이 곡식을 들고 찾아왔다. 8월 3일자 난중일기는 손인필의 장남 손응남(孫應男)도 이른 감을 가지고 찾아왔다고 적었다. 손인필 부자는 이순신을 따라가 그 막하에서 활약하게 되었고, 이순신 장군이 떠난 후...
    소재지 :
    전라남도 구례군 구례읍 봉성로 127 (봉북리 260)
    지역 :
    구례
  • 방진관
    역사교육 방진관을 개관하였다. 방진관 입구 옆 담에는 충무공 이순신의 보성에서의 10일간 행적을 벽화로 조성하였으며, 방진관에도 보성과 연관 있는 난중일기 등 이순신 장군과 관련된 기록들이 전시되어 있다. 문화관광 해설사 신청은 관람일 3일 전까지 전화로 예약 시에만 이용이 가능하다. 참고문헌 https://www...
    위치 :
    전라남도 보성군 보성읍 새싹길 81-10
  • 조정 임진란 기록 일괄 趙靖 壬辰亂 記錄 一括
    明將)의 고시(告示)를 비롯해 격문 · 계초(啓草) · 비망기(備忘記) 등 임란관계 자료를 적은 것이다. 임진왜란에 관한 기록으로는 이순신(李舜臣)의 『난중일기』(국보, 1962년 지정), 유성룡(柳成龍)의 『징비록』(국보, 1969년 지정), 이탁영(李擢英)의 『정만록』(보물, 1986년 지정), 이로(李魯)의 『용사일기...
    시대 :
    조선
    유형 :
    문헌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나대용생가및묘소
    비롯하여 당포전, 당항포전, 견내량전, 안골포전, 노량대첩 등에서 혁혁한 공을 세웠고 쾌속정인 해추선을 발명하기도 했다. 이러한 사실은 충무전서 난중일기 조선왕조실록 등에서 뒷받침해 주고 있다. 묘소는 생가가 있는 마을에서 약 3km 떨어진 무평면 대도리 산기슭에 위치하고 있으며, 나대용 장군 생가에서 산...
    위치 :
    전라남도 나주시 문평면 오륜길 28-5
    문화재 지정 :
    전라남도 기념물 제26호(1977년 10월 20일 지정)
  • 이탁영 정만록 임진변생후일록(壬辰變生後日錄), 李擢英 征蠻錄
    있는데, 『조선학보』 제76집과 제77집에 각각 영인, 수록되었다. 의의와 평가 임진왜란에 관한 기록이 수십 종에 이르고 자필본으로 이순신(李舜臣)의 『난중일기』와 유성룡(柳成龍)의 『징비록』이 대표적이다. 그러나 이 책은 다른 기록에서 찾아볼 수 없는 당시의 적정과 아군의 병력 배치를 비롯한 전투 상황과...
    시대 :
    조선
    유형 :
    문헌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조선수군재건출정공원
    하나로마트 구례농협 본점 인근, 손인필의 옛 집터 자리에 난중일기 등 역사자료 고증에 따라 조선수군 재건의 여정이 담긴 벽화, 청동부조 조형물, 정자 등이 있는 조선수군재건출정공원이 조성되었다. 이 공원에 설치된 벽화에는 백의종군하던 이순신장군이 1597년 8월 3일 삼도수군통제사로 재임명된 이후부터 9...
    위치 :
    전라남도 구례군 구례읍 봉북리 258번지 일대
  • 반곡집 盤谷集
    敎旨), 유지(有旨), 도설(圖說), 세보(世譜)이며, 권2는 명(銘), 부(賦), 시이고, 권3은 사, 설, 서문, 기문, 집저이며, 권4는 연기(年記), 권5와 권6은 난중일기(亂中日記), 권7은 의절가례(儀節家禮), 권8은 의장록(義將錄), 서정록(西征錄), 권9는 부록이다. 발문은 후손 수칠이 썼다. 이 책에서 특히 주목되는 글은...
    시대 :
    조선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종교·철학/유교
  • 모충공원
    수 있다. 모자랑포는 임진왜란이 발발한 1592년 5월 29일, 최초 출전한 거북선을 앞세운 이순신 함대가 적선 13척을 분멸하고 이동하여 밤을 새운 곳으로 난중일기에 기록되어 있는 역사의 현장이다. 공원에는 초석 110㎝, 중대석 67㎝, 비석 212㎝ 크기의 이순신 장군 추모기념비가 있으며, 기념비 바로 옆에는 이순신...
    위치 :
    경상남도 사천시 송포동 산161-5
  • 제16회 대종상
    제16회 대종상의 시상식에 관한 내용이다. 난중일기 - 한진흥업 수상 집념 - 최인현 수상 집념 - 이은성 수상 난중일기 - 김진규 수상 고가 - 윤미라 수상 초분 - 윤일봉 수상 산불 - 선우용여 수상 집념 - 장석준 수상 집념 - 김희수 수상 문 - 서병수 수상 문 - 최창권 수상 난중일기 - 조경환 수상 난중일기 - 김성찬...
    도서 위키백과
  • 통영 한산도 이충무공 유적
    하였는데, 운주당을 비롯한 각종 공해, 창고와 부대 시설이 어느 정도의 규모로 어떻게 건립되었는지는 문헌상 명확한 기록이 없어 확인할 수는 없다. 현재 난중일기와 시조 및 한시 등이 전하는데 그중에서도 한산도에서 어느 날 밤 달을 보며 읊었던 [한산섬 달밝은 밤에]가 유명하다. 정유재란으로 한산 진영이 불타...
    위치 :
    경상남도 통영시 한산면 한산일주로 70
    문화재 지정 :
    [통영 한산도 이충무공 유적] 사적 제113호(1963.01.21 지정)
  • 명량대첩해전사 기념전시관
    건물이다. 전시 공간은 크게 진입부인 웰컴존과 상설전시실, 기획전시실, 영상실, 옥외공간으로 나누어지며 1층, 3층, 2층, 1층 순서로 관람한다. 1층에는 난중일기의 명량해전 역사 속으로 들어가는 웰컴존과 4D 입체영상관, 울둘목 영상실과 쉼터 등이 있으며 3층에는 세계의 해전사와 역사에 기록된 명량대첩, 시대별...
    위치 :
    전라남도 해남군 문내면 관광레저로 12 전라우수영명량대첩공원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현재페이지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23건

이순신 난중일기 및 서간첩 임진장초 / 이순신 난중일기
이순신 난중일기 및 서간첩 임진장초
이순신 난중일기 및 서간첩 임진장초 / 속정유일기
이순신 난중일기 및 서간첩 임진장초 / 임진일기
이순신 난중일기 및 서간첩 임진장초 / 임진일기
이순신 난중일기 및 서간첩 임진장초 / 무술일기
이순신 난중일기 및 서간첩 임진장초 / 병신일기
이순신 난중일기 및 서간첩 임진장초 / 갑오일기
이순신 난중일기 및 서간첩 임진장초 / 계사일기
이순신 난중일기 및 서간첩 임진장초 / 정유일기
이순신 난중일기 및 서간첩 임진장초 / 난중일기
이순신 난중일기 및 서간첩 임진장초 / 난중일기 표지
《난중일기》
이충무공전서 / 난중일기
난중일기(乱中日記)
난중일기 중 일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