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무릅쓰고 기어올라가 철쭉을 꺾어다 주고 다음과 같은 「헌화가(獻花歌)」를 지어바쳤다 한다. “자주빛 바위 끝에, 잡으온 암소 놓게 하시고 를 아니 부끄려하시면, 을 꺾어 받자오리이다(紫布巖乎邊希執音乎手母牛放敎遣 吾肸不喩摲肸伊賜等 花肸折叱可獻乎理音如).”(양주동 해석) 작약과 제국공주 옛날부터 중국...
    유형 :
    개념
    분야 :
    과학/식물
  • 여름
    있다. 이 역시 호젓한 산 속의 은은한 맛을 상징한다. 불교에서 말하는 사라쌍수(沙羅雙樹)가 이것인데 부처님의 열반에 관계되는 이다. 산기슭 또는 산허리 쪽에 드문드문 나무로서 층층나무와 산딸나무가 있다. 두 수종은 모두 같은 속에 속한다. 층층나무에 이 필 때에는 산허리에 걸린 폭포수를 연상...
    유형 :
    개념
    분야 :
    지리/자연지리
  • 나도닭의덩굴 Fallopia convolvulus, 卷茎蓼
    생물 분류 나도닭의덩굴은 유럽과 서아시아 원산의 귀화식물로, 한반도 각처의 들에 는 덩굴성 한해살이풀이다. 길이는 40~100cm 정도이다. 전체에 털이 없이...4.5cm이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녹색, 잎집 모양의 턱잎은 원통형이다. 은 가지 끝이나 잎겨드랑이에 달리는 짧은 이삭꽃차례이고, 꽃받침은 5장, 수술...
    도서 위키백과
  • 가루받이와 가루받이매개체
    갖고 있어 꿀을 빨아먹기 위해 잘 적응되었다. 은 밝은 색이며 강한 냄새를 띤다. 나비는 낮에 피는 위에 가볍게 앉아서 꿀을 섭취하나, 나방은 밤에 피는 에 앉지 않고 는 채로 꿀을 빨아 먹을 수 있다. 바람 바람은 겉씨식물의 전형적인 가루받이 매개체이지만 많은 속씨식물, 예를 들면 자작나무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생물
  • 선투구 초오두(草烏頭)
    달린 잎이 거의 3개로 갈라지는데 옆의 갈래 조각은 다시 2개로 갈라진다.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있으며 양면 맥 위에 긴 털이 드문드문 있는데 특히 앞면에 많다. 7~8월에 황색으로 피는데 줄기 끝에 총상 꽃차례를 이루며 달린다. 작은 꽃자루에 꼬부라진 털이 촘촘히 난다. 꽃잎 같은 꽃받침이 5장 있는데...
    학명 :
    Aconitum umbrosum
    분포지역 :
    중부 이북
    자생지역 :
    고산 지대
    번식 :
    약효 부위 :
    덩이뿌리
    생약명 :
    초오(草烏)
    키 :
    1m 정도
    과 :
    미나리아재빗과
    생활사 :
    여러해살이풀
    채취기간 :
    10월
    취급요령 :
    햇볕에 말려 쓴다.
    특징 :
    따뜻하며, 맵다.
    독성여부 :
    있다.
    1회 사용량 :
    1~3g
    주의사항 :
    독성이 있으므로 복용시 주의한다.
    동속약초 :
    투구꽃·이삭바꽃·지아비꽃·세잎돌쩌귀
  • 1920년대를 대표하는 한국 문학가, 김소월 슬픔과 한의 민족 시인
    시집을 낸다. 그는 이 시기의 여느 작가들과 달리 서구 사조의 모방이나 유행에 휩쓸리지 않고 자신의 색채와 목소리를 낸다. 김소월, 「진달래」 전문, 『개벽』(1922) 보기가 역겨워 / 가실 때에는 / 말없이 고이 보내드리오리다 // 영변에 약산 /진달래 / 아름 따다 가실 길에 뿌리오리다 // 가시는 걸음 걸음...
    출생 :
    1902년
    사망 :
    1934년
  • 가루받이 수분, pollination
    위해 암술머리가 매우 길게 자라거나 몇 개로 갈라져 면적을 넓히고 있으며, 1종의 식물들이 빽빽하게 모여 자란다. 바람에 의해 가루받이가 일어나는 들은 대개 매우 작고 향기 색깔, 곤충을 끌어들이는 화밀이 없다. 열대지방에서는 새도 중요한 가루받이 매개자 중의 하나이다. 많은 새들이 에서 만들어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식물
  • 진달래 진달내ᄭᅩᆺ
    구분되는 ‘에로스의 정치로서 저항의 시적 의의를 지닌 것’(조혜진)으로 해석한다. 그리고 당대의 담론을 이끌어가는 주체로 ‘님’을 설정하여, 「진달래」에서 사랑의 의미를 ‘님’의 가정(假定)된 이별 선언 앞에 ‘’의 결의를 드러내면서 스스로 자유 주체가 되는 것(박군석)으로 설명한다. 특징 이양하는...
    시대 :
    근대
    유형 :
    작품/문학
    분야 :
    문학/현대문학
  • 산국 개국화, 山菊
    잎은 어긋나며, 줄기 아래쪽 잎은 넓은 난형, 5갈래로 깊게 갈라진다. 갈래는 난형 또는 피침형, 끝이 둔하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잎 양면은 짧은 털이 난다. 은 9-11월에 줄기와 가지 끝에서 머리모양이 모여서 산형꽃차례처럼 달리며, 노란색, 향기가 좋다. 열매는 수과이다. 형태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분류 :
    현화식물문 > 목련강 > 국화목 > 국화과 > 산국속
    서식지 :
    산지의 숲 가장자리, 길가
    학명 :
    Dendranthema boreale (Makino) Ling ex Kitam.
    국내분포 :
    전국
    해외분포 :
    중국, 일본
  • 15세기 원예실용서, 양화소록 선비가 꽃을 키우는 법
    의 장부라는 소나무는 곳곳이 겨울에도 시들지 않는 지조로 온갖 과 나무 위에 홀로 솟아나 있으니 이미 더할 것이 없다네. 그 나머지 은일(隱逸)의 국화와...눈으로 보고 마음으로 체득해야지, 버리거나 멀리할 수 없는 것이라네. 저들이 지닌 풍모를 의 덕으로 삼는다면 이익이 되는 것이 어찌 많지 않겠는가? 또...
  • 나도사프란 Zephyranthes carinata, サフランモドキ
    생물 분류 나도사프란은 수선화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멕시코 원산이다. 붓꽃과에 속하는 사프란과 비슷하다고 나도사프란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을 보려고 기르는 관상 식물이다. 키는 30센티미터 정도이며, 비늘줄기에서 5~7개의 난처럼 납작하고 길쭉한 잎이 나온다. 은 여름에 피는데 바깥 쪽에 있는 잎...
    도서 위키백과
  • 담자리나무 모전화수, Dryas octopetala var. asiatica
    가지를 내어 옆으로 자라며 식물체가 거의 땅에 달라붙어 있다. 잎은 어긋나지만 모여 나는 것처럼 보이고 길이는 약 1~2cm이며 앞뒤에 하얀 털이 잔뜩 있다. 은 하얀색이며 길이 약 5cm 되는 꽃줄기 위에 1송이씩 핀다. 꽃잎과 꽃받침잎은 각각 여덟 장이며 의 지름은 약 2~3cm이다. 이 지고 나면 하얀색 털이...
    분류 :
    속씨식물 > 쌍떡잎식물강 > 장미목 > 장미과
    원산지 :
    아시아 (대한민국,중국,일본)
    서식지 :
    고산 풀밭
    꽃색 :
    흰색
    크기 :
    약 5cm
    학명 :
    Dryas octopetala var. asiatica
    꽃말 :
    여심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현재페이지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건

나도잠자리란, 꽃(확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