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아버지와 두 아들, 유찬희 ・ 유기문 ・ 유기석 광복을 위해 목숨을 건 불꽃같은 삶단체인 남화한인청년연맹, 흑색공포단 등에 가입하여 요인 암살, 기관 파괴, 친일파 처단 등의 의열투쟁으로 항일의식을 고취하였고, 1940년대에 광복군을 초모하기 위한 활동을 전개하였다. 2020년 5월 가정의 달에 세 부자가 이달의 독립운동가로 선정된 것은 그 의미가 특별히 깊다. 아버지와 아들의 민족을 위한...
- 출생 :
- 유찬희 1884년 8월 8일, 유기석 1905년 1월 12일, 유기문 1910년
- 사망 :
- 유찬희 1930년 2월 13일, 유기석 1980년 11월 27일, 유기문 미상
- 포상훈격 :
- 유찬희 2010년 건국훈장 독립장, 유기석 2008년 건국훈장 독립장, 유기문 2010년 독립훈장 애족장
-
김성환 송암, 金聖煥허점(許店)에 주둔한 중국군 유격대(대장 吳漢民)에 투항하였다. 여기서 중국군 유격대 본부가 있는 푸양(阜陽)으로 이동해 머물렀다. 그러다가 한국광복군에서 파견된 장조민(張朝民)의 안내로 1944년 6월 30일 안후이성 린취안(臨泉)으로 이동하였고, 한국광복군 제3지대 대원으로 편입되었다. 린취안에 있던 한국...
- 출생 :
- 1919년 12월 8일, 평안남도 강서(江西)
- 사망 :
- 1993년 11월 15일
- 관련 사건 :
- 학병 강제징집
- 본관 :
- 김해(金海)
- 주요활동 :
- 1944년 일본군 강제징집, 한국광복군 입대, 1945년 한국광복군 제2지대, OSS 제1기 훈련 수료, 국내정진대 경상도반 1조 편성
- 포상훈격 :
-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
- 관련 인물/단체 :
- 평양 제42부대, 한국광복군 제2지대, OSS
-
대동청년단 大同靑年團한 광복군 국내 지대를 조직하게 하였고, 이들을 중심으로 하여 청년단체의 조직에 착수하였다. 이때 통합에 호응한 단체는 32개로서, 같은 해 8월서울 충무로에 있는 광청회관(光靑會館)에서 각 단체 대표자들이 회합하여 대동청년단준비위원회를 구성하였다. 이 준비위원회 임원으로는 위원장 지청천, 부위원장 이선근...
- 시대 :
- 현대
- 설립 :
- 1947년
- 성격 :
- 사회운동단체, 청년단체
- 유형 :
- 단체
- 해체 :
- 1948년
- 설립자 :
- 지청천(池靑天)
- 분야 :
- 정치·법제/정치
-
김창일 金昌日, 金昌一사령부 ・ 군영(軍營)을 설치하고, 오직 군사적 목적만을 수행할 특수부대인 광복군총영(光復軍總營)을 조직하였다. 이 같은 편제를 가진 광복군의 사령부 부원...三屯子) ・ 봉오동(鳳梧洞) 등에서 대대적으로 물리치는 등 활발한 활동을 전개하였다. 이 같은 상황이 이어지자 일제는 1920년 10월 2만 여명의 대병력을...
- 출생 :
- 미상
- 사망 :
- 1920년 12월 20일
- 관련 사건 :
- 경신참변(간도참변)
- 주요활동 :
- 경술국치 후 부인과 함께 서간도로 망명해 독립군기지 개척 참여, 1920년 광복군사령부 대원으로 활동하다 간도참변(경신참변)시 사망
- 포상훈격 :
- 1995년 건국훈장 애국장
- 관련 인물/단체 :
- 광복군총영
-
항일독립전선의 샛별이 된 호가장 전투의 영웅들, 손일봉 ・ 최철호 ・ 박철동 ・ 이정순 孫一..한 것이다. 게다가 그 전투는 정규군 전투요원이 아닌 유격대식 선전공작대의 활동 중에 벌어진 것인데도 의용대는 적을 물리쳐, 일본군의 사기를 한껏 꺾어...큰 자신감을 갖는 계기가 되었다. 그렇게 호가장 전투는 조선의용군과 한국광복군이 독립전선에서 마침내 거두게 될 최종적 승리를 예고해줌과도 같은 것...
- 출생 :
- 손일봉 1912년, 의주최철호 1915년, 대전박철동 1915년, 충북이정순 1918년, 벽동
- 사망 :
- 손일봉 1941년최철호 1941년박철동 1941년이정순 1941년
- 포상훈격 :
- 손일봉 1993년 건국훈장 애국장최철호 1993년 건국훈장 애국장박철동 1993년 건국훈장 애국장이정순 1993년 건국훈장 애국장
-
윤기섭 중규, 尹琦燮주석으로 피선되었다. 그해 8월 20일 임시정부 외무부 외교연구위원에 선임되었고, 1943년 군무부차장에 취임하여 중국정부가 한국광복군의 활동을 제약하던 이른바 ‘한국광복군 행동9개준승’의 철폐에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1944년 6월 1일 임시정부 국무회의에서 생활위원회 위원장으로 선임되어 독립운동가 및 그...
- 출생 :
- 1887년 4월 4일, 경기 파주(坡州)
- 사망 :
- 1959년 2월 27일
- 본관 :
- 해평(海平)
- 주요활동 :
- 1909년 신민회 가입, 1911년 서간도 망명 후 경학사 ・ 신흥학교 등 설립, 1920년 임시의정원 서간도 의원, 1922년 한국노병회, 1923년 임시의정원 의장 역임, 임시정부 국무원, 내무장, 군무장, 한국독립당, 한국혁명당, 민족혁명당 중앙집행위원, 임시의정원 경기도의원 활동
- 포상훈격 :
- 1989년 건국훈장 대통령장
- 관련 인물/단체 :
- 신민회, 경학사, 대한민국 임시정부, 한국노병회, 한국독립당, 한국혁명당, 민족혁명당
-
나월환 송죽, 羅月煥성장해가던 제5지대는 구심점을 잃었을 뿐 아니라, 광복군 전체에 큰 동요와 혼란을 초래하였다. 핵심 간부들이 중국 당국에 붙잡혀 활동이 마비됨으로써, 광복군 제5지대의 활동은 크게 위축될 수밖에 없었다. 김원봉(金元鳳)이 이끌던 조선의용대의 광복군 합류에 맞춰 같은 해 4월 1일 기왕의 제1지대 ・ 제2지대와...
- 출생 :
- 1912년 10월 14일, 전라남도 나주(羅州)
- 사망 :
- 1942년 3월 1일
- 본관 :
- 나주(羅州)
- 주요활동 :
- 1939년 한국청년전지공작대 대장, 한국광복군 제5지대장
- 포상훈격 :
-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
- 관련 인물/단체 :
- 남화한인청년연맹, 한국청년전지공작대, 한국광복군
-
청산리전투의 잊혀진 영웅, 박영희 朴寧熙, 박두희(朴斗熙)1910년대 만주지역에서 조직된 대표적인 독립군 양성기관으로 이 학교출신들은 서로군정서 ・ 북로군정서 ・ 의열단 ・ 광복군 등에서 활동하였다. 그 가운데 박영희는 북로군정서에서 활동한 대표적인 신흥무관학교 출신 중의 한 사람이 되었다. 1919년 국내에서 3・1운동이 일어나자 많은 애국청년들이 압록강을 건너...
- 출생 :
- 1896년 12월 28일, 충청남도 부여
- 사망 :
- 1930년
- 포상훈격 :
- 1977년 건국훈장 독립장
-
김구 나의 소원은 통일바로 광복군을 승리의 군대로 조국 땅에 상륙시키지 못한 것이요, 또 임시정부가 국제적으로 인정을 받은 승전국 정부가 되어 귀국하지 못한 것이다. 김구는 임시정부에 정통성이 부여되기를 바랐으나 모든 것이 수포로 돌아갔다. 그는 개인 자격으로 만강의 비분을 안고 해방된 몇 달 뒤 미군정사령관 하지가 보내준...
- 출생 :
- 1876. 8. 29
- 사망 :
- 1949. 6.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