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이원기 李源祺
    1927년 조선은행 대구지점 투탄의거(投彈義擧)에 두 형제와 함께 관련되어 일본경찰에 잡혀, 대구형무소에서 3년간 복역하였다. 그 뒤 1930년 대구시내에 배일격문(排日檄文)을 산포한 대구격문사건에 관련되어 검속되었다가 출옥하였으며, 1934년 지하활동중 유고(遺稿) 때문에 다시 검속되어 복역하였다. 상훈과 추모...
    시대 :
    근대
    출생 :
    1899년
    사망 :
    1942년
    경력 :
    애국장(1990년)
    유형 :
    인물
    직업 :
    독립운동가
    성별 :
    분야 :
    역사/근대사
    본관 :
    진성(眞城)
  • 서대문감옥 여옥사 8호 감방의 여성독립운동가들, 권애라 ・ 심영식 ・ 임명애 ・ 신관빈 權愛..
    24세의 청년 김선명과 함께 ‘3월 28일 만세 시위를 일으킬 테니 모두 둥글봉으로 모이라, 만약 이에 불응하면 방화할 것이다’라는 내용의 격문 60여 매를 인쇄했다. 염규호가 격문 내용을 작성했고 김수덕이 등사판을 가져와서 인쇄했다. 염규호 ・ 김선명 ・ 김창실은 격문을 당하리 일대의 주민에게 배포했다. 거사...
    출생 :
    권애라 1897년 2월 2일, 경기도 강화심영식 1896년 7월 15일, 개성임명애 1886년 3월 25일, 경기도 파주신관빈 1885년 11월 10일, 황해도 봉산
    사망 :
    권애라 1973년심영식 1983년임명애 1938년신관빈 미상
    포상훈격 :
    권애라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심영식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임명애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신관빈 2011년 건국훈장 애족장
  • 박기영 朴琪永
    회장에 추대된 뒤 장병준(張炳俊)을 상해대한민국임시정부에 파견하여 국내의 정세를 보고하게 하고 상호연락을 도모하게 하였으며, 군자금을 모집하고 격문을 살포하는 등 독립운동을 계속하였다. 1920년 3월 1일 3·1운동 1주년 기념행사로 유진상(兪鎭商)의 집에서 국권회복을 위한 방법을 협의하고, 격문을 인쇄하여...
    시대 :
    근대
    유형 :
    인물/근현대 인물
    분야 :
    역사/근대사
  • 박동식 춘실(春實), 朴東植
    1905년 을사조약이 강제체결되자 무주 · 장수 · 진안 · 용담(龍潭) 등지에서 국가존망의 때에 모두 분발하여 사심을 버리고 나라를 구하자는 격문을 배포하였다. 이 격문을 보고 모인 의병 52명을 이끌고 용담 구봉산(九峰山)에서 일본군과 접전하여 많은 전과를 올렸으며, 1906년 문태서(文泰瑞)의 의병대와 합세...
    시대 :
    근대
    유형 :
    인물/근현대 인물
    분야 :
    역사/근대사
  • 나해봉 응서(應瑞), 羅海鳳
    이 합격자 명단에서 빼버렸다. 1623년(인조 1) 인조반정으로 경기전참봉(慶基殿參奉)에 임명되었으나 부임하지 않았고, 이듬해 이괄(李适)의 난이 일어나자 격문을 돌려 의병을 모집하였다. 1629년 동당 별시에 급제, 별제(別提)를 지낸 뒤 병자호란 때 다시 격문을 돌렸다. 장유(張維)와는 진사동방(進士同榜)으로서...
    시대 :
    조선
    출생 :
    1584년(선조 17)
    사망 :
    1638년(인조 16)
    경력 :
    별제
    유형 :
    인물
    직업 :
    시인, 의병장
    대표작 :
    남간집, 남간집선, 계간수창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나주(羅州)
  • 권세연 조원(祖源), 權世淵
    격분한 안동지역 의병들은 안동관찰부를 점령하고, 유지호(柳止浩)·김흥락(金興洛) 등 참모진은 권세연을 안동의 의병장으로 추대하였다. 이에 권세연은 격문을 발표하여, 각지의 의병부대와 긴밀한 연락을 취하고 민심을 크게 격려, 고무시켰다. 이 격문에는 침략자 일본에 대한 적개심과 거기에 부화뇌동하는 자에...
    시대 :
    근대
    출생 :
    1836년(헌종 2)
    사망 :
    1899년(고종 36)
    유형 :
    인물
    관련 사건 :
    민비시해사건, 단발령
    직업 :
    의병장
    성별 :
    분야 :
    역사/근대사
    본관 :
    안동(安東)
  • 광주 학생운동 학생들이 주도한 최대의 민족운동
    가운데 학생투쟁지도본부는 광주고보와 광주여고보, 광주농업학교 등의 독서회원과 협의를 거쳐 광주 지역의 장날인 11월 12일에 2차 시위를 벌이기로 하고, 격문과 행동요령 등을 논의하였다. 학생투쟁지도본부는 또 광주에서의 학생운동을 전국적으로 확산시키고 일사불란한 시위를 지도하기 위해 내부적으로 직무를...
    시대 :
    1929년
  • 유도 용제(用濟), 柳棹
    정이(程頤) 형제와 같다고 추앙하였다. 생애 및 활동사항 1633년(인조 11) 생원시에 합격하였고, 1636년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형 유집과 함께 격문을 돌리고 창의하였는데, 격문에 감동한 청장년 수백 명이 모여들자 군량을 모아 진군하였으나 과천에 이르러 화해하였다는 비보를 듣고 북녘을 바라보며 통곡하였다. 고향...
    시대 :
    조선
    출생 :
    1604년(선조 37)
    사망 :
    1663년(현종4)
    유형 :
    인물
    직업 :
    학자
    대표작 :
    반곡유고
    성별 :
    분야 :
    종교·철학/유교
    본관 :
    문화(文化)
  • 농포집 農圃集
    혁교가 중간했다. 권두에 민우수의 서문과 김익용(金益容)의 중간서가 있고, 권말에 상점·혁교, 송병선의 발문이 있다. 권1·2에 시, 권3에 전문·여문·격문·장계·순영첩보, 권4~7에 부록으로 서·계·소·교서 등이 실려 있다. 〈격문〉은 임진왜란 때 함경도의 수령들과 사민들에게 국가의 위급을 호소하여 의병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황종화 黃鍾和
    개설 경상남도 진주 출신. 생애 및 활동사항 1919년 3·1운동 당시 경상남도 각지를 순회하면서 만세시위운동에 가담하여 독립선언문과 격문 등을 배포하여 각 지방에서의 만세운동을 선동하였다. 같은 해 4월 이운형(李運衡)·이영봉(李永鳳)·김규열(金圭烈) 및 임시정부 요원 강태동(姜泰東)·이정규(李丁奎)와 접선...
    시대 :
    근대/일제강점기
    출생 :
    1878년(고종 15)
    사망 :
    1950년
    유형 :
    인물
    직업 :
    독립운동가
    성별 :
    분야 :
    역사/근대사
  • 창의견문록 倡義見聞錄
    내용 길이 34㎝, 너비 23.5㎝, 64면 모필. 견문록이라는 제목과는 달리 의병격문을 비롯하여 서신·조칙 등이 수록되어 있는데, 유인석 명의의 격문은 실제 이정규가 집필한 것으로 추정된다. 주요내용은 유인석의 「격고팔도열읍(檄告八道列邑)」·「격고내외백관(檄告內外百官)」·「환국지초산진정대죄소(還國至楚...
    시대 :
    근대/개항기
    성격 :
    의병록
    유형 :
    문헌
    분야 :
    역사/근대사
    소장/전승 :
    이영호(개인소장)
  • 최치원 〈토황소격문〉 집필
    당나라의 신라 유학생 최치원이 반란군 대장 황소를 꾸짖는 서릿발 같은 격문을 써서 이름을 날렸다. 최치원이 ‘황소를 토벌하는 격문’이라는 뜻의 「토황소격문」을 쓴 것은 황소의 난 토벌대장인 고변의 종사관으로 채용됐기 때문이다. 「토황소격문」에는 “천하 모든 사람이 다 너를 죽이려 할 뿐 아니라 땅속의...
    시대 :
    879년
    국가/대륙 :
    한국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현재페이지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30건

격문
병인양요 격문
유인석의격문/재격백관문/을미의병
이강년 격문
의열단 격문
이강년 격문
의열단격문
선동격문
송사문집 / 격문
광주고보 맹휴 격문
광주학생의거 격문
광주학생항일운동 격문
대판 조선노동조합 격문(1929)
대판 조선노동조합 격문(1929)
포충사 고경명 문적 「마상격문」
3・1운동 격문(경남 통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