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1920년대를 대표하는 한국 문학가, 홍명희 선비이자 자유주의 작가
    1928년에 연재가 시작된 홍명희(洪命熹, 1888~1968)의 소설 「임꺽정」은 피지배 계층의 다양한 인물과 성격, 사건을 버무려 막힘 없이 이야기를 끌고 나간다. 언뜻 보면 조선 시대에 허균이 지은 「홍길동전」의 구조를 떠오르게 하지만, 실록을 바탕으로 인물과 사건을 정밀하게 그려낸 점에서 터무니없는 과장을 일삼...
    출생 :
    1888년
    사망 :
    1968년
  • 홍명희 벽초, 洪命熹
    소설가∙사회운동가 .일제강점기에 〈임꺽정 林巨正〉을 발표하여 한국 역사소설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일제강점기에 〈임꺽정 林巨正〉을 발표하여 한국 역사소설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호는 벽초(碧初)·가인(假人:또는 可人)·백옥석(白玉石). 아버지 범식(範植)과 어머니 윤씨 사이의 4남 중 맏아들로 태어...
    출생 :
    1888(고종 25), 충북 괴산
    사망 :
    1968. 3. 5, 평양
    국적 :
    북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가
  • 홍명희 가인(可人), 洪命憙
    홍명희는 일제강점기, 장편 역사소설 『임꺽정』을 저술한 소설가이자 언론인·정치인·사회운동가이다. 육당 최남선·춘원 이광수와 함께 ‘조선 삼재(三才)’로 손꼽히는 인물로, 일제강점기 민족운동 단체인 신간회의 창립을 주도한 민족운동가이자, 통일 정부 수립 운동에 힘쓴 민족지도자이기도 하다. 월북 후 북한...
    시대 :
    근대
    유형 :
    인물/근현대 인물
    분야 :
    문학/현대문학
  • 홍명희 서민 문학의 정수 《임꺽정》의 저자
    아버지와 아들이 맞담배질을 하다니 북한에서 역사연구와 국역사업에 일생을 바친 홍기문(洪起文)은 바로 소설 《임꺽정》의 작가로 널리 알려진 홍명희(洪命熹, 1888~1968)의 아들이다. 또한 《황진이》를 써 화제를 불러일으킨 소설가 홍석중은 홍명희의 손자요 홍기문의 아들이다. 이들 부자에게 다음과 같은 일화가 ...
    출생 :
    1888년
    사망 :
    1968년
  • 홍명희 Hong Myong-hui, 洪命熹
    다른 뜻공직자 정보 홍명희(洪命憙, 1888년 5월 23일 ~ 1968년 3월 5일)는 독립운동가 이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이다. 해방 후 1948년 월북하여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으로도 활동했다. 1948년 9월부터 1962년까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내각 부수상과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의 초대, 제3...
    도서 위키백과
  • 괴산 홍범식 고가(벽초 홍명희 생가)
    충북 괴산군 괴산읍 동부리에 있는 이 고가는 역사소설 임꺽정의 작가 벽초 홍명희(1888∼1968)의 생가이다. 정남향으로 지어진 건물의 안채 구조는 전체적으로 정면 5칸·측면 6칸의 [ㄷ]자형으로 [一]자형 광채를 맞물리게 하여, 광채를 합한 안채는 [ㅁ]자형이다. 사랑채는 좌측에 위치해 있으며, 전체적으로 뒷산의...
    위치 :
    충청북도 괴산군 괴산읍 임꺽정로 16
    문화재 지정 :
    충청북도 민속문화재 제14호(2002년 12월 20일 지정)
  • 홍명희 〈임꺽정〉 연재 장편 역사소설이 조선일보에 연재되다
    11월 21일, 홍명희가 『조선일보』에 장편 역사소설 『임꺽정』을 연재하기 시작했다. 임꺽정은 16세기에 황해도와 경기도 일대에서 활동한 화적의 우두머리로서 홍길동, 장길산과 함께 조선의 3대 의적으로 손꼽히는 인물이다. 홍명희는 천대받던 백정 출신인 임꺽정과 그 주변의 하층민들을 소설의 주인공으로...
    시대 :
    1928년 11월 21일
    국가/대륙 :
    한국
  • 임거정 林巨正
    홍명희(洪命熹)의 자는 순유(舜兪)이고 호는 가인(假人), 가인(可人), 벽초(碧初)이다. 일본 타이세이중학을 졸업했다. 귀국하여 휘문보고 교사, 오산고보 교장과 연희전문 교수 등을 역임하며 교편을 잡았다. 1924년에는 《동아일보》 주필 겸 편집국장, 그리고 이듬해 《시대일보》 사장 등의 언론인으로 활동했다...
    시대 :
    근대
    저작자 :
    홍명희(1888~1968)
    크기 :
    11×16(cm)
    간행/발행 :
    조선일보사, 1939.
    면수/쪽수 :
    1권 686면, 2권 650면, 3권 624면, 4권 611면
  • 민주독립당 民主獨立黨
    설립목적 1947년 8월말 제2차 미소공동위원회가 결렬될 조짐을 보이자, 중간세력 중에서 ‘진정한 우익’을 자임하는 세력들에 의해 결성되었다. 홍명희(洪命憙)가 준비위원장에 선임되었고, 9월 18일에는 7인(안재홍 · 김병로 · 홍명희 · 김호 · 박용희 · 이극로 · 김원용) 간부회의가 열렸고, 21일 정례 준비...
    시대 :
    현대
    유형 :
    단체
    분야 :
    역사/현대사
  • 우익과 좌익으로 갈라진 한반도
    군정을 끝내자는 민족주의자들의 목소리가 힘을 얻기 시작했다. 김구가 대표적인 중도 민족주의자였고, 장편 역사소설 《임꺽정》의 저자인 벽초(碧初) 홍명희(洪命熹, 1888~1968)도 1947년 민족독립당 당수이자 민족자주연맹 부의장으로서 좌우합작을 추진했다. 그러나 양극으로 치닫는 정세 속에서 중도 민족주의자들...
  • 〈임꺽정〉에 등장한 신불출, 대머리 작가의 익살인가, 복수인가
    않고 그 만담이 입에 오르더니 급기야 신문 연재소설에 신불출의 이름이 등장해 더욱 화제가 되었다. 신문 연재소설이란 「조선일보」에 홍명희가 연재하고 있던 『임꺽정』이었다. 홍명희는 신불출이 「익살맞은 대머리」로 인기몰이를 하던 1932년 12월 ‘의형제편’을 쓰기 시작했는데, 여기에 느닷없이 만담가...
  • 이두호 한국 만화계의 큰 바위 얼굴
    덜거덕 덜거덕> <개똥벌레 장독대> 1987년 <뛰어야 벼룩이지> <땅거미> <용틀임> <덩더꿍> 1988년 <객주>(김주영 원작 소설 만화화) 1991년 <임꺽정>(홍명희 원작 소설 만화화) 2001년 <꼬꼬댁> 2003년 <파행> 2006년 자서전 <무식하면 용감하다> 2008년 <이두호의 가라사대> 2013년 <이두호의 머털이 한국사> 외 다수...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6건

홍명희
홍명희
홍명희
홍명희
홍명희
홍명희
홍명희
홍명희 생가
〈임꺽정〉의 작가 벽초 홍명희
일제 주요감시대상 인물카드 홍명희 전후면
조선 초유의 대작이라는 찬사를 받은 홍명희의 대하 역사 소설 〈임꺽정〉
《임꺽정》
임꺽정
김용준, 〈홍명희 선생〉, 수묵담채, 63×34cm, 1948년, 밀알미술관 소장
변월룡, 〈김일성과 홍명희, 김두봉〉, 종이에 연필, 29×40cm, 1953년, 유족 소장
홍명희의 〈임꺽정〉을 본으로 삼아 그 이야기를 변용한 소설 〈임꺽정에 관한 일곱 개의 이야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