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강화 부근리 지석묘 강화고인돌, 江華 富近里 支石墓특히 고려산 일대를 중심으로 집중적으로 분포한다. 고려산을 중심으로 90기 이상이 분포하고 있고, 가장 북쪽의 별립산과 봉천산 일대에 32기가 분포하는 등 강화의 북쪽에 집중적으로 분포한다. 둘째, 여러 기의 고인돌이 한 곳에 떼를 이루고 있다. 10여 곳이 넘는 지역에 150여 기가 분포하는데 한 유적에 평균 14기...
- 시대 :
- 선사/청동기
- 유형 :
- 유적
- 분야 :
- 역사/선사문화
-
강화 갯벌 및 저어새 번식지 江華 갯벌 및 저어새 繁殖地개설 2000년 7월 6일에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 강화갯벌은 강화의 남부지역과 석모도, 볼음도 등 섬 주변에 자리하고 있다. 지정 면적은 약 435㎢이다. 저어새는 황새목 저어새과의 여름철새이자 일부 겨울철새로 강화갯벌을 중심으로 번식하고 있다. 1968년에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는 종이며, 멸종위기...
- 시대 :
- 현대
- 유형 :
- 지명
- 분야 :
- 과학/동물
-
강화외성 江華外城개설 강화외성(江華 外城)은 고려가 몽골의 침입에 대항하여 개경에서 강화도로 천도한 시기인 강도(江都) 시기(1232~1270년)에 조성된 성으로, 강화군 동해안(선원면, 불은면, 길상면) 일대에 걸쳐 있다. 역사적 변천 고려는 1232년(고종 19) 6월 몽골군 침입에 대항하여 강화로 천도하면서 궁궐을 짓고 도성(都城)을...
- 시대 :
- 고려
- 유형 :
- 유적
- 분야 :
- 예술·체육/건축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강화 장정리 석조 여래 입상 江華 長井里 石造 如來 立像전체 높이는 3.26m, 불상 높이는 2.82m이다. 불상이 있는 봉천산(奉天山) 정상에는 하늘에 제사를 지내는 봉천대(奉天臺)가 있고, 가까운 곳에 고려 후기의 강화 장정리 오층석탑(보물, 1963년 지정)이 전해오고 있다. 내용 및 특징 이 석불입상은 판석(板石)에 새겨진 것으로 주형거신광(舟形擧身光)과 불신(佛身)으로...
- 시대 :
- 고려
- 유형 :
- 유물
- 분야 :
- 예술·체육/조각
-
강화 홍릉 강화고려왕릉, 江華 洪陵安惠王后)이다. 집권기 내내 정치적으로 최충헌과 그 일가의 무단정치로 실권을 잡지 못하였고, 거란과 몽골의 침입으로 고통받았다. 몽골과 항전을 위해 강화 천도를 단행하고 불력(佛力)으로 몽골을 물리치기 위해 『고려대장경(高麗大藏經)』을 만드는 등 문화적 업적을 남기기도 하였으나, 대신 국토가 초토화되고...
- 시대 :
- 고려 후기
- 유형 :
- 유적/고인돌·고분·능묘
- 분야 :
- 역사/고려시대사
-
조선역사강화 朝鮮歷史講話개설 단행본으로 저술되었으나 동아일보사의 요청으로 1930년 1월 12일부터 3월 15일까지 연재되었다. 편찬/발간 경위 저자는 서문에서 조선의 민족·사회·문화에 대한 인과적·체계적 인식을 위한 조선인의 역사를 서술했다고 집필 동기를 밝히고 있다. 과거 저자는 한민족의 상고사(上古史)와 단군(檀君)에 관한 내용...
- 시대 :
- 근대
- 저작자 :
- 최남선
- 창작/발표시기 :
- 1930년
- 성격 :
- 개론서, 한국사개론서
- 유형 :
- 문헌
- 분야 :
- 역사/근대사
-
강화초지대교 江華草芝大橋건립 경위 인천광역시 강화군 길상면 초지리와 김포시 대곶면 약암리를 잇는 다리로 1996년 인천광역시에서 착공하여 2001년 8월 완공, 2002년 8월 28일 개통되었다. 섬과 내륙을 잇는 연륙교라는 특성에 따라 교량부에 900mm의 상수도관과 300mm의 도시가스관이 함께 설치되었다. 국가지원 지방도 84호선이 일부이며...
- 시대 :
- 현대/대한민국
- 유형 :
- 지명/시설
- 분야 :
- 경제·산업/교통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청심강화엑스과립 500g/병성분/함량 3g 중 차전자 1 g (KP) 황기 0.67 g (KP) 연육 1.33 g (생규) 지골피 0.67 g (생규) 황금 1 g (KP) [바이칼린으로서 100.0 mg] 복령 1.33 g (KP) 맥문동 1.33 g (KP) 감초 0.67 g (KP) [글리시리진산으로서 16.8 mg] 인삼 1 g (KP) 효능효과 전신권태감이 있고 입과 혀가 마르고 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 사람의...
- 식약처 분류 :
- [01900]기타의 신경계및 감각기관용 의약품
- 전문/일반 :
- 일반의약품
- 약효 분류 :
- 비뇨생식기계 작용약 > 기타 비뇨기관용약 > (한) 잔뇨감, 배뇨통 > 청심연자음
- 제조/수입사 :
- 경방신약(주)
- 성상 :
- 담갈색의 과립제
- 제형 :
- 산제, 과립제, 세립
- 투여 경로 :
- 내복제
- 보관방법 :
- 기밀용기, 실온(1-30℃)보관
-
강화중성 江華中城개설 강화 중성(江華 中城)은 고려가 몽골의 침입에 대항하여 개경에서 강화도로 천도한 시기인 강도(江都) 시기(1232~1270년)에 조성된 성으로, 강화군 강화읍과 선원면 일원에 걸쳐 있다. 역사적 변천 고려는 1232년(고종 19) 6월 몽골군 침입에 대항하여 강화로 천도하면서 궁궐을 짓고 도성(都城)을 축조하였다...
- 시대 :
- 고려
- 유형 :
- 유적
- 분야 :
- 예술·체육/건축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경방자음강화탕산 798.75g/병 Kyongbang Jaeumganghwat..성분/함량 3.83g 중 작약엑스산 0.44 g (생규) [작약으로서 1.63g] 당귀엑스산 0.55 g (생규) [당귀로서 1.5g] 숙지황엑스산 0.63 g (생규) [숙지황으로서 1.25g] 백출엑스산 0.46 g (생규) [백출로서 1.25g] 맥문동엑스산 0.38 g (생규) [맥문동으로서 1.25g] 생지황엑스산 0.18 g (생규) [생지황으로서 1.00g] 진피...
- 전문/일반 :
- 일반의약품
- 약효 분류 :
- 호흡기계 작용약 > 기타 진해거담제 > (한) 진해, 거담 > 자음강화탕
- 제조/수입사 :
- 경방신약(주)
- 성상 :
- 갈색의 가루
- 제형 :
- 산제, 과립제, 세립
- 투여 경로 :
- 내복제
- 보관방법 :
- 기밀용기, 실온(1~30℃)보관
-
경방자음강화탕산 1045g/병 Kyongbang Jaeumganghwatan..성분/함량 3.83g 중 작약엑스산 0.44 g (생규) [작약으로서 1.63g] 당귀엑스산 0.55 g (생규) [당귀로서 1.5g] 숙지황엑스산 0.63 g (생규) [숙지황으로서 1.25g] 백출엑스산 0.46 g (생규) [백출로서 1.25g] 맥문동엑스산 0.38 g (생규) [맥문동으로서 1.25g] 생지황엑스산 0.18 g (생규) [생지황으로서 1.00g] 진피...
- 전문/일반 :
- 일반의약품
- 약효 분류 :
- 호흡기계 작용약 > 기타 진해거담제 > (한) 진해, 거담 > 자음강화탕
- 제조/수입사 :
- 경방신약(주)
- 성상 :
- 갈색의 가루
- 제형 :
- 산제, 과립제, 세립
- 투여 경로 :
- 내복제
- 보관방법 :
- 기밀용기, 실온(1~30℃)보관
-
경방자음강화탕산 1149g/병 Kyongbang Jaeumganghwatan..성분/함량 3.83g 중 작약엑스산 0.44 g (생규) [작약으로서 1.63g] 당귀엑스산 0.55 g (생규) [당귀로서 1.5g] 숙지황엑스산 0.63 g (생규) [숙지황으로서 1.25g] 백출엑스산 0.46 g (생규) [백출로서 1.25g] 맥문동엑스산 0.38 g (생규) [맥문동으로서 1.25g] 생지황엑스산 0.18 g (생규) [생지황으로서 1.00g] 진피...
- 전문/일반 :
- 일반의약품
- 약효 분류 :
- 호흡기계 작용약 > 기타 진해거담제 > (한) 진해, 거담 > 자음강화탕
- 제조/수입사 :
- 경방신약(주)
- 성상 :
- 갈색의 가루
- 제형 :
- 산제, 과립제, 세립
- 투여 경로 :
- 내복제
- 보관방법 :
- 기밀용기, 실온(1~30℃)보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