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용천담적기 龍泉談寂記
    칠휴공(七休公)이 영천의 정몽주 사당을 지나가고 있을 때에 정몽주가 현몽하여 사당을 고쳐달라고 하였다는 내용이다. 또, 세조 때에 폐해진 단종의 어머니 현덕왕후(顯德王后)의 능을 이장할 때에 일어난 신기하고 기이한 일 등의 이사(異事 ; 기이한 일. 또는 별스러운 일)·기문(奇聞 ; 기이한 소문)에 관한 것을...
    시대 :
    조선
    저작자 :
    김안로(金安老)
    창작/발표시기 :
    1525년
    성격 :
    야담집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권
    분야 :
    문학/한문학
    소장/전승 :
    규장각 도서
  • 문종 상시호 금보 文宗 上諡號 金寶
    휘지(輝之)이다. 세종의 장남으로 조선 제5대 왕이 되어 1450~1452년까지 재위하였다. 어머니는 소헌왕후(昭憲王后) 심씨이고 비는 화산부원군 권전(權專)의 맏딸인 현덕왕후(顯德王后)이다. 1421년 세자로 책봉되었으며, 1445년부터 세자의 섭정이 이루어졌다. 1450년 37세로 왕위에 올랐으나 재위 3년만에 병사하였다...
    분류 :
    유물 > 어보
    크기 :
    세로: 10.2cmcm, 가로: 10.2cmcm, 높이: 6.7cmcm
    재질 :
    금속
  • 찬집청 撰集廳
    설치되고 끝나면 폐지되었다. 처음 설치된 시기는 1513년(중종 8)으로 『연산군일기』를 찬집하기 위한 것이었다. 그러나『연산군일기』를 찬집하는 기간에 현덕왕후(顯德王后)의 능을 문종의 묘인 현릉(顯陵)에 합장(合葬)하는 일이 있어 편찬이 중단됨과 동시에 혁파되었다. 그 뒤 대행왕(大行王)의 행장이나 시장...
    시대 :
    조선
    성격 :
    관청, 임시기구
    유형 :
    제도
    시행일 :
    1513년(중종 8)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김일손 계운(季雲), 金馹孫
    문신들에게 문흥을 위해 휴가를 주어 독서에 전념하게 한 제도)를 하여 학문과 문장의 깊이를 다졌다. 그리고 주로 언관(言官)에 재직하면서 문종의 비인 현덕왕후(顯德王后)의 소릉(昭陵)을 복위하라는 과감한 주장을 하였다. 뿐만 아니라 훈구파의 불의 · 부패 및 ‘권귀화(權貴化: 권세가 있는 귀족으로 됨)’를...
    시대 :
    조선
    유형 :
    인물/전통 인물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현릉 顯陵
    사적 제193호. 1452년(문종 2) 문종이 죽자 건원릉 동쪽 산에 장사지냈다. 현덕왕후는 1457년(세조3) 단종 복위운동과 관련되어 신주가 철거되었다가 1513년(중종 8) 왕릉 왼쪽 산으로 옮겨왔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기도
  • 문화왕후 Queen Munhwa, 文和王后
    왕족 정보 문화왕후 김씨(文和王后 金氏, 생몰년 미상)는 고려 성종의 왕비이다. 본관은 선산이다.《한국민족문화대백과》, 문화왕후(文和王后), 한국학중앙...의 딸이다. 성종의 왕비로 책봉되어 그 호를 연흥궁주(延興宮主), 또는 현덕궁주(玄德宮主)라 하였다. 현대 학자 중 일부는 그녀의 어머니가 왕씨인 것을 두고...
    도서 위키백과
  • 약천사(제주)
    입적했다는 이야기도 전해오고 있다. 장엄한 규모로 제주도 관광객들도 꼭 들려야 할 필수 관광코스로 대접받고 있으며 내외국인을 위한 템플스테이 역시 운영하고 있다. 약천사에는 세종의 아들이었던 문종 임금과 현덕왕후, 그리고 영친왕과 이방자 여사의 위패가 모셔져 있다. 참고문헌 http://www.yakchunsa.org
    위치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이어도로 293-28 (대포동)
  • 충재문집 冲齋文集
    삭제해 사림들의 분한 마음을 달래야 한다는 주장이다. 차자 가운데 「청복소릉차자(請復昭陵箚子)」는 「청복소릉소(請復昭陵疏)」와 함께 단종의 어머니 현덕왕후(顯德王后)의 능인 소릉(昭陵)을 폐한 것은 잘못이라고 주장한 것이다. 아들이 노산군(魯山君)으로 강봉되었다 해서 그 어머니를 폐한다는 것은 있을 수...
    시대 :
    조선
    저작자 :
    권벌(權橃)
    창작/발표시기 :
    1671년(초간), 1705년(중간), 1752년(중편), 1930년(간행)
    성격 :
    시문집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0권 6책
    간행/발행 :
    권목(초간), 권두경(중간), 권만(중편), 권빈(중편)
    분야 :
    종교·철학/유교
    소장/전승 :
    규장각 도서, 고려대학교 도서관, 영남대학교 도서관
  • 문종 (조선) Munjong of Joseon, 文宗 (朝鮮王)
    문종이 즉위한 지 2년 3개월 만인 1452년 음력 5월에 37세의 나이로 승하하자, 경기도 구리시 동구릉 내에 위치한 현릉(顯陵)에 능을 조성하였다. 현덕왕후 권씨는 원래 소릉에 안장되었다가 계유정난 이후 1457년 추폐되어 재궁이 바닷가에 버려졌었고, 1512년 (중종 7년)에 현릉에 같이 묻히게 된다. 사망으로부터...
    도서 위키백과
  • 현릉 (조선)
    유형문화재 정보 현릉(顯陵)은 조선 제 5대 문종과 현덕왕후 권씨의 능이다. 1970년 5월 26일 동구릉 중의 하나로, 사적 제193호로 지정되었으며, 대한민국 경기도 구리시 인창동에 위치한다. 문종은 세종과 소헌왕후 심씨의 맏아들로, 세종 3년 1421년 8세의 어린 나이로 세자로 책봉되어 세종 32년 1450년 37세의 나이...
    도서 위키백과
  • 별망성지
    조선왕조 문종실록에는 이곳에 수군만호영이 있었으나 갯벌에 밀려 선박의 출입이 어려워지자 사곶(沙串)으로 영을 옮겼다가 조선문종 때에 단종의 어머니 현덕 왕후의 능인 소릉(昭陵)이 인근 목내동에 있고 바다가 다시 깊어져 선박의 출입이 가능해지자 다시 영을 둔 것으로 나타나 있다. 그 후 임진왜란과 6.25 전쟁...
    위치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초지동 656
    문화재 지정 :
    경기도 기념물 제73호(1979.09.03 지정)
  • 어보 목록
    대왕지보(欽明仁肅光文聖孝大王之寶) 1452년(문종 2년) 시호를 추상 금보 거북 현덕왕후 현덕빈인(顯德嬪印) 1441년(세종 23년) 시호를 추증 금인 직각 현덕왕후지보(顯德王后之寶) 1450년(세종 32년) 왕후로 추숭 금보 거북 인효순혜현덕왕후지보(仁孝順惠顯德王后之寶) 1454년(단종 2년) 존호를 추상 금보 거북 단종...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현재페이지5 6 7 8 9 10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26건

구리 동구릉 중 조선 문종과 현덕왕후 현릉 능침 정면
조선 왕릉의 종가 동구릉(東九陵)
문종비 현덕왕후 상시호 금인
문종비 현덕왕후 상시호 금인
문종비 현덕왕후 상시호 금인
문종비 현덕왕후 상시호 금인
문종비 현덕왕후 상시호 금인
문종비 현덕왕후 상시호 금인
문종비 현덕왕후 상시호 금인
문종비 현덕왕후 상시호 금인
문종비 현덕왕후 추상시호 금보
문종비 현덕왕후 추상시호 금보
문종비 현덕왕후 추상시호 금보
문종비 현덕왕후 추상시호 금보
문종비 현덕왕후 추상시호 금보
문종비 현덕왕후 추상시호 금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