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함양 교산리 석조 여래 좌상 咸陽 校山里 石造 如來 坐像내용 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신체 높이 2.45m, 대좌 높이 1.58m. 불상 전체의 마멸이 심하여 얼굴과 오른손, 무릎 및 대좌의 일부가 깨어졌고 광배(光背)도 없다. 대좌 높이까지 포함하여 4m가 넘는 거대한 조각으로서 파손이 심한데도 불구하고 여전히 웅장한 느낌을 준다. 세부는 두부(頭部)가 마멸되어 육계(肉髻...
- 시대 :
- 고려
- 유형 :
- 유적
- 분야 :
- 예술·체육/조각
-
함양향교 咸陽鄕校내용 조선시대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창건연대는 알려져 있지 않으나, 고려 말 두문동 72현(杜門洞七十二賢) 가운데 한 사람인 조승숙(趙承肅)의 「소소당기(昭昭堂記)」에 의하면, 1398년(태조 7)경에 창건된 것으로 보인다. 그 뒤 현재의 위치로 이건...
- 시대 :
- 조선
- 유형 :
- 유적
- 분야 :
- 교육
-
함양 승안사지 삼층석탑 보물 제294호, 咸陽昇安寺址三層石塔뛰어난 작품이라고는 할 수 없다. 그러나 탑의 장식에 꽤 신경을 쓴 점 등 고려 특유의 수법을 보여주고 있다. 1962년 탑을 옮길 때 1층 몸돌에 있는 사리공에서 사리장치가 발견되었는데, 이를 통해 처음 탑을 옮겨 세운 때가 1494년(조선 성종 25)임을 짐작할 수 있다. 경상남도 함양군 수동면 우명리 263번지에 있다...
-
함양 벽송사 삼층석탑 咸陽 碧松寺 三層石塔내용 1968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 3.5m. 1520년(중종 15)경 벽송사의 창건과 함께 조성되었다고 생각되며 우리 나라 석탑의 전형양식을 계승한 점에서 주목되는 작품이다. 지표에 넓은 지복석(地覆石 : 지대 맨 밑에 가로놓은 돌)을 깔고 그 가운데에 높은 지대석(地臺石)을 마련한 뒤 그위에 중석(中石)을 얹었는데...
- 시대 :
- 조선
- 유형 :
- 유적
- 분야 :
- 예술·체육/건축
-
함양박씨 정랑공파 문중 전적 咸陽朴氏 正郞公派 門中 典籍내용 1989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서목 및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나암수록: 8권 4책. 필사본. 박주대가 한말의 정황을 듣고 본 대로 기록한 것으로, 고종의 즉위, 대원군의 집정, 병인양요, 진주민란, 임오군란, 동학란, 갑오경장, 경술국치, 그리고 파리강화조약 등 국내외의 중요한 사건이 기 록되어 있는 근대사...
- 시대 :
- 근대
- 유형 :
- 문헌
- 분야 :
- 역사/근대사
-
함양 목현리 구송 咸陽 木峴里 九松내용 1988년 4월 30일에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차도에서 500m 정도 떨어진 냇가에 고립목으로 서 있다. 줄기가 밑에서 9개로 갈라졌기 때문에 구송이라 불리고 있으며, 소나무가 서 있는 곳은 구송대(九松臺)라고 불린다. 높이는 12m이며 지면부 줄기의 둘레는 3.5m이고 지면에서 40㎝ 정도 올라가서 5개로 갈라졌다...
- 유형 :
- 생물
- 분야 :
- 과학/식물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함양 백운암 건륭32년 동종 咸陽 白雲庵 乾隆三十二年 銅鍾개설 명문을 갖춘 조선시대 동종으로, 1767년(영조 43)에 제작되었다. 2010년 3월 11일에 경상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고, 함양군 백운암 대웅전에 소장되어 있다. 내용 및 특징 종의 외형은 아래로 갈수록 약간 좁아지며, 고리는 두 마리의 용으로 형상화하였고 천판(天板)은 둥글고 낮게...
- 시대 :
- 조선 후기
- 유형 :
- 유물
- 분야 :
- 예술·체육/공예
-
예천 함양박씨 희이재사 醴泉 咸陽朴氏 希夷齋舍내용 1995년 국가민속문화재(현, 국가민속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함양박씨 재사건축에 딸린 누문형식의 건물로, 1700년대초에 박종린(朴從鱗)의 유덕을 기리기 위해 생전에 후학들에게 강론하던 곳에 현손인 박정시(朴廷蓍) · 박정설(朴廷薛)형제가 건립하였다. 야산의 완만한 경사지에 남향하여 누각이 전면에 서...
- 시대 :
- 조선 후기
- 유형 :
- 유적
- 분야 :
- 예술·체육/건축
-
함양상백리고분군 咸陽上柏里古墳群내용 봉토의 규모나 고분군의 전범위에 대해서는 자세히 알려진 바 없지만 1972년도 동아대학교박물관에서 긴급 구제발굴 결과에 따르면 고분군의 범위는 이웃 구릉과 경지 일부에 걸쳐 넓게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백리 고분군은 함양읍에 소재하는 백천리(白川里) 고분군으로부터는 동쪽으로 약 20㎞...
- 시대 :
- 고대/삼국/가야
- 건립시기 :
- 5세기경(가야시대)
- 성격 :
- 고분군, 가야고분군
- 유형 :
- 유적
- 면적 :
- 8기
- 소재지 :
- 경상남도 함양군 수동면 상백리
- 분야 :
- 역사/고대사
-
함양민란 咸陽民亂혁폐(革弊 : 폐단을 개혁하여 없앰)를 칭하고 발문취회(發文聚會 : 사람들에게 글을 돌려 모임을 소집)하였으나 혁폐의 구체적인 내용은 알 수 없다. 함양군수 오경선(吳敬善)은 난민들이 말하는 혁폐는 핑계에 지나지 않는다고 하고, 암행어사 이인명(李寅命)의 별단(別單)에는 세목가(稅木價)를 함부로 정한 때문...
- 시대 :
- 조선
- 발생 :
- 1862년(철종 13) 3월 16일
- 성격 :
- 민란
- 유형 :
- 사건
- 종결 :
- 1862년(철종 13) 6월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관련 인물/단체 :
- 박만순, 허형, 우서구, 강치문, 장응팔
- 관련 장소 :
- 경상남도 함양
-
함양 방지성 금당성, 咸陽 芳地城신라를 약탈하였기 ○문에 이를 막기 위하여 성을 쌓아 쌀을 비축하였다고 하여 ‘합미성(合米城)’이라 불리며 일명 ‘금당성(金唐城)’이라고도 한다. 또 《함양군지》 지명편(地名編)에 의하면 마을 앞산 봉우리가 연못에 떠 있는 연꽃같다고 하여 꽃다운 못, 즉 ‘방지 芳池’라 이름하였다고 한다. 이 일대는 6...
- 유형 :
- 유적
- 분야 :
- 예술·체육/건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