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일본 인지과학회 Japanese Society for Cognitive Sciences
    심리학, 언어학, 철학, 인공지능, 정보과학 등의 분야를 망라한 인지과학연구의 촉진을 목적으로 하는 일본의 학제적인 학회. 1984년에 설립되었다. 회원수는 약 700명(1987). 연 1회의 대회 외에 몇 가지 연구회를 개최하고 있다. 학회지는 아직 나오지 않고 있으나 부정기적인 뉴스레터를 발행하고 있다.
    분야 :
    정보 시스템과 사회
  • 비문법 파심 grammarless parsing
    자연언어 이해 기법인 구문 분석에서 사용되는 파싱기법. 기존의 구문 분석을 무시하고 다른 언어학적 이론에 입각하여 문장의 어구를 해부하는 기법이다.
    분야 :
    프로그램 언어
  • 정보과학 情報科學, information science
    정보과학은 정보의 저장, 제어, 검색과 같은 정보처리를 돕기 위한 기술과 장치를 개발하기 위해서 도서관학, 컴퓨터 과학, 언어학, 인공두뇌학(cybernetics) 등과 같은 여러 학문 분야의 개념과 기법을 통합하려 한다. 시간적으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서는 어떤 형태로든 저장 매체가 필요한데 이를 도큐먼트(document...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과학 일반 , 학문
  • 어형론 morphology
    어형 변화나 유도형의 역사나 기능을 취급하는 언어학의 한 분야.
    분야 :
    프로그램 언어
  • 언형론 morphology
    어형 변화나 유도형의 역사나 기능을 다루는 언어학의 한 분야.
    분야 :
    프로그래밍
  • 국어학 國語學
    개별언어학이라고 부른다. 국어는 소리·형태·의미의 3가지 측면을 가지고 있다. 국어학도 이러한 요소를 연구하는 국어음운론·국어문법론·국어의미론의 하위부문이 큰 영역을 차지하는데, 이 3분야를 흔히 국어학의 3대 부문이라고 부른다. 국어문법론은 다시 국어형태론과 국어통사론으로 나뉜다. 국어음운론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언어 일반
  • 컴퓨터 과학 Computer science, 計算機科学
    컴퓨터의 임팩트(impact)의 본질적 이해와 대응책도 컴퓨터의 과학적 추구에 크게 의존할 것이라는 점을 강조함과 동시에 '컴퓨터 과학'이 경영학 혁신의...나뉜다. 일반적인 분류는 다음과 같다. 정보철학 정보심리학 인지과학 언어학 사이버네틱스 이산수학 정보이론 수리논리학 도메인 이론 확률론과 통계학 암호학...
    도서 위키백과
  • 논리학과 다른 과학의 문제
    특히 컴퓨터가 다양한 발견적(heuristic) 사유양식을 얼마나 실현할 수 있느냐 하는 것이다. 경험과학의 방법론 과학철학자들은 과학적 설명의 성격 등 경험과학의 방법론·기초론 문제와 서로 다른 경험적 이론들을 공리화하는 문제를 집중적으로 논의해왔다. 그리고 이 분야에서 논리학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분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서양철학
  • Computational linguistics 전산언어학, 計算言語学
    or rule-based modeling of natural language from a computational perspective.Traditionally, computational linguistics was usually performed by computer scientists who had specialized in the application of computers to the processing of a natural language. Computational linguists often work as...
  • 정보 과학 기술 IST, 情報科學技術
    기억과 전달(데이터의 편집/목록, 과학 기술 정보, 데이터 센터, 정보 시스템, 관리 시스템), ㉡광학/도해적 정보 처리(영상 표시 장치, 문자 인식 장치, 패턴 인식 장치), ㉢일상 언어와 언어학(발음 연구, 언어학, 기계 번역), ㉣컴퓨터 분야(시분할, 온라인, 동적 구성 기기, 프로그램용 언어) 등으로 구분되어 있다.
  • 자연어 처리 NLP, 自然語處理
    최근에는 심층 기계 학습(deep learning) 기술이 기계 번역 및 자연어 생성 등에 적용되고 있다. ※ 통사 분석(syntactic anaylisys): 컴퓨터 분야에서는 ‘구문 해석’이라 하나 언어학에서는 ‘통사 분석’이라 함. 통사는 생각이나 감정을 말과 글로 표현할 때 완결된 내용을 나타내는 최소의 단위. ※ 통사: 주어와...
  • Neurolinguistics 신경언어학, 神経言語学
    and theories from fields such as neuroscience, linguistics, cognitive science, neurobiology, communication disorders, neuropsychology, and computer science. Researchers are drawn to the field from a variety of backgrounds, bringing along a variety of experimental techniques as well as widely...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현재페이지5 6 7 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