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오누이 힘내기 설화 오누이 힘내기 說話같으므로, 어머니는 아들을 살리기 위하여 딸에게 뜨거운 팥죽을 가져다준다. 누이는 뜨거운 팥죽을 먹느라 일의 진행이 늦어지게 되었다(한편, 아들에게는 찰밥을 주었다). 그동안 남동생(오빠)이 서울까지 갔다가 돌아왔으므로(성을 먼저 쌓았으므로), 마침내 누이는 내기에 져서 죽게 되었다. 그 뒤 남동생(오빠)은...
- 유형 :
- 작품/문학
- 분야 :
- 문학/구비문학
-
무 나백자(蘿白子)두통, 멀미, 무좀, 배뇨통, 변비, 복막염, 부종, 비뉵혈, 비염, 비위허약, 빈혈증, 설사, 소갈증, 소화불량, 숙취, 습담, 습진, 식체(달걀, 두부, 떡이나 찰밥, 메밀), 신경통, 신장염(급성신장염), 실음, 암(간암, 자궁암), 애역, 야뇨증, 야맹증, 요독증, 월경불순, 위산과다증, 위염, 음낭습, 이질, 인후염·인후통...
- 학명 :
- Raphanus sativus
- 분포지역 :
- 전국 각지
- 자생지역 :
- 밭에 재배
- 번식 :
- 씨
- 약효 부위 :
- 뿌리·씨
- 생약명 :
- 내복자(萊菔子)
- 키 :
- 20~100cm
- 과 :
- 겨잣과(십자화과)
- 생활사 :
- 한해살이 또는 두해살이풀
- 채취기간 :
- 5~6월(씨), 연중(뿌리)
- 취급요령 :
- 날것으로 쓴다.
- 특징 :
- 평온하며, 맵고 달다.
- 독성여부 :
- 없다.
- 1회 사용량 :
- 뿌리(무)·생즙 50~100g, 씨 4~6g
- 주의사항 :
- 많이 먹을수록 몸에 이롭다.
-
-
-
-
사금갑설화이러한 일로 매년 정월 상해일(上亥日)·상자일(上子日)·상오일(上午日)에는 모든 일을 삼가고 행동을 조심하며, 정월 보름을 오기일(烏忌日)이라 하여 찰밥으로 까마귀에게 공양하는 풍속이 생겼으며, 그 못을 서출지라고 부르게 되었다. 구전설화에서는 소지왕 대신 중국의 왕이나 막연한 왕이 등장하는데, 이 경우...
- 시대 :
- 고대/삼국
- 저작자 :
- 미상
- 성격 :
- 설화
- 유형 :
- 작품
- 분야 :
- 문학/구비문학
-
-
-
-
-
-
토종닭약탕2. 토종닭은 깨끗이 손질하여 씻는다. 3. 황기, 당귀는 깨끗이 손질하여 3cm 크기로 썰고, 건표고버섯은 충분히 불려 채 썬다(5c0.2×0.2cm). 4. 솥에 토종닭, 황기, 당귀, 표고버섯, 밤, 대추를 넣고 찹쌀은 보자기에 싸서 넣어 물을 붓고 2~3시간 정도 푹 끓인다. 5. 토종닭은 그릇에 담고, 국물과 찰밥은 따로 담아...
- 분류 :
- 부식류 > 국 및 탕류 > 토장국 > 육류
- 성격 :
- 가열하여 익히는 음식 > 물을 이용한 음식 > 끓이는 음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