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다름슈타튬 우누닐늄, Darmstadtium추정된다. 2003년 국제순수·응용화학연합(IUPAC)이 이 원소의 이름을 다름슈타튬(darmstadtium )으로 명명하고 주기율표에 반영했다. 특징 다름슈타튬의 질량수는 269. 화학적 성질이 니켈, 팔라듐, 백금과 유사할 것으로 추측된다. 1994년 11월 9일 독일 헤센주 다름슈타트에 있는 중이온연구소(GSI)의 호프만, 니노프...
- 원자번호 :
- 110
- 원소기호 :
- Ds
- 상태 :
- 고체
- 원자량 :
- 281
- 원자가 :
- 2가
- 전자배열 :
- 2.8.18.32.32.17.1 또는 [Rn].5f 14.6d 9.7s 1 (백금에 기반한 추정)
-
지오크 William Francis Giauque열역학 제3법칙에 확고한 실험적 토대를 마련했으며, 이 법칙에서 벗어난 예외들을 명확히 이해할 수 있도록 해주었다. 또 그는 헤릭 L. 존스턴과 함께 질량수가 17과 18인 산소의 동위원소를 발견했다. 1926년 -272.15℃ 이하의 온도를 얻는 방법을 내놓았으며, 1935년 D. P. 맥두걸과 함께 처음으로 이 방법을 성공적...
- 출생 :
- 1895. 5. 12, 캐나다 온타리오 나이애가라폴스
- 사망 :
- 1982. 3. 28, 미국 캘리포니아 버클리
- 국적 :
- 미국
-
-
몰 mol기본이 되는 아주 작은 입자, 즉 원자나 이온, 더 나아가 전하의 양을 다룰 때에 보다 간편하게 묶음 단위를 쓰도록 결정했다. 방법은 원자량의 기준에 따라 질량수가 12인 탄소(12C)의 질량 12g 중에 포함되어 있는 원자의 수를 1몰(mol)로 정했다. 즉, 탄소 (12C)의 질량 12g 속에는 탄소 원자가 약 6.022×1023...
-
화학식과 화학방정식정한 수다. 더 나아가 몰은 그램으로 나타내는 어떤 물질의 분자 무게이고, 1몰은 아보가드로수만큼을 포함하는 물질의 양이므로 바꾸어 쓸 수 있다. 즉 1몰의 개수인 6.02214199×1023을 ‘아보가드로수’라고 한다. 현재는 탄소의 질량수가 12인 동위원소 12C의 12g 중에 포함되는 입자 수를 1몰로 지정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