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일본의 근현대사
    근대 일본이 무력으로 분쟁을 해결한 출발점이다. 이듬해 조선으로 군함을 보내어 강화도 등 서울의 관문을 포격하여 무력시위를 벌임으로써 조선으로 하여금 불평등조약을 조인케 했다. 두 사건 모두 아직도 내정이 불안한 시점에서 일어난 일이었다. 서양 제국에 대한 수평적 관계의 모색과 인접국들에 대한 수직적...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일본
  • 조영 통상 조약 United Kingdom–Korea Treaty of 18..
    조선 국내 어디서나 정박할 수 있고, 선원을 상륙할 수 있게 한다. 반대로 조선이 영국에서 행할 수 있는 권리는 전혀 언급되지 않은 불평등조약이었다. 이후 영국은 미국이나 일본이 조선에 전권공사를 파견한 것과는 달리 한 단계 낮은 총영사를 파견하여 조선에 머무르도록 했다. 이 조약문은 조선이 근대에 문호를...
    도서 위키백과
  • 막부의 종말과 자본주의의 시작, 메이지 유신 明治維新
    위해서는 조선을 정벌해야 한다.”라고 주장해 왔다. 정한론 논쟁은 조선을 침략해야 하는가 말아야 하는가의 논의가 아니라 언제 침략하느냐에 관한 것이었다...개시하여 조선군 35명을 죽이고 16명을 포로로 잡은 뒤 조선 조정의 사죄와 개항을 요구했다. 그 결과 양국 간 최초의 불평등 조약인 강화도 조약이 체결...
    시대 :
    1868년
  • 미곡 유출 米穀流出
    1886년에는 전남 경상 지역에 흉작이 심하여 미곡값이 폭등하고 미곡 유출이 어려워지자, 조선의 관리가 세금으로 거둬들이는 미곡 때문에 쌀 수매가 어렵다며 일본 영사가 조선의 외무대신에게 항의를 하기도 하였다. 이들은 불평등하게 맺어진 조약을 근거로 항의하며 조선 각지에서 미곡을 사들여 일본으로 반출...
  • 박규수 환경(桓卿), 환경(瓛卿). 정경(鼎卿), 朴珪壽
    한다고 하였다. 그러던 중 그 해 9월 25일 강화도 사건이 발생하였다. 조선측의 패배는 박규수가 우려한 바대로 최악의 사태로 발전하였다. 1876년 2월의 강화도...12개 조항의 병자수호조규(丙子修好條規)는 이렇게 하여 체결된 불평등조약이었다. 박규수의 개국론은, “일본이 수호를 운운하면서 병선을 이끌고 온...
    시대 :
    근대
    출생 :
    1807년(순조 7)
    사망 :
    1877년(고종 14)
    경력 :
    사간원 정언, 사헌부장령, 성균관대사성, 이조참판, 공조판서, 평안도관찰사
    유형 :
    인물
    관련 사건 :
    애로호 사건, 제너럴셔먼호 사건
    직업 :
    실학자, 개화론자
    성별 :
    분야 :
    역사/근대사
    본관 :
    반남(潘南)
  • 병인양요 丙寅洋擾
    요구했다. 이 사건은 1846, 1847년 2차례 조선을 침략했다가 실패했던 프랑스에게 좋은 구실이 되었는데, 프랑스의 실제 속셈은 무력으로 조선의 문호를 개방하고 불평등한 통상조약을 맺는 데 있었다. 전개 리델의 보고와 보복요청을 받은 주중 공사 벨로네는 "조선 국왕이 우리 불행한 동포에게 박해를 가한 그날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1900년대의 한국문학사
    세력은 혼란스럽고 소모적인 논쟁을 되풀이한다. 러일전쟁을 승리로 이끈 일본은 조선 침략을 노골화해 1905년, 병탄을 위한 사전 조치로 조선의 외교권을 강탈하는 불평등 조약인 을사조약을 체결한다. 일본은 조정 대신들을 매수하고 위협하는 한편, 어전 회의가 열리는 궐내에 무장 헌병들을 들여보내 강압적인...
  • 조이 수호 통상 조약 Italy–Korea Treaty of 1884
    개방하였다. 이에 동아시아에 진출을 꾀하던 많은 서구열강들은 청나라가 조선과의 통상을 주선해주기를 원했다. 이탈리아는 1884년 주청공사였던 루카를 조선에...접촉하여 그해 6월 26일 전문 13조로 된 조이수호통상조약을 체결하였다. 조약내용은 조미수호통상조약과 대동소이한 불평등조약이었다. 조독 수호 통상 조약
    도서 위키백과
  • 조·일 수호 조규 朝日修好條規
    조약이 체결되었다. 조약의 주요 내용은 3개 항구 개항, 영사 재판권, 일본 화폐 통용, 무관세 무역 등이었다. 국제법에 이해가 없던 조선은 이것이 매우 불평등조약이라는 것을 나중에 알게 되었다. 부산에 세관을 설치하여 무관세 무역을 시정하려고 하였으나 일본의 항의로 지켜지지 못했다. 이후 조선은 미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정한론의 대두
    불평등조약의 개정이야말로 메이지 역사의 전개를 관철하는 기본적 과제였다. 그래서 정부에서는 1871년(메이지 4년) 이와쿠라를 전권대사, 기도 · 오쿠보 · 이토를 부사로 삼아 미국으로 파견하였다. 대사의 사명은 조약개정의 의향을 각국에 전달함과 아울러 국교의 조정과 선진국의 문물 제도를 견문(見聞)함...
  • 이홍장 李鴻章, Li Hungchang
    난 청일전쟁에서 패하여 타이완을 일본에게 할양했다. 또 랴오둥 반도[遼東半島]의 조차권과 막대한 규모의 전쟁 보상금을 일본에게 주고, 서구 열강들이 불평등조약에 의해 누렸던 모든 특권을 일본에게도 제공하며, 조선의 독립을 인정해야만 했다. 이홍장은 이 전쟁을 피해보려고 했는데 그러한 회피적 태도 때문에...
    출생 :
    1823. 2. 15, 중국 안후이 성[安徽省] 허페이[合肥]
    사망 :
    1901. 11. 7
    국적 :
    청(淸), 중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중국
  • 연안 통상권
    서울의 양화진에 청의 점포 허용, 조선 연안에서의 청의 어업권 허용, 청나라 초상국윤선의 운항, 정박권 등 내륙과 연안의 통상권을 모두 청에 유리하게 내어주는 불평등 조약이었다. 이 조항은 이후 일본, 영국, 러시아 등과 체결하게 되는 통상 조약에 큰 영향을 주어, 조선불평등한 통상 협정을 계속 체결하게...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현재페이지5 6 7 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