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정선탄전 旌善炭田
    신동읍의 함백(咸白)탄광 · 고한읍의 고한탄광 · 사북읍의 사북탄광 · 정선읍의 회동탄광 · 북평면의 나전탄광 · 북면의 구절탄광 등을 비롯하여 정선군 각지에 산재한 18개의 탄광을 말한다. 이 지역은 1948년부터 대한석탄공사 함백광업소가 신동읍에서 채굴을 시작한 이래, 1959년부터 삼척탄좌가 고한에서...
    유형 :
    지명
    분야 :
    경제·산업/산업
  • 정선바위솔 Jeongseon rock pine
    개요 강원도 정선군의 바위틈에 드물게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높이는 9cm쯤이고 줄기는 가지를 치지 않는다. 잎은 원형으로 길이 1-3cm, 폭 1-2cm이며, 끝은 좁아져 가시처럼 뾰족하고 연한 자주색 무늬가 있는 녹색을 띤다. 꽃은 1개씩 달리고 꽃받침은 5갈래로 갈라지고 연녹색이다. 꽃잎은 도란형으로 끝이...
    분류 :
    현화식물문 > 목련강 > 장미목 > 돌나물과 > 바위솔속
    서식지 :
    암석지
    학명 :
    Orostachys chongsunensis Y. N. Lee
    국내분포 :
    강원도(정선)
    해외분포 :
    없음
  • 정선민란 旌善民亂
    내용 이 난은 군수 이규학(李奎學)의 가혹한 탄압과 착취로 민중의 불만이 누적된 것에 원인이 있으나, 직접적인 동기는 충청북도 괴산의 김태현(金台鉉), 경상북도 용궁의 전한구(全漢九) 등이 군민(郡民)인 전군직(全君直)의 선조의 묘를 발굴한 때문이었다. 김태현 등은 다른 지방 사람들로서 군수와 결탁하여 민전...
    시대 :
    근대/개항기
    발생 :
    1889년 초
    성격 :
    민란
    유형 :
    사건
    분야 :
    역사/근대사
    관련 인물/단체 :
    이규학, 김태현, 전한구, 전군직, 김주석
    관련 장소 :
    강원도 정선군
  • 백석봉(정선)
    정선 백석봉은 강원도 정선군과 평창군에 걸쳐 있는 해발 1,170m의 산이다. 백두대간 황병산맥의 끝자락에 솟아 있으며, 백운산, 가리왕산, 태백산 등 주변의 산들과 어우러진 풍경이 아름답다. 백석봉 정상에서 바라보는 동강과 웅장한 가리왕산, 굽이굽이 흘러내리는 숙암계곡의 풍경은 장관을 이룬다. 정상 부근의 큰...
    위치 :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북평면 졸드루길 11-16 (북평면)
  • 정선초등학교 旌善初等學敎
    연원 및 변천 100여 년의 오랜 역사와 전통이 있는 학교로 1912년 3월 6일 정선공립보통학교 설립 인가 후 1912년 6월 1일 아동 50명으로 개교하였다. 1912년 9월 2일 현 위치로 이전하였다. 1922년 4월 1일 수업연한을 6년으로 연장 하였으며, 1927년 3월 21일에는 여자 수업연한을 6년으로 연장하였다. 1945년 9...
    시대 :
    현대
    유형 :
    단체
    분야 :
    교육
  • 정선민란 旌善民亂
    군수 이규학(李奎學)의 불법탐학과 타지인의 염색횡탈로 말미암아 일어났는데 직접적 동기는 분묘발굴이었다. 충청북도 괴산의 김태섭, 경상북도 용궁의 전한구 등이 군수와 결탁하여 민전을 늑탈하고 전군직의 선묘를 발굴하자, 이에 격분한 전군직이 통문을 돌려 군민을 소집하고 봉기했다. 군민들은 관아를 습격하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정선 반론산 철쭉나무 및 분취류 자생지 旌善 半論山 철쭉나무 및 粉취類 自生地
    좀처럼 볼 수 없는 크기이다. 분취류는 사창분취를 비롯하여 북분취 · 각시서덜취 · 당분취 등이 능선을 따라서 자라고 있다. 이 밖에 우리나라에서는 처음 알려진 정선댕강나무가 능선의 바위틈에 자라고 있으며, 산솜다리 · 노랑투구꽃 · 노랑갈퀴 · 산새콩 · 산앵도나무 · 벌깨덩굴 등도 자라고 있다. 참고문헌
    유형 :
    지명
    분야 :
    과학/식물
  • 정선백전리물레방아
    1996년 강원도 민속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조선 시대 말 농경 생활을 하던 토착민들이 자연의 힘을 이용해 농산물을 가공하기 위하여 건립한 것으로 지금까지 정선군 화암면 백전리와 삼척시 하장면 한소리 주민이 방아계를 만들어 운영하고 있다. 처음 만들 당시에는 주변에 6기가 함께 있었다 하나, 현재는 이 방아만...
    위치 :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화암면 백전리 96
    문화재 지정 :
    [정선백전리물레방아] 강원도 민속문화재 제6호(1996.09.30 지정)
  • 백두대간생태수목원 白頭大間生態樹木園
    개설 백두대간생태수목원은 강원도 정선군 석병산 자락 해발 700m에 소재한다. 규모는 124만㎡이며, 1,283종 35만 4천 본의 식물을 보유하고 있다. 2002년 6월 15일에 공립수목원으로 승인되어 2002년부터 2010년까지 수목원을 조성하였다. 2010년 5월 20일에 수목원을 준공하였다. 2012년 4월 9일에 백두대간생태수목원...
    시대 :
    현대
    위치 :
    강원도 정선군 임계면 화천동길 351-100
    설립 :
    2010년 5월 20일
    성격 :
    공립수목원
    유형 :
    단체
    설립자 :
    강원도
    분야 :
    과학/식물
  • 정선황기 旌善黃芪, Korean milkvetch
    분포지역 한국(인천시 강화군; 강원도 삼척시, 영월군, 정선군, 태백시, 평창군; 경상북도 경주시, 영덕군, 울진군, 포항시) 형태 여러해살이풀 크기 높이 약 30cm 잎 잎은 7-10쌍의 소엽으로 된 우상복엽이다. 소엽은 타원형이며 표면에 털이 없고 뒷면에 솜털이 있으며, 가장 큰 소엽은 길이 16mm, 폭 8mm이고, 소엽의...
    분류 :
    장미목 > 콩과 > 황기속
    꽃색 :
    노란색
    학명 :
    Astragalus koraiensis Y.N.Lee
    개화기 :
    8월, 7월
  • 동강 래프팅(정선)
    정선의 동강래프팅은 강원도 정선군에 위치한 동강에서 이루어지는 레포츠이다. 동강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아름다운 강으로 손꼽히는 곳으로, 울창한 산림과 맑은 물, 기암괴석이 어우러진 자연경관을 자랑한다. 래프팅이란 급류를 타는 것으로, 한 배에 6~8명이 한 팀을 이루어 거친 물살을 헤쳐 나가며 천혜 자연경관...
    위치 :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정선읍
  • 정선 화암리 소나무 旌善 畵岩里 소나무
    내용 1994년 4월 25일 강원도 기념물로 지정되어 있었으나 고사로 인해 국가유산의 가치를 상실하여 2005년 5월 27일 기념물에서 해제되었다. 높이는 11m, 가슴높이의 둘레는 3.92m, 밑동둘레는 4.12m이었고 수관(樹冠)의 넓이는 동서축이 21.8m(동 12.3m, 서 9.5m), 남북축이 17.4m(남 8.2m, 북 9.2m)이었던 거목으로...
    유형 :
    생물
    분야 :
    과학/식물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현재페이지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2건

정선군
정선군읍지
정선군읍지
정선군읍지
대동여지도 중 강원도 정선 부분
정선향교 전경
강원도 정선군
정선군 문화지도
정선군 행정지도
정선군 내 고개
강원도 정선군 임계면 골지천
레일 바이크. 강원도 정선군 구절리에서는 폐철로를 이용해 만든 레일 바이크 체험을 운영한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