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영사재
    영사재는 광주 광산구에 있는 조선 후기 나주오씨 재실이다. 대동사와 함께 명곡부락 뒤쪽 산기슭에 있으며 조선 중기 학자이자 병자호란과 정묘호란에 참여한 생노당 오효석(1620~1697)이 은거하며 후진을 길렀던 곳으로, 사후에 오효석의 재실로 사용되고 있는 건물이다. 오효석은 광해군 때 본량에서 출생하여...
    위치 :
    광주광역시 광산구 명곡길 170-30 (명도동)
  • 강화군 江華郡
    지군사로 승격시켰으며, 1270년 개성으로 환도하기까지 38년 동안 도읍으로 있었다(→ 몽골의 침략). 조선에 들어 1413년 도호부로 승격되었다. 1627년 정묘호란이 일어나자 인조가 일시 피난했다가 환도 후 유수부로 승격되었다. 1636년 병자호란 때에는 강화성이 함락되어 청나라와 강화를 맺었다. 숙종대에 53...
    위치 :
    인천광역시 북서부
    인구 :
    69,013 (2024)
    면적 :
    411.43㎢
    행정구역 :
    1개읍 12개면
    사이트 :
    http://www.ganghwa.go.kr/open_content/main/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인천
  • 외재집 부 익암집 책판 畏齋集 附 益庵集 冊板
    文貞公)김우옹(金宇顒) 등의 추천으로 세자익위사(世子翊衛司) 세마(洗馬)에 임명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았다. 인조 때 다시 창악승(昌樂丞)에 제수되었다가 정묘호란(1627년) 때 왕이 강화도에 몽진하자 이를 수행하였고 서울로 돌아온 후 호종의 공으로 음성현감에 제수되었다. 사후 병조참의에 추증되었으며 1703...
    유형 :
    유물
    분야 :
    언론·출판/출판
  • 나씨 삼강문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91호, 羅氏三綱門
    아들인 나덕현(羅德顯)의 처와 그의 딸인 윤항의 처 나주 나씨는 정유재란 때 일본군에게 쫓기는 몸이 되자 강물에 투신하여 정절을 지켰다. 또 1627년 정묘호란 때 친가가 있는 안주성에 피신해 있다가 성이 함락되자 분신자살한 나사침의 손자 나수소의 처인 언양 김씨와, 그의 손녀인 김집의 처 나주 나씨가 열녀로...
    소재지 :
    전라남도 나주시 남내동 15
    지역 :
    나주
  • 만오문집 晩悟文集
    獄)·생용관(省冗官)·균전부(均田賦)·수군정(修軍政)의 10개 조항에 걸친 개선책을 논하고 있다. 「구퇴후진소회소(寇退後陳所懷疏)」는 1627년(인조 5) 정묘호란 때 금군(金軍)이 물러간 후 올린 소이다. 200년 예의의 나라로서 금과의 화약(和約)은 국가의 막대한 수치라고 지적하며, 앞으로는 병력을 증강하고 군량...
    시대 :
    조선
    저작자 :
    신달도
    창작/발표시기 :
    1927년
    성격 :
    시문집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0권 5책
    간행/발행 :
    신홍기
    분야 :
    종교·철학/유교
    소장/전승 :
    규장각 도서, 고려대학교 도서관
  • 남이흥 정묘호란을 맞아 순절하다
    피폐해졌고, 그 상처가 아물기도 전에 인조반정이 일어나 정치적 혼란을 겪었다. 곧이어 이괄이 난을 일으켜 도성을 점거하는 사건이 일어났고, 연이어 정묘호란이 발발했다. 목숨을 걸고 싸움터에 나가야 하는 무관의 책임이 무거운 시기였고, 당쟁의 여파로 시기와 견제를 받던 남이흥에게는 더욱 어려운 시련의 시간...
    시대 :
    조선
    출생 :
    1576년(선조 9) 07월 27일
    사망 :
    1627년(인조 5)
    본관 :
    의령(宜寧)
    도서 명장열전 | 태그 역사인물 , 한국사
  • 오리문집 梧里文集
    사정을 살펴볼 수 있는 자료가 많다. 별집의 「인견주사」는 임금의 부름을 받아 주대(奏對)한 것으로 당시의 정사를 논의한 것이다. 이 책에는 임진왜란·정묘호란 등 나라의 어려움으로 복잡했던 시정(時政)을 살펴볼 수 있는 자료가 많이 있다. 별집 부록의 「연보」는 원집 「연보」에 잘못된 것이 많다고 다시...
    시대 :
    조선
    저작자 :
    이원익(李元翼)
    창작/발표시기 :
    1691년(원집), 1705년(속집)
    성격 :
    시문집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7권 7책
    간행/발행 :
    이상현(원집), 이존도(속집)
    분야 :
    종교·철학/유교
    소장/전승 :
    국립중앙도서관, 규장각 도서, 장서각 도서, 고려대학교 도서관, 연세대학교 도서관, 이화여자대학교 도서관
  • 임경업 영백(英白), 林慶業
    이듬해 행첨지중추부사 겸 우림위장(行僉知中樞府事兼羽林衛將)을 거쳐 방답첨사(防踏僉使)로 임명되었고, 1626년 전라도 낙안군수로 부임하였다. 1627년 정묘호란이 일어나자 전라병사 신경인(申景禋)이 좌영장(左營將)에 임명하고 청군을 무찌르기 위해 서울로 향하였다. 그러나 이 때는 이미 주화파에 의해 강화가...
    시대 :
    조선
    출생 :
    1594년
    사망 :
    1646년
    경력 :
    첨지중추부사, 용양위부호군, 청북방어사, 안변부사, 의주부윤
    유형 :
    인물
    관련 사건 :
    이괄의 난, 정묘호란, 병자호란
    직업 :
    공신, 무신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평택(平澤)
  • 수어청 守禦廳
    1626년(인조 4)에 축조된 남한산성은 정묘호란 전까지는 전속된 군사가 없이 총융청(摠戎廳)의 군사나 남방하삼도(南方下三道)의 입번군의 입거지(入居地)로 이용되었다. 따라서 남한산성에 대한 최종관리는 총융사가 겸임하고 광주목사가 남한산성 방어사를 겸임하여 산성을 직접 관리했다. 1632년 무렵부터 남한산성...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노랄수사 老辣隨辭
    반정초에 국정이 문란함에 대해 왕이 대책을 묻자 그에 대답한 것이다. 부국강병을 위해 호패(號牌)·양전(量田)·군적(軍籍)을 행해야 한다고 주장했고, 정묘호란 때 초병(抄兵)의 이해와 적의 침략을 막기 위한 수화전(守和戰)의 삼책(三策)을 논변하였다. 「강화논변」에서는 1627년 정묘호란 때 임금을 모시고...
    시대 :
    조선
    저작자 :
    이귀(李貴)
    창작/발표시기 :
    1651년
    성격 :
    문집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4권 4책
    간행/발행 :
    안방준(편집)
    분야 :
    종교·철학/유교
    소장/전승 :
    규장각 도서
  • 임경업 병자호란, 치욕과 맞서다
    기개 넘치는 젊은 무장 정묘호란을 일으킨 청나라가 9년 만인 1636년(인조 14)에 다시 쳐들어왔다. 병자호란(丙子胡亂)이었다. 결국 왕이 무릎을 꿇어 항복함으로써 치욕으로 끝난 전쟁이었다. 그러나 이 전쟁에서도 청군과 누구보다 용맹스럽게 맞섰고, 항복 이후에도 청나라를 일심으로 배격한 기개 넘치는 무장이...
    시대 :
    조선
    출생 :
    1594년(선조 27)
    사망 :
    1646년(인조 24)
    본관 :
    평택(平澤)
    도서 명장열전 | 태그 역사인물 , 한국사
  • 승가예의문 僧家禮儀文
    1593~1661)는 속성이 이씨(李氏)이다. 13세에 출가하여 청허휴정(淸虛休靜)의 법손인 송월응상(松月應祥)의 법맥(法脈)을 이었다. 정묘호란 등에서 의병장으로 활동하였는데, 정묘호란 때 승군(僧軍) 4,000여 명을 거느리고 안주성(安州城)을 지켰으며, 병자호란 때는 군량미를 모아서 제공하였다고 한다. 서지사항 1...
    시대 :
    조선 후기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종교·철학/불교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현재페이지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7건

정묘호란 당시 후금의 침입 경로
정묘호란 당시 조선 장수의 복장
남한산성 수어장대
강화 지도
홍타이지
▲ {정묘호란과 병자호란}
정묘호란 상황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