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보령 베이스리조트(대천웨스토피아콘도)보령베이스 C.C 등의 부대시설을 갖추고 있다. 서해안 관광벨트의 중심도시이며 자연이 아름답게 조화를 이루고 있는 곳에 위치한 보령베이스리조트는 관광 명품도시의 중심이 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리조트에는 100개 객실이 마련되어 있으며, 스탠더다드 침대와 온돌, 스위트 침대와 온돌, 로열 침대와 온돌로...
- 위치 :
- 충청남도 보령시 옥마벚길 10
도서 대한민국 구석구석 -
개성봉동유적 開城鳳東遺蹟한국토지공사 토지박물관과 북한의 사회과학원 고고학연구소가 2004년 공동으로 발굴조사를 실시하여 원삼국시대 집자리 1기, 고려시대 건물지 4기와 온돌 유구, 고려-근대의 토광묘 19기, 회곽묘 13기, 화장묘 2기, 석곽묘 1기 등을 확인하였다. 원삼국시대 집자리는 개성공업지구 1단계 사업지구중 2지점에 위치하며...
- 성격 :
- 복합유적
- 유형 :
- 유적
- 분야 :
- 역사/선사문화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양양 김택준 가옥 襄陽 金澤俊 家屋세살문으로 되어 있다. 도장은 원래 물품을 보관하는 장소였으나 지금은 방으로 사용하고 있다. 외양간과 화장실은 판벽이고 부엌에 이어서 뒷마당 쪽으로 온돌로 된 신주를 모신 방이 있다. 방의 오른쪽에 4대 조상을 모시는 단이 형성되어 있다. 사랑채는 자연석 세벌대쌓기 기단위에 겹도리 팔작지붕으로 전면과 측면...
- 유형 :
- 유적
- 분야 :
- 생활/주생활
-
움집비바람은 피할 수 있었다 하더라도 난방은 화로인 노(爐)에 의존해야 하였으므로 땅에서 올라오는 한기는 막을 수 없었다. 이러한 불편은 철기시대에 이르러 온돌이 발명됨으로써 해소된다. 철기시대의 움집에 사용된 초기의 온돌은 한줄로 고래를 만들어 바닥의 일부만을 난방하는 방식으로, 중국의 ‘깡[炕]’과...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생활/주생활
-
타지크족의 민속 문화들어오게 하고, 통풍이 되게 한다. 가옥은 낮지만 널찍하며, 주인 방, 객방, 고방, 주방 등이 있다. 집안에는 온돌이 있는데, 온돌은 실내 세면을 에워싸며, 온돌위에 모전을 깔고, 가족은 나이순으로 온돌 위에 앉는다. 부엌은 방 맞은편에 있고, 부엌 뒤에 다용도실을 만들어 일상음식물을 넣어둔다. 혼인 · 가정...
- 분류 :
- 이란어족 민족 > 타지크족
-
불에너지에 대해 세계 각지에서 연구의 박차를 가하고 있다. 불의 이용 불을 이용한 것 가운데 우리 나라 역사상 특이하게 발달한 경우로 우선 온돌의 예를 들지 않을 수 없다. 온돌은 우리 나라에서 기원전부터 발달하기 시작한 독특한 난방방식으로 지금까지 거의 대부분의 우리 나라 사람들이 선택하는 안방 난방법으로...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과학/과학기술
-
옥구 농사짓기 소리 김매기 소리마친다. 가락의 구성음과 주요음은 〈잦은 산타령〉과 같으며, 매우 씩씩하게 들린다. 사설은 다음과 같다. 만경 산타령 나 하하 헤에에 헤에이/헤헤에 오호 온돌/히히헤헤 헤헤헤이가 산하지로구나/아하아 나아아헤에헤/헤헤이 헤헤에 오호 온돌/히히헤헤 헤헤헤이가 산하지로구나 아하아 바람 부네 바람이 부네/농촌...
-
-
청국장 淸麴醬영조 36) 유중임(柳重臨)에 의하여 보강된 ≪증보산림경제≫에서이다. 여기에 적힌 만드는 법은 “햇콩 한 말을 가려서 삶은 뒤에 가마니 등에 쟁이고, 온돌에서 3일간 띄워 실(絲 사)이 생기면 따로 콩 다섯 되를 볶아 껍질을 벗겨 가루 내고 이를 소금물에 혼합하여 절구에 찧는다. 때때로 맛을 보며 소금을 가감한다...
- 성격 :
- 음식, 장
- 유형 :
- 물품
- 재질 :
- 콩
- 분야 :
- 생활/식생활
-
-
고려시대 한국 주택여겨진다. 서긍의 〈고려도경 高麗圖經〉에 의해 상류주택에서는 침상생활을 했고, 서민주택에서는 고구려의 ㄱ자형 구들이 계승되어 발전했음을 알 수 있다. 온돌에 관한 기록은 최자의 〈보한집〉과 이인로의 〈동문선〉 공주동정기에도 보인다. 공주동정기에 "겨울에 거처할 욱실과 여름에 쓸 양청을 마련했다"라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