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민주화운동의 양대 거목, 김영삼 vs 김대중이라고 해요. 박정희는 이 개헌을 통하여 1971년 대통령 선거에 여당인 공화당 대통령 후보로 다시 출마를 준비했어요. 이 무렵, 김대중과 김영삼은 야당인 신민당에서 정치인으로서 입지를 다져 가고 있었어요. 나이가 40대인 이들은 앞날이 창창한 젊은 정치인이었어요. 당시 신민당에서는 대통령 자리를 놔두고...
-
-
조연하 춘산(春山), 趙淵夏중퇴했다. 1955년 민주당 중앙상무위원으로 정당 생활을 시작했으며, 1960년 제5대 국회의원에 당선되었다. 민중당 당무위원으로 활동하다가 1971년 7월 신민당 소속으로 순천·승주 지역구에서 제8대 국회의원에 당선되었다. 1972년부터 신민당 원내부총무, 전남도당위원장 및 신민당 중앙당무위원으로 활동했으며...
- 시대 :
- 현대
- 출생 :
- 1924년 5월 17일
- 사망 :
- 2006년 8월 28일
- 경력 :
- 국회의원, 국회의장, 국민당최고의원
- 유형 :
- 인물
- 직업 :
- 정치인
- 대표작 :
- 세상에 이럴수가
- 성별 :
- 남
- 분야 :
- 정치·법제/정치
- 본관 :
- 순창(淳昌)
-
김의택 金義澤발을 내딛었는데, 제4대 때부터 민주당소속으로 출마하면서 평생을 반독재의 야당정치생활로 일관하였다. 1961년 신민당 조직부장, 1966년 신민당 대회의장, 1968년 신민당 지도위원, 1973년에 신민당 수석부총재 겸 정무위원 등을 역임하면서 야당정치계의 지도급 인사로 민주화운동에 헌신하였다. 제5공화국이 출범...
- 시대 :
- 현대
- 출생 :
- 1909년
- 사망 :
- 1984년
- 경력 :
- 충청북도 경찰국장, 신민당 수석부총재, 민권당 총재
- 유형 :
- 인물
- 직업 :
- 정치인
- 성별 :
- 남
- 분야 :
- 정치·법제/정치
-
양일동 현곡(玄谷), 梁一東위원회에 가담하면서 정치에 입문하여 제1공화국 자유당 때에는 야당계 무소속으로 반독재운동에 민주당과 행동을 같이하였으며, 5·16군사정변 후에는 구신민당의 원내총무 · 정무위원 등을 지냈다. 1954년 제3대 민의원에 당선되어 1979년 제10대 국회의원 당선에 이르기까지 5선의원을 지냈고, 두 번의 「정치정화법...
- 시대 :
- 현대
- 유형 :
- 인물/근현대 인물
- 분야 :
- 정치·법제/정치
-
직선제개헌 直選制改憲제5공화국 헌법 개정의 문제는 2·12총선거 직후부터 야당과 민주화운동 내부에서 꾸준히 제기되었다. 2·12총선거를 통해 창당한지 채 1개월도 안 되는 신민당이 제1야당으로 급부상했고, 지도부는 1985년 8월 전당대회를 통해 대통령 직선제 개헌을 공식당론으로 확정하였으며 이를 12대 국회의 일차적 의제로 설정...
- 시대 :
- 현대
- 유형 :
- 사건
- 분야 :
- 역사/현대사
-
정일형 鄭一亨이후 계속 야당에 소속되어 1965년 한일국교정상화에 관한 조약의 비준에 반대하여 의원직을 사퇴하였다. 1966년 신한당(新韓黨) 고문, 이듬해에는 신민당(新民黨) 부총재가 되었다. 1969년 유엔총회 한국대표로 활약하였고, 그 해 국토통일원 고문에 추대되었다. 1971년 신민당선거대책본부장으로 당시 신민당 대통령...
- 시대 :
- 현대
- 출생 :
- 1904년
- 사망 :
- 1982년
- 경력 :
- 2∼8대 국회의원, 대한통신사 사장, 신민당 부총재, 통일연구협회 회장
- 유형 :
- 인물
- 직업 :
- 정치인
- 대표작 :
- UN과 한국, 국제연합독본, 유엔의 설립과 업적, 오직 한길로
- 성별 :
- 남
- 분야 :
- 정치·법제/정치
-
박병배 朴炳培1958년 무소속으로 충청남도 대덕의 민의원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고, 1960년 9월 국방부 정무차관에 임명되었다. 1967년 신민당 소속으로 대전에 출마하여 당선되었으며 1968년에는 신민당 충남도당 위원장에 선출되었다. 1971년 8대 총선에서도 재선되었다. 1973년 1월 30일 유진산에 반대하여 신민당을 탈당하고...
- 시대 :
- 현대
- 출생 :
- 1917년
- 사망 :
- 2001년
- 경력 :
- 서울시 경찰국장, 국회의원
- 유형 :
- 인물
- 직업 :
- 관료, 경찰, 정치인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현대사
-
김판술 도암, 金判述연합하여 민중당이 창당하자, 12월 유옥우의 사퇴로 공석이 된 민중당 중앙상무위원회 의장이 되었다. 1967년에는 신민당 창당에 참여하여 신민당 지도위원으로 활동하였고, 1968년 6월 신민당 중앙상무위원장으로 선출되었다. 1969년 7월 삼선개헌 반대 범국민투쟁위원회 발기인으로 참여하였다. 1971년 제8대 국회의원...
- 시대 :
- 현대
- 유형 :
- 인물/근현대 인물
- 분야 :
- 정치·법제/법제·행정
-
이상돈 李相敦1960년 선거 직후 장면(張勉) 총리가 민주당 신파의 자파 중심적 정국 운영에 반발해 민주당 구파는 집권당을 분당시켜 야당인 신민당을 별도로 창당하였고, 이듬해에는 신민당 선전부장을 역임하였다.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정당(民政黨) 후보로 천안 · 천원에서 당선되었다. 그 뒤 1966년 민중당 충남...
- 시대 :
- 현대
- 유형 :
- 인물/근현대 인물
- 분야 :
- 정치·법제/정치
-
홍영기 洪英基신파의 소장파 의원이었으며, 1965년 제6대 민의원 서대문 을구 보궐선거에서 민중당으로 당선되었다. 1970년에는 신진자동차 법률고문을 역임했다. 1971년 신민당 소속으로 성동을지역에서 제8대 국회의원에 당선되었다. 1971년부터 1973년까지 신민당 정무위원을 역임했고, 1979년에도 신민당 정무위원을 지냈다. 유신...
- 시대 :
- 현대
- 유형 :
- 인물/근현대 인물
- 분야 :
- 정치·법제/정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