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필리핀 봉기 필리핀-미국 전쟁, Philippine insurrection
    잔혹한 보복전쟁을 벌여, 후에 군법회의에 회부되어 퇴역했다. 1902년 이후에도 전투는 계속되었지만 미군 당국은 나머지 유격대들을 도적으로 간주했다. 시메온 올라가 이끌던 1,000여 명의 게릴라들이 1903년말까지 투쟁했고, 마닐라 남부 바탕가스 지방에서는 마카리오 사카이가 지휘하는 군대가 1906년까지 저항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전쟁
  • 북마케도니아 국가 기본 정보 Macedonia Information
    전 알렉산더 대왕 때 오늘날의 그리스에 속해 있었다. 이후 로마인이 그리스를 지배하면서 이 지역은 동로마제국이 되었고, 9세기에 들어서 불가리아인인 짜르 시메온에 의해 점령당했다. 불가리아에 속했다가 주변 여러 국가에 번갈아 지배를 당하는 등 많은 수난을 겪다가 발칸 전쟁 때 분할되었다. 이후에는 국민...
    수도 :
    스코페(Skopje)
    언어 :
    마케도니아어
    화폐 :
    데나르(Denar/MKD), 1MKD ≒ 25원(2015년 10월 기준)
    시차 :
    한국보다 8시간 느리다. 서머타임 기간에는 7시간 느리다.
    도서 ENJOY 동유럽 | 태그 유럽 , 해외여행
  • 시프노스 Sifnos
    석회암 산맥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산맥의 주요봉우리들인 프로피트스일리아스(694m)와 아이오스시메온(495m) 꼭대기에는 비잔틴 양식의 교회가 있다. 고대에 아테네인들이 이곳에다 식민지를 세웠다. BC 525년경에는 이곳의 금·은 광산이 델피 국고를 유지하는 재원이었으나 AD 1세기에 이르러 홍수로 유실되었다...
    위치 :
    그리스 남동부 키클라데스 제도
    인구 :
    2,770명 (2024년 추계)
    면적 :
    73.94㎢
    언어 :
    그리스어
    대륙 :
    유럽
    국가 :
    그리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유럽
  • 프레슬라프 벨리키플레슬라프, Preslav
    슈멘 시에서 남서쪽으로 18㎞ 떨어져 있으며, 프레슬라프 산맥 기슭에 있다. 이 도시는 8세기에 고대 불가리아인들에 의해 세워져 예스키스탐볼후(예스키스탐불)라 불렸으며, 10세기 시메온 대왕의 통치기간중에는 불가리아의 수도로 채택되었다. 지금은 농업 중심지로서 주로 포도주·과일이 생산되며 돼지가 사육된다.
    위치 :
    불가리아 동부 슈멘 시 남서부
    인구 :
    7,178명 (2017 추계)
    면적 :
    76.76㎢
    대륙 :
    유럽
    국가 :
    불가리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유럽
  • 베틴 왕조 Wettin dynasty
    작센코부르크계의 에른스트 베틴 가문에서 19~20세기에 배출한 왕들로는 포르투갈의 페드루 5세에서 마누엘 2세까지, 불가리아의 페르디난드 1세에서 시메온 2세까지, 벨기에의 레오폴 1세와 그 이후의 왕들, 영국의 에드워드 7세와 그 이후의 왕들을 들 수 있다. 영국에서는 왕조의 이름을 1917년에 윈저(→ 윈저 왕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바르 코크바 Bar Kokhba
    아일리아를 건설했으며, 유대교 성전을 헐고 그 자리에 유피테르 카피톨리누스 신전을 세우도록 명했다. 이에 분노한 유대인들은 세력이 있고 성미가 불같은 시메온 바르 코스바를 우두머리로 해 132년 반란을 일으켰다. 그는 다윗의 후손이라고 알려져 있었고, 당시 가장 위대한 랍비 아키바 벤 요세프로부터 바르 코크...
    출생 :
    미상
    사망 :
    AD 135
    국적 :
    유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표도르 3세 Fyodor III
    마련했다. 차르 알렉세이(1646~76 재위)의 장남으로, 러시아와 슬라브 교회의 전통과목을 배웠을 뿐만 아니라, 키예프와 폴란드에서 수학한 유명한 신학자 시메온 폴로츠키에게 폴란드어와 라틴어를 배우기도 했다. 알렉세이가 죽은 뒤 왕위를 계승했으나(1676. 1. 29[구력 1. 19]) 어리고 몸이 허약해 국정에 적극 참여...
    출생 :
    1661. 6. 9(구력 5. 30), 모스크바
    사망 :
    1682. 5. 7(구력 4. 27), 모스크바
    국적 :
    러시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마케도니아 왕조와 비잔티움 제국의 최전성기
    이탈리아는 여전히 이슬람의 세력하에 묶여 있었다. 불가리아인과 루스인은 개종 이후 처음에는 비잔티움에 대등한 외교관계를 요구했으나 불가리아의 군주 시메온 이후부터는 차츰 평화적 관계로 회복되었다. 그 대신 비잔티움은 동북부의 최변경인 중앙아시아의 유목민과 직접 맞서야 하는 부담을 안게 되었다. 동·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고대
  • 신전에서의 봉헌
    모세의 율법에 따라 마리아가 신전에서 예언자 시메온에게 예수를 봉헌하는 장면을 그린 작품이다. 기하학적 문양의 타일 바닥과 열주들은 투시원근법적 깊은 공간을 연출하고 있으며, 중세의 화려한 장식성과 색채, 인물의 섬세한 묘사가 돋보인다. 아름답고 화려한 제단화로, 화려하고 섬세한 느낌이 시에나 화파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서양화 , 미술
  • 알렉산데르 Alexander
    총대주교 니콜라우스 미스티쿠스를 복권시켰다. 896년에 맺은 조약에 따라 불가리아에 주기로 되어 있던 연공을 못 내겠다고 거절함으로써 막강하고 호전적인 불가리아 왕 시메온과 전쟁을 치르게 되었다. 레오의 아들이며 나중에 콘스탄티누스 7세가 된 조카를 후계자로 선포했으며 몇 달 동안 그와 함께 공동통치했다...
    출생 :
    870
    사망 :
    913. 6. 6, 콘스탄티노플
    국적 :
    비잔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테오도시우스 Saint Theodosius of Palestine
    팔레스타인에 수도원제도를 보급한 사람들 가운데 한 사람이다. 451년경 안티오크 근처의 주상고행자(柱上苦行者) 시메온과 예루살렘의 다윗 탑 수도원 수사들의 권고로 금욕생활을 시작하여, 455년 예루살렘 남쪽 테오토코스 수도원에 들어갔다. 이 수도원의 여성 후원자에게 관리자로 임명받았지만 그 자리를 사임하고...
    출생 :
    423경, 소아시아 카파도키아
    사망 :
    529. 1. 11, 예루살렘 근처
    국적 :
    팔레스타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라그 바 오메르 Lag B⁾Omer, Lag ba-Omer
    의하면 이날 랍비 아키바 벤 요셉을 따르는 사람들에게 퍼진 질병이 사라졌다고 주장한다. 북갈릴리 메론에서는 수천 명의 정통파 유대교인이 위대한 랍비 시메온 벤 요하이의 무덤으로 즐거운 순례를 떠난다. 어린 아이들은 처음으로 머리를 깎고 활과 화살(무지개를 상징)을 갖고 놀며, 밤에 모닥불 주위에서 춤추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현재페이지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3건

시메온(Saint Symeon the New Theologian)
시메온 메타프라스테스(Simeon Metaphrastes)
산 시메온 피콜로 성당(San Simeon Piccolo)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