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장유산 왕후사 長遊山 王后寺
    遺事)』와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의 김해도호부 고적(古蹟)조, 그리고 1630년(인조 8)에 편찬된 『김해읍지(金海邑誌)』 비판(碑板)조에 인용된 「명월사사적비문(明月寺事蹟碑文)」 등에 전한다. 『삼국유사』에 수록된 『가락국기(駕洛國記)』에 의하면 수로의 제8대손 김질(金銍王)이 시조모...
    유형 :
    유적
    분야 :
    종교·철학/불교
  • 거더교의 휘어짐은 어떻게 방지할 수 있나?
    기둥은 인장력이 작용하는 상태가 된다. 대공은 교량 중심부의 휘어짐을 방지할 수는 있지만 기둥 사이나 다리 중심부가 휘어짐을 방지하지는 못한다. 이런 것...작용하는 압축력으로 바꾸는 비슷한 방법이 돌과 콘크리트를 사용했던 로마인들에게도 알려져 있었다. 그들은 거대한 수로에 아치를 설치한 것으로 유명...
  • 센나케리브 Sennacherib
    대형 수로를 통해 호스르 강으로 끌어왔다. 또한 그는 아슈르를 비롯한 다른 도시에서도 활발한 토목공사를 벌였다. 센나케리브는 자신이 기술 분야에서도 창의력을 발휘했다. 그는 설화석고와 건축용 석재를 새로 발굴해내기 위해 탐사작업을 벌였으며 산악 삼림지대에서 새로이 거대한 건축용 목재를 찾아내기도 했다...
    출생 :
    미상
    사망 :
    BC 681. 1, 니네베(지금의 이라크에 있음)
    국적 :
    아시리아
  • 갱세 賡世
    내용 금관가야 시조 수로의 17대손으로 관등은 급찬(級飡)이었다. 「가락국기」에 의하면 532년 가야의 마지막 왕인 구형이 신라에 항복한 뒤 수로의 묘제사(廟祭祀)가 이어지지 못하다가 661년(문무 1) 수로의 묘에 제사지낼 것을 결정하고 밭 30경(頃)을 왕위전(王位田)으로 마련하였다. 이때 갱세는 조정의...
    시대 :
    고대/남북국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경력 :
    급찬(級飡)
    유형 :
    인물
    직업 :
    관리
    분야 :
    역사/고대사
  • 타추간 陀鄒干
    많고 지식이 많은 금관국(金官國)의 수로을 초빙하여 물었더니, 수로이 그 땅을 음즙벌국에 속하게 하여 재판에서 이겼다. 그러자 파사이사금이 6부(部)에 명하여 수로을 향연으로 대접하게 하였는데, 5부는 모두 이찬(伊飡)으로 접빈주를 삼았음에 비하여, 오직 한기부(漢祗部)만이 벼슬이 낮은 자로 하여금 접대...
    시대 :
    고대/삼국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유형 :
    인물
    관련 사건 :
    실직곡국(悉直谷國)과의 영토분쟁
    직업 :
    성별 :
    분야 :
    역사/고대사
  • 구지가 영신군가, 龜旨歌
    싸인 금합에 황금빛 알 여섯개가 들어 있었다. 며칠 뒤 금합을 열어보니 모두 용모가 준수한 동자로 변해있었는데, 이 중 가장 큰 알에서 나온 사람이 수로이었다고 전한다. 해석 <영신군가(迎神君歌)>·<구지봉영신가(龜旨峰迎神歌)>라고도 한다. 가락국 시조 수로의 강림신화에 곁들여 전한다. 원래의 노래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품 , 음악
  • 가야문화축제 가락문화제, 伽倻文化祝祭
    개설 서기 42년 김수로이 건국한 가야국의 문화를 되새기고 이를 기념하기 위하여 개최한 군 단위의 행사이다. 1962년부터 춘향대제일(春享大祭日: 수로의 제례일인 음력 3월 15일)에 개최했던 ‘가락문화제(駕洛文化祭)’와 2005년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목적으로 추진했던 ‘가야세계문화축전’을 통합하여 2007년...
    시대 :
    현대
    성격 :
    마을축제, 지역축제
    유형 :
    의식행사
    행사시기 :
    음력 3월 15일(김수로왕 춘향대제일)
    장소 :
    경남 김해시 일대
    주관처 :
    (사)가야문화축제제전위원회
    분야 :
    생활/민속·인류
  • 구지가 龜旨歌
    주원사로 보기도 하였다. 이외에도 ⑤ 거북이 머리를 내민다는 것은, 토템의 출현과 수로의 탄강(誕降)이 상응하여 거북 토템이 머리를 내밀듯 상서로운 수로의 탄생이 있으리라는 뜻으로 보아 어디까지나 무속적·주술적 신요(神謠)라는 견해도 있다. ⑥ 가락국의 우두머리를 선정하는 과정에서 불려진 귀복가(龜卜歌...
    시대 :
    고대/초기국가
    저작자 :
    미상
    성격 :
    고대가요
    유형 :
    작품
    분야 :
    문학/고전시가
  • 음즙벌국 音汁伐國
    실직곡국(悉直谷國)과 영역분쟁이 일어나 사로국(斯盧國王)에게 청결을 부탁하였으나 파사이사금이 이를 난처히 여겨 나이 많고 지혜로운 김해 금관국(金官國) 수로에게 청하매 분쟁지를 음즙벌국에 속하게 하였다. 이에 6부(部)에 명하여 수로에게 연회를 베풀게 하였는데, 5부는 모두 이찬(伊飡)으로 빈주(賓主...
    시대 :
    고대/초기국가
    성격 :
    국가, 고대국가
    유형 :
    지명
    소재지 :
    경상북도 경주시
    분야 :
    역사/고대사
  • 근초고왕 近肖古王
    북중국에는 수로(水路)에 익숙하지 못한 호족이 들어서게 되자, 이 전통적인 해상 교통로와 상업로는 백제가 계승하게 되었다. 이리하여 백제는 요서 지역에 설치한 무역 기지와 한반도와 일본 지역에 자리잡은 백제계 세력들을 연결해 고대 상업망을 형성함으로써 무역의 중심 구실을 하게 되었다. 동시에 근초고왕 대...
    시대 :
    고대/삼국
    출생 :
    미상
    사망 :
    375년
    유형 :
    인물
    관련 사건 :
    평양성싸움
    직업 :
    성별 :
    분야 :
    역사/고대사
  • 피도간 피장간(彼藏干), 彼刀干
    내용 『삼국유사(三國遺事)』의 「가락국지」에 전하는 수로신화에서 나오는 9간(干)의 하나이다. 「가락국지」에 의하면, 피도간 등 9간은 추장으로서, 각기 그 촌락민을 자치적으로 다스리고 있었는데, 의례가 행해지는 3월 어느날 이들 집단의 성소(聖所)인 구지봉(龜旨峯)에서 하늘로부터 계시가 들려 왔다. 9...
    시대 :
    고대/삼국
    성격 :
    씨족장
    유형 :
    제도
    분야 :
    역사/고대사
  • 김유신 Kim Yu-sin, 金庾信
    興武大王, 약칭 흥무대왕)으로 추존되었다. 신라를 포함하여 고려와 조선에 이르기까지 성신(聖臣)·주석지신(柱石之臣) 등으로 추앙받았다. 금관국을 세운 수로의 12대 손이라고 언급된다. 금관국의 마지막 구형이 법흥 19년(532년) 세 명의 아들을 거느리고 신라에 항복했으며, 그의 세 아들 중 막내인...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현재페이지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2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