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진안 은수사 청실배나무 鎭安 銀水寺 靑실배나무
    경내에 자리잡고 있다. 청실배나무로부터 북서쪽 10m 지점에는 약수터가 있고 남쪽 30m 지점에는 신라 때부터 서다산(西多山)이라 불러온 마이산(馬耳山)의 산신령에게 나라의 평안과 풍년을 기원하는 마이산제를 지냈다는 제단이 있다. 청실배나무 아래에는 높이 50㎝쯤 되는 석축이 있고 윗부분은 1m 너비의 시멘트로...
    유형 :
    생물
    분야 :
    과학/식물
  • 영해별신굿놀이 寧海別神굿놀이
    같다. ① 문굿, ② 부정굿, ③ 일월맞이굿, ④ 당맞이굿, ⑤ 중당맞이굿, ⑥ 상당맞이굿, ⑦ 골맥이청좌굿, ⑧ 화회굿, ⑨ 각댁조상굿, ⑩ 조상하회굿, ⑪ 산신령굿, ⑫ 토주진신굿, ⑬ 성조굿, ⑭ 심청굿, ⑮ 용왕굿, ⑯ 천왕굿(원님굿), ⑰ 탈놀이, ⑱ 군웅굿, ⑲ 손님굿, ⑳ 걸립굿, ㉑ 꽃노래굿, ㉒ 등노래굿, ㉓...
    유형 :
    의례·행사
    분야 :
    종교·철학/민간신앙
  • 무량천도 無量天道
    상제(上帝)·사두성군(四斗星君)·지황(地皇)·산왕대신(山王大神)·사해용왕(四海龍王)·와룡신장(臥龍神將)·태을천모(太乙天母) 등이다. 즉, 천신·지신·산신령·영웅신(關羽·劉玄德·諸葛亮·張飛 등)·성자(孔子·老子·佛陀·예수) 그리고 국조 단군을 믿는다. 신도들은 천지신명이 김진하에게는 경문을 주어...
    시대 :
    근대
    위치 :
    대전직할시 중구 대사동
    설립 :
    1940년
    성격 :
    신종교
    유형 :
    단체
    설립자 :
    김진하(金振河)
    분야 :
    종교·철학/신종교
  • 도드람산(저명산)
    병환에 특효가 있다는 석이버섯을 따기 위해 절벽에 밧줄을 매고 석이를 뜯는데 산돼지가 울어 올라와 보니 밧줄이 거의 끊어져 가고 있었다. 이때부터 산신령이 목숨을 구해주었다 하여 돝울음산(돼지울음)으로 불리다가 도드람산으로 변했다는 것이다. 또 전국 명산의 신령들이 모여 한양을 만들 때 마고할미에게...
    위치 :
    경기도 이천시 마장면 서이천로
  • 서우젯소리
    해녀들이 춤추며 즐기는 민요로 노래의 가사는 다음과 같다. 어혀여차 소리에다 서우젯소리로 놀고 놀자/요배를 타며는 어데로 나갈까/산으로 가면 산신령이요, 바다로 가면 용궁서낭/썰물이면 동해바다, 뱃물이면 서해바다. <權五聖> 한 종류의 노래가 무가와 무용 · 유희요 및 노동요 등 몇 가지 경우에...
    유형 :
    작품
    분야 :
    예술·체육/국악
  • 허민 본명: 허종(許宗), 許民
    중심으로 시조, 민요시, 동요, 노랫말에다 성가, 합창극에까지 이르는 다양한 갈래에 걸쳐 있다. 시의 제재는 산·마을·바다·강·호롱불·주막·물귀신·산신령 등 자연과 민속에 속하며, 주제는 막연한 소년기 정서에서부터 농촌을 중심으로 민족 현실에 대한 다채로운 깨달음과 질병(폐결핵)에 맞서 싸우는 한 개인...
    시대 :
    현대
    출생 :
    1914년
    사망 :
    1943년 봄
    경력 :
    동아일보 진주지국 기자
    유형 :
    인물
    직업 :
    시인, 소설가
    대표작 :
    야산로, 봄과 님이, 아이고 요것이, 아침밥, 아픈 다리, 어머니에게-조선, 문에 비친 두 그림자, 삼월의 눈바람, 율화촌, 병상기, 구룡산, 어산금, 박과 호박, 나의 영록기
    성별 :
    분야 :
    문학/현대문학
  • 형사소송법, 구속 적부 심사 나 없으면 우리 회사 망하는데
    사례 산신령이 선물로 준 금도끼 은도끼로 벼락부자가 된 전직 나무꾼 박졸부 씨가 설악산에 대규모 레저 회사를 세워 사장이 되었다. 어느 날 사업상 술을 마시고 취한 채로 차를 몰고 귀가하다가, 횡단보도에서 사람을 치고 그대로 도망을 쳤다. 피해자는 사망하고, 박 씨는 구속되었는데 벌여놓은 사업은 그가 없으면...
  • 노추산 모정탑길
    4남매를 두었으나 아들 둘을 잃고 남편은 정신질환을 앓는 등 집안에 우환이 끊이질 않았다. 그렇게 40대 중년에 접어들던 어느 날, 할머니는 꿈에 나타난 산신령이 계곡에 돌탑 3,000개를 쌓으면 집안이 평안해질 것이라는 계시를 받았다. 강릉 시내에 살던 할머니는 이때부터 돌탑 쌓을 장소를 찾아다녔고, 1986...
    위치 :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왕산면 대기리 1679-8
  • 일옥 진묵대사(震黙大師), 一玉
    예경을 받을 수 없다’라고 하였다. 일옥이 늙은 어머니를 전주 왜막촌(倭幕村)에서 봉양하고 있을 때, 여름날 모기 때문에 어머니가 고생하는 것을 보고 산신령을 불러 모기를 쫓게 한 뒤로는 이 촌락에 영영 모기가 없어졌다고 한다. 어머니가 돌아가시자 만경현 북면 유앙산(維仰山)에 장례를 치렀는데, 그 묘소에...
    시대 :
    조선
    유형 :
    인물/전통 인물
    분야 :
    종교·철학/불교
  • 단종대왕신 端宗大王神
    단종의 거소에 가보니 단종은 이미 변을 당한 뒤였다. 추익한은 다시 단종을 만났던 계사동까지 와서 단종을 따라 죽었다. 이후 추익한도 단종과 함께 태백산신령이 되었다. 또한, 신령이 된 충신이 있었는데, 그는 충의공(忠毅公) 엄흥도(嚴興道)이다. 단종이 변사하였을 때 세조가 두려워 누구 하나 돌보지 않자 당시...
    유형 :
    개념
    분야 :
    종교·철학/민간신앙
  • 삼신당 三神堂
    드리게 되면 복을 받고 소원성취할 수 있다고 믿고 치성을 드리러 온다. 삼신당은 계룡산에서 쫓겨난 것에 대해 매우 유감스럽게 여기고 있다. 수시로 산신령의 계시가 있을 때마다 계룡산만 잘 지키고 있으며 이 나라가 태평성대가 된다고 하였는데 계룡산을 지키지 못하고 쫓겨난 것이나, 일제 때 세운 항일운동이...
    시대 :
    근대
    위치 :
    충청남도 대덕군 기성면 장만리, 대전광역시 대덕구(이전)
    성격 :
    신종교
    유형 :
    단체
    설립자 :
    정운복(鄭運福)
    분야 :
    종교·철학/신종교
  • 풍악행 楓岳行
    고상하고 신성시한 면을 나타낸다. 작자가 외산(外山)의 남초암(南草庵)에서 만난 승려를 신선으로 부르고 있는 점에서도 그러한 점을 알 수 있다. 끝부분에 산신령이 여행한 내용을 적어달라는 부탁을 차마 거절할 수 없어 여행의 시말을 기록한다고 하였다. 의의와 평가 「풍악행」은 우리 나라 여행기록을 장편고시의...
    시대 :
    조선
    저작자 :
    이이
    창작/발표시기 :
    조선 중기
    성격 :
    기행시
    유형 :
    작품
    분야 :
    문학/한문학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현재페이지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건

황해도 평산 소놀음굿 산신령 청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