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김준민 신도비
    내려졌으며 진주 충민사(忠愍祠)에 제향되었다. 신도비는 임진왜란 당시 의병대장으로 크게 전공을 세우고 전사한 김준민 장군의 공적과 충의정신을 기록한 것...1910년(순종 4)에 통정대부 곽종석이 비문을 지었다. 귀부는 거북의 머리 부분만이 제대로 표현되어 있으며 입안에 여의주를 물고 있는 형상이다. 비석의...
    소재지 :
    경상남도 진주시 이반성면 발산리 629번지
    지역 :
    진주
  • 혈관의 구조와 기능
    내장으로 혈액을 공급한다. 위장간막동맥은 소장·대장에, 아래장간막동맥은 결장 아랫부분에, 신장동맥은 신장에, 고환동맥과 난소동맥은 생식기에 혈액을 공급...공급한다. 뒤경골동맥은 비골동맥으로 이어지고 앞경골동맥은 발등동맥으로 이어져 발에 혈액을 공급한다. 정맥 머리·목·팔·가슴 부위의 혈관들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순환기계
  • 충선왕 고려 26대왕, 忠宣王
    계국대장공주가 충렬왕의 처소를 통제하는 바람에 병든 충렬왕의 곁에는 일부 시종신들만 남고 모두 흩어지고 말았다. 그러는 가운데 이듬해 충렬왕 33년(1307) 1월 원나라에서는 성종이 죽고 황족 사이에 치열한 왕위 다툼이 벌어졌다. 그 끝에 무종이 즉위하게 되었는데 당시 충선왕은 무종을 편들어 반대파 아홀태를...
  • 의장기 군기, 儀仗旗
    돼지의 머리를 그렸다. 물 · 8월 · 북방을 상징하였다. 이상은 조선시대의 정식 의장에 포함된 기이며, 이 밖에도 여러 가지 종류의 기들이 부수적으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대한제국시대의 황제 의장에는 또 다른 종류의 기들이 사용되기도 하였다. (5) 천체문류 대한제국시대 황제의장으로 사용된 것인데, 그 특징은...
    유형 :
    개념
    분야 :
    사회/사회구조
  • 통영 충렬사 팔사품 일괄 統營 忠烈祠 八賜品 一括
    너비 30.3㎝. 팔릉형(八稜形)의 목제로서 한쪽에는 흑칠을 하고 ‘令(령)’자를 새긴 다음 붉은색으로 메웠으며, 다른 한쪽에는 분칠(粉漆)을 하고 ‘大將(대장)’이라고 썼다. 이 목패가 들어 있는 녹비[鹿皮] 주머니에는 표범의 머리를 그려 장식하였으며 역시 녹비로 끈을 만들어 달았다. ③ 귀도(鬼刀) 2자루 : 총...
    시대 :
    조선
    유형 :
    유물
    분야 :
    예술·체육/공예
  • 진나라의 흥망, 진승오광의 난 불타오르기 시작한 반란의 불꽃
    사람의 대장의 목이 진승의 손에 의해 날아가버렸다. 마침내 일은 벌어지고 말았다. 진승은 여러 사람에게 부르짖었다. “우리들은 모두 기한을 어겼소. 어양에 가도 참수될 것이고 요행히 참수를 면한다 해도 변방의 부역에 종사하게 될 것이오. 부역에 종사했다가 사고 없이 고향에 돌아온 사람은 지금까지 한 사람도...
  • 종규(柊揆)
    에는 ‘종규(柊揆)’라고 기록되어 있다. 내려치는 머리부분과 손으로 쥐는 자루부분으로 되어 있는데, 쇠로 만든 것을 ‘쇠메’, 나무로 만든 것을 ‘목메...부분은 비교적 크고 양쪽은 평평하게 되어 있다. 쇠메는 목수 외에 석수·대장 장이들이 많이 사용한다. 크기에 따라 대형·중형·소형으로 나뉘고 사용하는 곳...
    성격 :
    연장
    유형 :
    물품
    재질 :
    쇠, 나무
    용도 :
    박음용, 접합용
    분야 :
    예술·체육/건축
  • 숭례문에서 헌괵례를 거행하다
    1728년(영조 4년) 4월 19일, 영조는 토벌대장 오명항(吳命恒)을 숭례문에서 맞이했다. 이날 숭례문에서는 헌괵례(獻馘禮)를 거행했다. 헌괵례는 전쟁에서 승리한 장수가 임금에게 적의 머리를 바치는 의식이다. 한 달 전인 3월 14일 이인좌(李麟佐)의 난이 발발했고 소문은 삽시간에 퍼져 도성에선 피난민들이 짐을...
    관련 장소 :
    숭례문
  • 기우만 회일(會一), 奇宇萬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1895년 명성황후가 시해되고 이어 단발령이 내려지자 머리를 깎는 욕은 나라가 망하는 것보다 더한 일이라며, 머리를 깎고 사느니 차라리...편이 낫다는 통분의 상소를 하였다. 1896년(고종 33) 2월 제천의진의 창의대장 유인석(柳麟錫)의 격문이 호남지방에까지 영향이 미치면서 의병 봉기의...
    시대 :
    근대
    유형 :
    인물/근현대 인물
    분야 :
    역사/근대사
  • 홍국영 덕로, 洪國榮
    훈련대장에 임명되어 군권까지 거머쥐었다. 이런 그의 권세를 두고 김종수는 홍국영과 갈라지면 역적이 되는 것은 시간문제라며 탄식하기까지 했다. 실로 홍국영의 미래는 탄탄대로처럼 보였다. 노론 정파의 지도자로서, 임금의 신임을 독차지한 관료로서 장차 정승의 자리는 확실히 예약된 것이나 다름이 없었다...
  • 차전놀이 Chajeon nori
    등의 줄로 차머리를 ×형으로 졸라맨다. 사다리처럼 생긴 동채 위에는 사람이 서 있도록 방석만한 자리를 마련하고 작전에 열중케 한다. 동채 머리에는 고삐를 매어 대장이 잡고 지휘할 수 있게 하고 판자 뒤에는 나무를 X자 모양으로 하여 4귀를 체목에 묶어 동채가 부서지거나 뒤틀리지 않게 한다. 동채꾼은 대장...
    도서 위키백과
  • 신돌석 신출귀몰한 태백산 호랑이
    모으고 대장기를 앞세우고 일어났다. 그 대장기에는 ‘영릉의병장(嶺陵義兵將)’이라 씌어 있었다. 그의 막하에 모인 300여 명은 영해부에 주둔해 있는 일본군을 습격하여 전과를 올리고 이어 울진으로 짓쳐 올라가 바다에 떠 있는 일본 병선 아홉 척을 쳐부쉈다. 1907년 들어 그는 강원도에서 다시 경상도로 들어와...
    출생 :
    1878년
    사망 :
    1908년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현재페이지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2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