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함평 예덕리 고분군 예덕리만가촌고분군, 咸平 禮德里 古墳群지대를 조망하는 낮은 구릉에 자리한다. 1994년과 1995년에 전남대학교박물관에 의해 세 차례의 발굴 조사가 실시되어 14기의 무덤 분구(墳丘), 분구 내부와 도랑에서 나무널무덤과 독무덤 등 40여 기의 매장 시설이 조사되었다. 그중 12~14호분은 전면 발굴 조사가 이루어졌다. 이외에도 무덤 아래와 주변에서 움집터...
- 시대 :
- 고대/초기국가/삼한 , 고대/삼국
- 유형 :
- 유적/고인돌·고분·능묘
- 분야 :
- 역사/고대사
-
월계동 장고분 광주월계동장고분, 月桂洞 長鼓墳기념물로 관리되고 있다. 고분이 자리한 마을 지명은 '장구촌'으로 불리었는데, 장구 모양의 분형과 관련해 유래된 것임을 알 수 있다. 형태와 특징 1호분은 도랑을 포함한 전체 길이가 60m 내외이며, 분구 길이는 45m에 이른다. 도랑은 방패형으로 일본 전방후원분에서 일반적으로 확인되는 형태이다. 돌방은 원부 중앙...
- 시대 :
- 고대/삼국/백제
- 유형 :
- 유적/고인돌·고분·능묘
- 분야 :
- 역사/고대사
-
잔꼬리자루맵시벌0.54-0.55배이며, 홑눈은 작고 triangle은 흑색이다. 머리의 폭은 길이의 1.04-1.09배이다. Temple은 황갈색이고 넓고 볼록하며 점각은 매끈하고 뒷머리 용골도랑은 불완전하다. 이마의 폭은 길이의 2.05-2.11배이고 점각은 매끈하다. 얼굴은 황갈색이고, 폭은 길이의 1.66-1.85배이다.얼굴의 중앙부분은 넓고 약하게...
- 분류 :
- 벌목 > 맵시벌과
- 학명 :
- Mesochorus mandibularis Lee et Suh, 1991
- 출현시기 :
- 5월
-
에조어리자루맵시벌홑눈은 크고 triangle은 짙은 황갈색이다. 머리의 폭은 길이의 1.10-1.12배이다. Temple은 노란색이고, 좁고 편평하며, 점각은 매끈하다. 뒷머리 용골도랑은 정수리에서 직선에 가깝고 완전하다. 이마의 폭은 길이의 1.94-2.00배이고 점각은 매끈하고 광택이 있다. 얼굴은 노란색이고, 폭은 길이의 1.40-1.61배이다...
- 분류 :
- 벌목 > 맵시벌과 > 잎벌속
- 학명 :
- Astiphromma jezoense Uchida, 1928
- 출현시기 :
- 4월, 5월, 6월
-
부천 고강동 유적 富川 古康洞 遺蹟북쪽(A지구) 해발 68.9m의 주능선부를 따라 청동기시대 집자리가 분포하며, 남쪽(B지구) 해발 91.9m의 구릉 정상부를 중심으로 적석유구(積石遺構)와 원형도랑유구〔環溝遺構〕가, 그 아래쪽 사면에서 집자리가 조사되었다. 집자리는 구릉정상의 평탄대지 혹은 사면에 입지하며, 장축방향은 등고선과 평행하는 경우가...
- 유형 :
- 유적
- 분야 :
- 역사/선사문화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명화동 장고분 광주명화동고분, 明花洞 長鼓墳김희규 씨의 신고로 처음 알려졌고, 국립광주박물관에 의해 1993년과 1994년 두 차례에 걸쳐 조사되었다. 1993년 수습조사는 원형부 둘레 밭에 노출된 도랑〔周溝〕일부에 대한 것이었고, 1994년 발굴조사는 분구와 원형부의 매장시설, 나머지 도랑에 대한 것이었다. 유적이 위치한 명화동은 광주광역시 광산구의 서남쪽...
- 시대 :
- 고대/삼국/백제
- 유형 :
- 유적
- 분야 :
- 역사/고대사
-
반달무늬자루맵시벌특징 날개편 길이 30㎜정도의 중형 종에 속한다. 머리의 폭은 높이의 1.2배이며 후두용골도랑(occipital carina)은 완전하다. 복안(compound eye)은 매우크며 폭은 높이의 0.5배이며 검은 색을 띤다. 단안(ocelli)도 매우 크며 측단안(lateral ocelli)과 복안 거리가 중단안(median ocelli)의 폭의 길이의 0.1배로 매우...
- 분류 :
- 벌목 > 맵시벌과 > 느티나무노린재속
- 학명 :
- Enicospilus lineolatus (Roman, 1913)
- 출현시기 :
- 6월, 7월, 8월, 9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