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한국의 정원
    그밖에도 조선시대에는 전국 각지의 명승지에 수많은 누각이나 정자를 세웠다. 평양 대동강변의 부벽루, 서울 자하문 밖의 세검정, 진주의 촉석루, 남원광한루, 수원의 방화수류정 등 수없이 많은데, 오늘날 숲이 우거지거나 경관이 좋은 곳을 자연공원으로 지정해 이용하는 것과 거의 같은 수법의 조경이라고 할 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건축양식
  • 제천 청풍 한벽루 堤川 淸風 寒碧樓
    익랑은 누각으로 오르는 계단의 역할을 하는데, 덤벙주초 위에 네모난 돌기둥을 세우고서, 2층에는 8각의 나무 기둥을 세운 모습이다. 한벽루는 밀양의 영남루(嶺南樓), 남원광한루(廣寒樓)와 함께 익랑이 딸려 있는 대표적인 조선시대 누각 건물로, 가장 간결하고 단아한 외관을 갖추고 있다고 평가되고 있다. 참고문헌
    시대 :
    조선
    유형 :
    유적
    분야 :
    예술·체육/건축
  • 무주 한풍루 茂朱 寒風樓
    원래 관아가 자리하였던 남대천(南大川)가에 있었다고 하나 지금은 무주읍내가 한눈에 내려다보이는 언덕 위에 자리하고 있다. 전주의 한벽당(寒碧堂), 남원광한루(廣寒樓)와 더불어 호남의 삼한(三寒)으로 꼽히는 명승이었다고 한다. 조선 전기의 문장가 성임(成任)의 〈한풍루시 寒風樓詩〉가 전하여지고 있다...
    유형 :
    유적
    분야 :
    예술·체육/건축
  • 춘향전 春香傳
    예술 양식과의 결합을 통한 변모를 지속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물 역시 광의의 이본에 포함하여 볼 수 있다. 내용 「춘향전」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남원 부사의 아들 이 도령과 기생의 딸 춘향이 광한루에서 만나 정을 나누고 사랑에 빠진다. 그러다가 남원 부사가 임기를 끝내고 서울로 돌아가게 되자, 두 사람은...
    시대 :
    조선
    유형 :
    작품/문학
    분야 :
    문학/고전산문
  • 임제 자순(子順), 林悌
    이달(李達), 백광훈(白光勳), 허균(許筠), 성혼(成渾), 이이(李珥), 정철(鄭澈). 신흠(申欽) 등과 교류하였다. 1578년 3월에 서울로 상경하던 도중 남원광한루에서 백광훈, 이달, 양대박(梁大樸) 등과 시회를 가졌고, 그곳에서 수창한 시를 모아 『용성수창집(龍城唱酬集)』을 엮었다. 그는 고향인 회진리에서 1587년...
    시대 :
    조선 전기
    유형 :
    인물/전통 인물
    분야 :
    문학/한문학
  • 전규문 성언(聖彦), 田圭文
    체결된 뒤 의분으로 남원 · 임실 · 순창 등지에서 동지들을 규합, 의병항쟁에 대한 준비를 하였다. 1907년 양한규(梁漢奎)의병진의 남원 입성 때에 이에 가담, 광한루에 있는 일본군의 진을 공격하여 왜병들을 패퇴시켰다. 양한규가 지휘하는 의병들이 흩어진 뒤에도 항쟁을 계속하다가 일본경찰에 체포되어 광주지방...
    시대 :
    근대/개항기
    유형 :
    인물/근현대 인물
    분야 :
    역사/근대사
  • 춘향가 春香歌
    춘향이 남원 신임 사또의 수청을 거절하다가 옥에 갇힌 것을 이몽룡이 전라어사가 되어 구한다는 이야기를 판소리로 짠 것이다. 사설의 문학성이나 소리의 음악성으로 보아 가장 예술성이 높고 청중들에게 사랑을 받는 마당일 뿐만 아니라 사설의 길이도 가장 길어서 한마당을 모두 부르는데 짧은 바디는 5시간, 긴 바디...
    성격 :
    판소리
    유형 :
    작품
    분야 :
    예술·체육/국악
  • 춘향전 春香傳
    받았으나, 「옥중화」와 다른 차이는 등장인물을 대규모로 하고 있고, 변 부사를 전통 「춘향전」처럼 봉고파직(封庫罷職)시킴에 있다. 이로 인하여 춘향이 광한루에서 하는 추천(그네)놀이도, 춘향만의 추천이 아닌 여러 남원 처녀들의 추천 속에서 춘향의 모습을 형상하고 있다. 또 도령이 춘향에게 여러 차례 편지를...
    시대 :
    근대
    저작자 :
    유치진
    창작/발표시기 :
    1936년(조선일보에 연재), 1951년(출판)
    성격 :
    희곡
    유형 :
    작품
    분야 :
    문학/현대문학
  • 열녀춘향수절가 완판 84장본, 烈女春香守節歌
    를 칭송(稱頌)함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는 종결 부분에서 어사(御史)가 남원의 공사(公事)를 닦은 뒤에 춘향 모녀와 향단을 서울로 올려 보내고, 자신은 전라...참판의 서녀로 설정했기 때문에, 이야기의 전체적 흐름에서 나타난 변모는 광한루(廣寒樓)에서 춘향과 도령이 만날 때 자유연애의 분위기가 지배적이라는...
    시대 :
    조선
    유형 :
    작품/문학
    분야 :
    문학/고전산문
  • 만행산 선원사 萬行山 禪院寺
    유산으로는 약사전 안에 봉안된 철제여래좌상과 괘불(掛佛)이 있다. 선원사 철조여래좌상은 1965년 보물로 지정되었고, 괘불은 김세평이 약사전을 재건할 때 제작한 것으로 총 높이 12m, 너비 7.5m이다. 이 절은 남원 시내의 평지 절로서 고색은 거의 찾아볼 수 없으나 광한루 등과 함께 국가유산의 가치가 크다. 참고문헌
    시대 :
    고대/남북국
    유형 :
    유적
    분야 :
    종교·철학/불교
  • 광한루기 수산광한루기, 廣寒樓記
    있고, 활자본으로는 남원군청에서 간행한(1924년 ·1927년) 것이 개인소장 및 국립중앙도서관 소장으로 전하고 있다. 내용 및 형식 「광한루기」의 여러 이본들...廣寒樓記敍), 소엄주인(小广主人)의 광한루기후서(廣寒樓記後敍) · 독광한루기법(讀廣寒樓記法), 이동한(李東漢)의 광한루기발간사, 백정기(白定基)의...
    시대 :
    조선
    유형 :
    작품
    분야 :
    문학/한문학
  • 춘향전 Chunhyangjeon, 春香伝
    열녀춘향수절가(烈女春香守節歌)》이 가톨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송성욱 교수가 현대국어로 옮긴 판본과 영인본으로 수록되어 있다. 춘향전은 이몽룡이 남원 광한루에서 춘향이가 5월에 세류(가는 버드나무)처럼 아름다움을 자랑하면서 그네를 타는 모습을 보고 한눈에 애정을 느낀, 사회계급을 넘은 순수한 연애와...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현재페이지5 6 7 8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0건

남원 광한루
남원 광한루
남원 광한루
남원 광한루
남원 광한루
남원 광한루
남원 광한루
남원 광한루
남원 광한루 정측면
남원에 있는 광한루와 오작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