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시대 | 조선 |
---|---|
유형 | 유적 |
분야 | 예술·체육/건축 |
요약 충청북도 제천시 청풍면에 있는 고려후기 청풍현 출신의 승려 청공 관련 누정. 보물.
내용
1971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앞면 4칸, 옆면 3칸의 2층 누각으로, 지붕은 팔작지붕을 올렸다. 오른쪽에는 앞면 3칸, 옆면 1칸에 맞배지붕을 올린 행랑인 익랑(翼廊)이 붙어 있다. 원래 청풍면 읍리에 있었지만, 충주댐 공사 이후에 마을이 수몰되자 1983년에 지금의 위치로 옮겨 세웠다.
1317년(충숙왕 4)에 청풍현 출신의 승려인 청공(淸恭)이 왕사(王師)가 되자 청풍현을 군으로 승격하였는데, 이것을 기념하기 위해 객사 동쪽에 지었다고 전한다. 그 뒤 1397년(태조 6)에 청풍군수 정수홍(鄭守弘)이 수리하였다.전하는 중수기에는 ‘숭정갑술군수권경개창(崇禎甲戌郡守權璥改刱)’이라고 하여 1634년(인조 12)에 권경이 다시 건립하였다고 한다. 지금의 모습에는 이 때의 양식이 대체로 남아 있다. 1870년(고종 7)과 1900년에도 수리하였고, 1972년에 홍수로 무너진 것을 1975년에 복원하여 오늘에 이른다.
건물은 돌로 쌓은 낮은 기단 위에 있다. 기단 위에는 다듬지 않은 자연석을 덤벙주초(柱礎)로 놓고 가운데부분이 약간 부른 배흘림의 둥근 기둥을 1층과 2층에 각각 세웠다. 공포(栱包)는 기둥 위에만 올린 주심포(柱心包)인데, 쇠서[牛舌]는 뾰족하고 그 아래 받침인 초가지에는 연꽃 봉오리가 조각되어 있는 등 장식적 표현이 더해져 있다. 기둥과 기둥 사이는 모두 개방되었고, 마루바닥의 사방에는 닭의 다리 모양을 닮은 계자난간(鷄子欄干)이 둘러져 있다. 건물 안에는 송시열(宋時烈)·김수증(金壽增)이 쓴 편액과 함께 ‘청풍한벽루(淸風寒碧樓)’라고 쓴 김정희(金正喜)의 편액이 걸려 있다. 익랑은 누각으로 오르는 계단의 역할을 하는데, 덤벙주초 위에 네모난 돌기둥을 세우고서, 2층에는 8각의 나무 기둥을 세운 모습이다.
한벽루는 밀양의 영남루(嶺南樓), 남원의 광한루(廣寒樓)와 함께 익랑이 딸려 있는 대표적인 조선시대 누각 건물로, 가장 간결하고 단아한 외관을 갖추고 있다고 평가되고 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청풍한벽루 실측조사보고서』(문화재청, 2003)
- ・ 『충주댐수몰지구 문화재지표조사보고서』(충북대학교박물관, 1980)
- ・ 『충북의 문화재』(충청북도, 1978)
- ・ 『문화재대관』보물편(문화재관리국, 1969)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조선 문화재
추천항목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제천 청풍 한벽루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