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지질 lipids
    C), 수소(H), 산소(O)의 세 가지 원소로 구성되어 있는 유기화합물로 에테르, 클로로포름, 벤젠 등의 유기용매에 용해되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중성지방은 글리세롤(glycerol) 한 분자에 지방산(fatty acid) 세 분자가 결합되어 있다. 글리세롤에 결합되어 있는 지방산은 대부분 4~24개의 짝수 탄소원자를 가진 포화...
    도서 전통저장음식 | 태그 음식
  • 세포를 구성하는 저분자 물질의 합성
    메커니즘에 의해 진행되며, 포유류는 주로 후자의 방법을 사용한다. 지방 저장지방, 지질단백질, 세포소기관이나 세포의 막을 이루는 인지질의 구성요소는 글리세롤과 지방산, 그밖의 다른 화합물(세린, 이노시톨)이다. 글리세롤은 해당과정의 중간체인 다이히드록실아세톤인산에서 생성되는 글리세롤-1-인산 탈수소효소...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화학
  • 고분자물질의 합성
    UDP와 설탕-6-인산이 되고, 설탕-6-인산은 물과 반응해 설탕과 인산이 된다. 또한 UDP-갈락토오스와 포도당이 반응하면 UDP와 젖당이 생성된다. 지방 글리세롤-1-인산 1분자와 2분자의 지방산-아실 조효소 A(지방산과 조효소 A가 반응해 생성됨)가 결합해 포스파티드산이 된다. 이 포스파티드산이 인산기를 잃으면 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화학
  • 지방 脂肪, fat
    적당히 올리면 액화되기 시작한다. 동물성 및 식물성 기름은 화학적 조성이 같은데 주성분은 글리세리드이다. 이 글리세리드는 3분자의 지방산이 1분자의 글리세롤과 에스테르 결합을 한다. 단백질, 탄수화물과 더불어 지방은 3대 영양소이다. 단백질이나 탄수화물보다 약 2배의 에너지를 낼 수 있어 자연상태의 에너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화학 , 과학 일반
  • 생체에서 지방의 합성과 대사
    형성은 숙성기 후반에 시작된다. 숙성되기 전의 과일·씨·수액에는 주로 당과 녹말이 존재한다. 이들 당 성분은 숙성기에 이르러 효소에 의해 지방산과 글리세롤로 전환되어 글리세리드가 된다. 방사성동위원소로 표시된 화합물을 이용하여 분자들의 흐름을 추적해보면, 동물과 식물에서 모두 탄수화물이 지방으로 전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화학
  • 중성지방 中性脂肪, neutral fat
    글리세라이드는 열전도율이 낮으므로 추위를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만약 동물이 즉시 이용할 수 있는 양보다 많은 지방이나 탄수화물을 섭취하면 지방산은 글리세롤과 결합해서 중성지방으로 저장된다. 저장된 중성지방은 필요한 경우 효소 리파아제에 의해 지방산과 글리세롤로 쉽게 가수분해된다. 특징 중성지방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화학 , 건강
  • 알코올 alcohol
    형성되기 때문이다. 알코올의 히드록시기가 증가하면 단맛이 높아진다. 예를 들면 에탄올(C2H5OH)은 달지 않고, 프로필렌글리콜(C3H6(OH)2)은 약간 달다. 글리세롤(C3H5(OH)3)은 매우 달고, 만니톨(C6H8(OH)6)은 아주 달기 때문에 감미료로 쓰인다. 탄소의 수가 적은 알코올은 특유의 향기를 가지고 있다. 8~12개의 탄소...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화학
  • 세균의 생화학 작용
    다시 탈아미노효소에 의해 암모니아와 지방산으로 분해되거나 탈탄소효소에 의해 이산화탄소와 아민으로 분해되고 지방은 지방산과 글리세롤로 분해된다. 지방산과 글리세롤은 다시 단당류로 분해된다. 또한 세균은 단순한 화합물을 이용해 효소·세포구조물 등의 고분자 물질을 합성해 내며, 항생제·색소·독소 등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생물
  • 지방의 이용
    지방의 화학성분이 알려지기 시작하면서 상업적으로 크게 이용되기 시작했다. 1779년 스웨덴의 화학자 C.W. 셸레는 올리브유를 일산화납과 함께 끓이면 글리세롤이 얻어진다는 사실을 발견했고, 1815년경 프랑스의 화학자 미셸 외젠 슈브뢸에 의해 지방과 기름의 화학적 성질이 규명되었다. 몇 년 후에는 고체산에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화학
  • 지방의 물리적·화학적 성질
    산소에 노출되지 않는 조건에서는 지방을 200~250℃까지 가열해도 그리 큰 화학변화는 일어나지 않는다. 300℃ 이상에서는 지방분해가 일어날 수 있으며, 글리세롤의 분해물인 아크롤레인이 생기므로 지방이 연소될 때 나는 자극성 냄새가 난다. 높은 온도에서는 탄화수소류도 생성될 수 있다. 지방은 쉽게 가수분해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화학
  • 글리세로당지질 glyceroglycolipid
    글리세롤을 공통 구성성분으로 하여 sn-1,2-디아실글리세롤의 3자리에 직접, 혹은 인산기를 통해 당이 결합된 구조를 갖는 당지질의 총칭. 당지질계는 스핑고당지질과 글리세로당지질로 구분된다. 스핑고당지질이 동물계의 주요 당지질인데 비해, 글리세로당지질은 고등식물에서 녹조(綠藻)에 이르는 식물계와 세균계에...
  • 다나카 고이치 田中耕一
    측정하려고 애썼다. 그러나 레이저를 단백질에 직접 쏘면 단백질이 산산이 깨진다. 그래서 그는 쿠션용으로 매트릭스를 사용하기로 했다. 원래는 코발트와 글리세롤을 가각 매트릭스로 써 볼까 했는데 어쩌다가 이것들이 뒤섞이고 말았다. 그는 실수를 깨달았으나 시간을 아끼기 위해 섞인 것을 그냥 사용했다. 놀랍게도...
    출생 :
    1959. 8. 3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과학자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현재페이지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2건

1,3-디아실글리세롤
1,2-디아실글리세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