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바위그림
    개설 암각화(巖刻畵), 혹은 암각(巖刻), 암화(巖畵) 등으로도 불린다. 바위그림은 후기 구석기시대의 유적에서도 발견되지만, 전형적인 사례들은 신석기 및 청동기시대 유적에서 주로 찾아진다. 연원 바위그림은 스칸디나비아반도 일대에서부터 사하라사막의 산악지대에 이르기까지 구대륙 전역에서 발견되고 있으며...
    시대 :
    선사/석기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역사/선사문화
  • 무속신의 형상과 본풀이 조선 민초를 닮은 신들의 세계
    복색(服色)을 통해 그 굿거리의 신에 대한 인식의 단면을 드러내기도 하니 무속화의 큰 줄기는 무속의 신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그러나 무속의 신을 그림의 형상으로 드러낸 것만으로는 무속 의례와 신의 실상을 온전히 알기 어려운 까닭에 특정 신에 대한 내력, 곧 어떻게 특정 무속 의례를 받는 신으로 좌정...
  • 지도로 본 조선시대 영토와 국경 인식 옛 지도에 담긴 옛사람들의 생각
    두 다리로 우뚝 선 한반도 매년 새해를 맞을 때면 많은 사람이 해돋이를 보려고 동해로 간다. 우리나라에서 제일 먼저 해가 뜨는 곳으로 유명한 곳이 포항의 호미곶이다. 이곳의 해맞이 광장에 가면 우리나라 지도를 형상화한 ‘호랑이상’이 있다. 이 호랑이상은 이곳의 지명, 즉 ‘호랑이 꼬리’라는 호미(虎尾)에서...
  • 나스카 문양, 그림을 그리는 작업은 간단 미지의 미스터리
    9미터, 길이는 600미터나 되며 자갈로 정교하게 구축됐다. 나스카 문양은 기원전 200년부터 기원후 600년 사이, 소위 나스카기(期)에 만들어졌다. 지상 그림 부근에는 지름 1미터에서 10미터인 환상 열석, 높이 0.4미터에서 2미터인 돌무덤, 원형이나 직사각형 석벽도 있었다. 이 가운데 환상 열석은 방사상으로 뻗은...
  • 나뭇가지 그림이 무엇인가요?
    나뭇가지 그림으로 그리면 경우의 수를 한눈에 알기 쉽다는데, 나뭇가지 그림이 도대체 뭔가요? 또 그것과 경우의 수는 어떤 관계가 있나요? 순서를 생각해요 점심시간마다 여러분을 힘들게 하는 게 있지요. 바로 급식 먹는 순서. 모둠 점수가 가장 높으면 먼저 점심을 받거나 과제를 빨리 끝낸 모둠이 먼저 점심을 먹기...
    분야 :
    확률과 통계
    교과단원 :
    초등 6학년 〈비와 비율〉, 중등 2학년 〈확률과 그 기본 성질〉
  • 그림이 들려주는 조선의 속삭임과 외침
    그림은 눈으로 보는 것이니 보이는 대로 그림 속의 실상을 알아차리면 된다. 그런데 그림은 또한 보는 사람이 보는 만큼 그림 속에 담긴 실상이 드러나는 것이기에 어떤 이가 그림을 보고 알아차린 것이 그림에서 보여주는 전부라고 할 수는 없다. 그림 속에는 쉽게 그 모습을 드러내지 않은 채 선과 면, 입힌 색의 틈새...
  • 음향기기 미치진동자 그림기호
    음향기기 미치진동자와 관련된 전기그림기호는 다음과 같다. 마이크로폰(일반) 단선그림에서는 로서 한다. 푸쉬풀마이크로폰 이어폰, 수화기 스피커(일반) (a) (b) 변환기헤드 모노포닉헤드 기록기 재생기(일반) 벨 (a) (b) 브저 (a) (b) 바이브레이터 음도 수정진동자 수중청음기(초음파송신기) 보조기호 수광타입...
  • 김홍도의 특기였던 신선 그림 고사 인물도와 초상화 읽는 법
    그다지 많지 않다. 조선 시대의 대표적인 천재 화가 김홍도에게도 실제로 담임 선생님 같은 분이 계셨다. 강세황이라는 문인 화가는 김홍도가 어렸을 때 그림을 가르쳐 준 스승이었다. 이분이 김홍도에 대해 '생각해 보면, 우리 홍도는…….' 하면서 남겨 놓은 이야기가 있다. 김홍도가 단원(檀園)이란 호를 지을 때...
  • 미래파 그림과 조각
    미래파 양식이 될 작품들은 아직 만들고 있지 않았지만, '역동적인 감각(운동)'을 창출하고, 대상과 그 '대상을 둘러싸고 있는 분위기'를 묘사하며, '그림의 감상자를 그림의 한가운데로 끌어들인다'고 말하고 있었다. 이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들은 입체파 양식을 채택하고 나아가 형태적 특성의 분석에 모든 관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화 일반
  • 책거리그림 서가도
    文房圖)·책탁문방도(冊卓文房圖)·책가도(冊架圖)라고도 한다. 책가를 배경으로 책·문방구류·장식품 등 다양한 기물을 그린 일종의 정물화이다. 책거리그림에 나오는 다양한 소재에서 조선시대 문인들의 독서생활이나 고기물에 대한 완상(玩賞) 취미를 엿볼 수 있다. 따라서 이것은 선비나 부유층의 서재, 아이들 방...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미술
  • 무예도로 본 전쟁의 기술 왕조 500년을 지탱시킨 조선의 병법들
    식민지 역사가 굴절시킨 전쟁의 이미지 한국의 전쟁 관련 영화나 드라마는 언제나 장렬하고 비장미 어린 장면으로 화면을 가득 채우지만, 보는 사람은 가슴 깊은 곳에서 무언가 답답함을 느끼곤 한다. 가령 임진왜란을 다룬 드라마에서 이순신 함대의 장쾌한 전투와 대비되는 육상에서 흰옷을 입은 농민 출신 의병의...
  • 한국의 춘화 엿보기
    물리치며 새로운 인류의 표현 수단을 얻어낸 것이다. 춘화를 유통시킨 부류는 어떤 계층이었을까? 틀림없이 일정한 문식이 있고 재화가 넉넉한 집단이 이 그림을 유통시켰을 법하다. 예술의 생산과 소비가 물적 기초에 근거하므로 이는 당연한 일이다. 더욱이 냉금전지(冷金箋紙)에 흔히 격조 있는 표현으로 발문을...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현재페이지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3921건

[그림4],[그림5],[그림6]3종
[그림4],[그림5],[그림6]3종
[그림1],[그림3]
[그림1],[그림3]
[그림2],[그림3]
[그림2],[그림3]
[그림4]-[그림5]
[그림1]-[그림3]
[그림1],[그림2]
[그림4]-[그림5]
[그림4]-[그림5]
[그림1],[그림2]
[그림2]∼[그림5]
[그림4]-[그림5]
[그림11]∼[그림15]강원(5)
[그림11]∼[그림15]강원(5)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