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영주가흥동마애삼존불상 보물 제221호, 榮州可興洞磨崖三尊佛像
    비슷한 양식을 보여준다. 삼존의 대좌는 복판의 앙련(仰蓮)으로 이루어졌는데, 삼국시대의 불좌상에서는 볼 수 없었던 새로운 형식이다. 그러나 거의 환조에 가까운 본존의 머리 형태라든가 협시보살상의 각기 다른 X자형과 2번 걸쳐진 천의, 투박한 옷주름 표현 등에서 고신라의 보수적인 양식이 보인다. 따라서 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유적 , 보물 , 불교
  • 조선국조신화 조선건국신화, 朝鮮國祖神話
    보여 주는 '금척(金尺)'의 표상이 모두 이와 같은 상징성을 뒷받침한다. 「용비어천가」 제1장의 ‘해동육룡’은 목조(穆祖) · 익조(翼祖) · 도조(度祖) · 환조(桓祖) 등 태조(太祖)의 선조 네 사람과, 태조 · 태종(太宗)의 두 왕을 가리킨다. 태조는 잠룡(潛龍)으로 상징되는데, 다른 용들은 이 태조가 왕위에 오를...
    유형 :
    작품/문학
    분야 :
    문학/구비문학
  • 조온 趙溫
    본관은 한양. 할아버지는 검교밀직부사 돈(暾)이고, 아버지는 용원부원군 인벽(仁璧)이며, 어머니는 환조(桓祖 : 李成桂의 아버지 子春)의 큰딸인 정화공주(貞和公主)이다. 어려서부터 외삼촌인 이성계를 따랐다. 1388년(우왕 14) 위화도회군 때 이조판서로 참여하여 회군공신에 책록되었고, 1392년 조선 개국에 공을...
    출생 :
    1347년(충목왕 3)
    사망 :
    1417년(태종 17)
    국적 :
    고려·조선, 한국
  • 두상 頭像
    따른 종류에는 마스크, 두상, 흉상, 반신상, 전신상, 토르소 등이 있으며, 자세에 따른 종류로는 좌상, 와상, 입상, 군상 등이 있다. 두상은 가슴 윗부분을 환조로 표현한 것이다. 대표적인 작품으로 고대 그리스·로마·에트루리아의 유물인 〈그리폰의 두상 Tete de Griffon〉(BC 620 ~ BC 480경, 파리에 있는 루브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품
  • 울리상 uli figure
    억센 다리가 몸통을 받치고 있고 무릎은 구부리고 있다. 울리상의 특징은 전체 형태를 본뜬 작은 숭배상들이 본체 내에서 반복되어 있다는 점으로 그것들은 환조로 새겨져 상(像)의 아랫부분이나 배 또는 어깨에 부착되어 있다. 어깨 위에서 위쪽을 향해 있는 것은 울리상의 팔이라고 여겨져왔다. 전체 모습은 가슴에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미술
  • 구례 연곡사 소요대사탑 보물 제154호, 求禮鷰谷寺逍遙大師塔
    이 문비 안에 명문이 새겨져 있다. 이와 같이 부도의 탑신석이나 다른 부분에 글자를 새기는 것은 조선시대에 들어와서 유행한 형식이다. 신장상은 거의 환조에 가깝게 입체적으로 조각되었으나 조각기법에서 다소 서투른 면이 보인다. 옥개석은 윗면·아랫면에 서까래와 기왓골이 모각되어 있으며, 추녀 끝에는 모서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전라남도
  • 성덕왕릉 聖德王陵
    갖춘 능묘이다. 둘레돌은 판석으로 세우고 갑석을 덮었는데, 판석은 탱주로 고정시키고 탱주에는 다시 삼각형 석재를 세워 보강했다. 이 둘레돌 앞에는 환조의 십이지상을 세웠고 그밖에 수십 개의 석주를 세웠으며, 석주 사이에는 상하 2개의 관석을 끼워 출입을 못하게 했다. 봉토 앞에는 안상이 있는 석상을 안치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통일신라
  • 제단장식 祭壇裝飾, altarpiece
    직접 부착된 것이 아니라 그뒤에 있는 벽에 부착되었다. 식은 2폭으로 된 것, 3폭으로 된 것, 4폭 이상으로 된 것이 있다. 제단에는 매우 섬세한 그림·부조·환조로 된 조각이 사용되어왔다. 아주 초기의 것으로 알려진 그림으로 된 제단장식은 11세기의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탈리아 티볼리 성당의 〈성모와 성...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건축양식
  • 경주 굴불사지 석조사면불상 보물 제121호, 慶州掘佛寺址石造四面佛像
    사면석불의 상들은 크기가 다양한데 서면의 아미타삼존불이 가장 크다. 본존상은 고부조로 새겼고 머리는 따로 만들어 올렸다. 양협시보살상은 다른 돌에 환조해 세웠는데, 왼쪽 보살상의 보관에 화불이 있고 정병을 들고 있어 관음보살임을 알 수 있다. 동면의 좌불상은 오른손은 시무외인을 하고 있고 왼손에는 약합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불교 , 종교
  • 동물 머리에 사람의 몸, 십이지 신상
    곳은 김유신묘, 진덕여왕릉, 경덕왕릉, 구정동 방형분, 괘릉 등이 있다. 성덕왕릉은 호석이 넘어지지 않도록 삼각형 수석(袖石)을 받치고 그사이에 따로 환조 십이지 신상을 세운 특이한 예이며, 그 이후의 왕릉에는 괘릉과 마찬가지로 호석 면에 십이지 신상을 양각했다. 한편 신라에서는 갑옷에 무기를 든 모습이 자주...
  • 용흥강 龍興江
    흐르다가 하류부근에서 덕지강을 합친 뒤 동해의 송전만에 흘러든다. 하천명은 조선 태종 때 봉사로 온 하륜이 술좌석에서 순문사 강회백에게 '여기가 환조의 복거지요, 태조가 출생한 고장이니 그 이름을 용흥강이라고 하자'는 데서 유래했다고 하며, 횡강 또는 요락지라고도 했다. 현재 북한에서는 금야군의 이름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시아
  • 윤이건 尹以健
    국문하려고 하였으나, 이조의 반대로 실행되지는 않았다. 1680년(숙종 6) 경신출척이 일어나 윤휴가 사사(賜死)되고 그 당이 모두 쫓겨났으며, 송시열이 환조하여 영부사가 되자 조신들의 천거로 사복시주부로 등용되었다. 이어 금성현령이 되어 나갔으며 공조좌랑·진산군수 등을 역임하면서 많은 공적을 쌓았다...
    시대 :
    조선
    출생 :
    1640년(인조 18)
    사망 :
    1694년(숙종 20)
    경력 :
    금성현령, 공조좌랑, 진산군수
    유형 :
    인물
    관련 사건 :
    기사환국
    직업 :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남원(南原)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현재페이지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관련항목

멀티미디어17건

함흥 정릉 화릉
환조 상시호 금보
환조 상시호 금보
환조 상시호 금보
환조 상시호 금보
환조 상시호 금보
환조 상시호 금보
환조 상시호 금보
환조 상시호 금보
환조비 의혜왕후 상시호 금보
환조비 의혜왕후 상시호 금보
환조비 의혜왕후 상시호 금보
환조비 의혜왕후 상시호 금보
환조비 의혜왕후 상시호 금보
환조비 의혜왕후 상시호 금보
환조비 의혜왕후 상시호 금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