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 Treaties of Brest-Litovsk제국이 다스렸던 폴란드, 발트 해 지역에 독립국이 세워져야 한다는 독일의 요구를 분명히 했다. 그해 1월 9일 부로 소비에트 대표의 책임자가 된 레온 트로츠키는 휴회(1918. 1. 18~30)를 요청하고, 페트로그라드(지금의 상트페테르부르크)로 돌아와 '러시아는 전쟁을 중단하지만 어떤 평화조약도 맺지 않는다'('전쟁도...
-
러시아 사회주의의 등장했으나 1912년에 완전히 갈라섰다. 각 지도자들은 한 분파에서 다른 분파로 전환했다(플레하노프는 원래 레닌편이었으나 1904년 반대파와 제휴했음). 레온 트로츠키 등은 일시적이라도 어느 한 분파에 속하지 않고 자유를 누리려고 했다. 이같은 분쟁은 2개 분파 대부분의 망명 지도자가 살던 서유럽에서 일어났다...
-
로맹 구필 Romain Goupil장편 데뷔작 <서른 살에 죽다>(Mourir à trente ans, 1982)로 칸영화제 황금카메라상을 수상하며 세계 영화계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이 영화는 프랑스에서 트로츠키 운동에 관한 다큐멘터리 영화로 다채로운 아카이브 영상과 1968년 5월 혁명 전후 아버지가 찍었던 장면들을 편집하여 완성한 작품이었다. 한편으로...
- 출생 :
- 1951년 8월 25일 프랑스 파리
- 수상 :
- 1983년 칸영화제 황금카메라상(<서른 살에 죽다>)
- 데뷔 :
- 1982년 <서른 살에 죽다>(Mourir à trente ans, Half a Life, 프랑스)
-
레닌의 후계자로서의 스탈린차리친 시를 스탈린그라드(지금의 볼고그라드)로 개칭함으로써 자신의 우상화도 함께 추진했다. 한때 레닌의 법정추정 상속인이었던 그의 최대의 라이벌 트로츠키는 이제 지노비예프와 레프 카메네프 및 스탈린의 삼두체제에 의해 축출되어 그늘 속에 가려졌다. 그리고 얼마 지나지 않아 스탈린은 니콜라이 부하린 및...
-
러시아에 세운 공산주의 정부, 블라디미르 일리치 레닌 Vladimir Il’ich Lenin파업과 군인들의 폭동이 일어나는 등 전국적으로 소요가 잇달았다. 제1차 러시아 혁명은 소비에트가 지휘했고,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소비에트는 레닌과 트로츠키가 이끌었다. 사태가 심각하게 돌아가자 니콜라이 2세는 헌법제정과 의회(두마) 개설을 약속하는 〈10월 선언〉을 공표했다. 노동자들은 이에 만족해 일터로...
- 출생 :
- 1870년
- 사망 :
- 1924년
- 국적 :
- 러시아
- 대표작 :
- 《유물론과 경험비판론(Materialism and Empirio-criticism)》
-
프롤레타리아 정치혁명 Political revolution, 政治革命트로츠키주의 무산계급 정치혁명은 프롤레타리아 독재 기간과 자본주의 국가 단위 체제 내에서 벌어지는 정치 투쟁에 관한 혁명 이론이다. 트로츠키는 프롤레타리아 혁명이 일어나면 낡은 생산 구조, 생산 관계가 사라지고, 새로운 사회주의적 생산 관계가 들어서는 동시에 정치 형태도 노동자들이 지배하는...도서 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