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대한민국의 교육과정전체 조선 주민의 13.8%에 불과했다고 한다. 시기 : 1945년 9월 ~ 1954년 3월 일제 강점기가 끝나고 해방이 되어 38도선 이남의 한국에는 미군이 주둔하여 군정...일제 강점기의 교육과정을 사용하지 말 것을 지시한 채로 새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내놓지는 못하고 '교수요목 제정위원회'를 조직하여 교수요목을...도서 위키백과
-
조동식 춘강(春江), 趙東植부응하여 조선의 여성들에게 ‘군국의 어머니’가 될 것을 역설하는 기고문을 발표하는 등 전쟁협력을 위한 여성의 의무를 강조하고 여학생 교육을 주장했다. 또한 내선일체와 일제의 침략전쟁에 협력하는 총후생활을 주장하는 기고문을 게재하기도 했다. 해방 후 1950년 5월에는 동덕여자대학을 설립하여 학장에 취임...
- 시대 :
- 근대
- 유형 :
- 인물/근현대 인물
- 분야 :
- 교육
-
허영호 경호(鏡湖), 許永鎬의무교육 문제, 공창제 폐지 문제, 재만동포 생존권 문제 해결 방안 등을 적극 제기하였다. 1928년 5월 29일 조선청년총동맹 경남도연맹에서 대회 집행부 부의장에 선임되었다. 청년동맹 활동 중 회원연령을 25세로 제한하도록 전국대회에 건의하였고 파벌주의 박멸 등을 결의하였다. 이 시기에 대중강연과 사회단체에서...
- 시대 :
- 근대, 개항기/근대/일제강점기
- 출생 :
- 1900년 12월 21일
- 사망 :
- 1952년 1월 30일
- 경력 :
- 불기개선심의회 상무위원, 동국대학장
- 유형 :
- 인물
- 관련 사건 :
- 3·1만세운동
- 직업 :
- 교육자, 종교인, 친일반민족행위자
- 대표작 :
- 방황, 자유인과 노예, 조선의 민족운동과 계급운동
- 성별 :
- 남
- 분야 :
- 정치·법제/정치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대한민국의 과학기술그러나 조선시대 말기 극단적인 쇄국정치로 소위 산업혁명의 산물인 기계문명을 접할 기회가 극히 제한되었고, 35년 동안의 일제강점기에는 고등교육을 받을 기회가 주어지지 않았다. 결국 현대적 과학기술에 관심이 모아지기 시작한 것은 1945년 일제로부터 해방되면서였다. 물리학·화학·생물학 등의 이학사학위...
-
박일경 율강(栗崗), 朴一慶대한교육연합회 회장에 피선되어 3년 동안 활동했다. 1988년 서울에 변호사 사무실을 개업해 변호사로도 활동했으며, 1992년 대한민국학술원 종신회원으로 추대되었다. 1994년 9월 6일 사망했다. 그는 일제강점 말기 조선총독부 관료로서 출발하여 해방 이후 각 대학의 교수, 법제처장, 문교부장관, 중앙노동위원회 위원...
- 시대 :
- 현대
- 출생 :
- 1920년 10월 28일
- 사망 :
- 1994년 9월 6일
- 경력 :
- 법제처장, 문교부장관, 중앙노동위원회위원장, 헌법위원회 위원, 국가보위입법회의 의원, 명지대학교 총장
- 유형 :
- 인물
- 직업 :
- 학자, 행정가, 법조인
- 대표작 :
- 신헌법학, 신헌법학원론, 현대비교정부론, 제6공화국헌법
- 성별 :
- 남
- 분야 :
- 정치·법제/법제·행정
- 본관 :
- 함안(咸安)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로동성 労働省 (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国)관장하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중앙행정기관이다. 로동성(노동성)은 각 시도, 시,군,구역 인민위원회의 노동행정 부서를 통해 로동 정책, 행정을 시행하며, 노동력 수급과 임금 등 노동 관련 계획을 종합하여 국가계획위원회, 재정성, 수매량정성 등과 함께 각 부문의 로동력(노동력) 소요량를 심의, 확정하여 각...도서 위키백과
-
교과 과정 敎科 課程과정에서는 ‘조선의 이익에 반하는 과목은 교수하거나 실습하지 아니할 것’을 강조하였다. 이에 일선 학교에서는 무엇보다도 한글을 먼저 익히도록 하였고 교과서가 필요하였다. 한글 보급은 해방 직후부터 조선어학회가 주축이 되었다. 조선어학회에서는 ‘교과서가 없어서 공부를 못 하는 초·중등학교의 시급한...
- 분야 :
- 문화·교육
- 지역 :
- 부산광역시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