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아동혜 안정현(安貞縣), 阿冬兮
    燕山郡: 지금의 청주시 상당구 문의면) 등이 있었다. 고려 초에 안읍현(安邑縣)으로 바뀌었는데, 이 시기에 어모소(於毛所)가 현내에 생겨 조선 말기까지 존속...문무왕이 마천성(馬川城)을 개축하였다. 삼국통일 전 소백산맥 기슭에 위치한 이 지역에는 신라의 조비천성(助比川城), 관산성(管山城)과 백제의 무산(茂山...
    시대 :
    고대/삼국/신라
    성격 :
    고지명
    유형 :
    지명
    소재지 :
    충청북도 옥천군
    분야 :
    지리/인문지리
  • 위서 魏書
    아들 조비(曹丕)가 후한(後漢)에 대신해 화북(華北)에 세운 왕조(220∼265, 曹魏라 함). ③탁발규(拓跋珪)가 세운 왕조(後魏)로, 뒤에 동위(東魏)·서위(西魏)로 나뉘었고, 동위는 북제(北齊)에, 서위는 북주(北周)에 망하였다(368∼534). 이와 함께『위서(魏書)』도 여러 종류가 있다. ①어환(魚豢)의『위략(魏略...
    시대 :
    고대
    저작자 :
    진수(『삼국지』위서), 위수(『위서』)
    창작/발표시기 :
    『삼국지』위서(진) : , 『위서』(북제) :
    성격 :
    역사서, 중국 역사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30권(『삼국지』위서), 130권(『위서』)
    분야 :
    역사/고대사
  • 계국대장공주 Princess Gyeguk, 宝塔実憐
    인물 정보 계국대장공주이며, 한국공주(韓國公主), 한국장공주(韓國長公主)라고도 한다. 고려 충선왕의 왕후이다. 고려 충선왕이 자신보다 조비(趙妃)를 총애하는 것을 질투하고 무고 사건을 일으켰다. 원나라 세조 쿠빌라이 칸의 증손녀이고, 친킴의 손녀이며, 원 현종 카말라의 딸이다. 어머니는 미상으로 양왕 송산의...
    도서 위키백과
  • 김정 金精
    平陽侯) 왕현(王眩)과 함께 충선왕의 책봉에 대한 사표(謝表)를 가지고 원나라에 다녀왔다. 같은 해 5월에는 충선왕이 계국대장공주(薊國大長公主)를 멀리하고 조비(趙妃)를 총애한다는 사실을 알리기 위하여 계국대장공주의 명의로 오정규(吳挺圭)와 함께 원나라에 다녀오는 등 대원사절(對元使節)로서의 역할을 주로...
    시대 :
    고려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경력 :
    낭장, 대장군
    유형 :
    인물
    직업 :
    무신
    성별 :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동첨사 同僉事
    종3품, 자정원의 정3품 관직으로 동첨사를 두었다. 두 관부에서 모두 사(使)·동지사(同知事)·첨사 다음의 관직이었다. 그러나 관제개편 직후에 일어난 조비무고사건(趙妃誣告事件)을 계기로 원에서 새로 정한 관제를 거두어들이도록 함으로써 같은 해 7월에 광정원이 밀직사(密直司)로 환원되었고, 이어 충선왕이 퇴위...
    시대 :
    고려
    성격 :
    관직
    유형 :
    제도
    시행일 :
    1298년(충렬왕 24)
    폐지일 :
    1298년(충렬왕 24) 12월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후한말 End of the Han dynasty, 後漢末
    것을 고려하기까지 했다. 같은 시기, 손권은 세 가지 사건으로 인하여 관우에게 적잖이 화가 나 있었다. 유비가 손권에게 주기로 약속했던 3개 군을 받으러 파견한 관리들을 모두 관우가 쫓아 보낸 것이 하나고, 번성 공략을 위해 손권의 식량창고 중 하나를 털어간 것이 둘째고, 관우의 아들과 손권의 딸을 정략결혼...
    도서 위키백과
  • 장제 (조위) Jiang Ji, 蔣済
    조인(曹仁)이 지키는 번성(樊城)을 포위하자, 조조는 관우를 두려워해 천도를 고려하였다. 이때 장제는 사마의(司馬懿)와 함께 손권을 움직여 관우를 공격할 것...형주를 공격했기 때문에 번성은 위기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220년 조비(曹丕)가 헌제(獻帝)에게서 선양을 받고 위나라를 세운 후 장제를 산기상시(散騎...
    도서 위키백과
  • 공조 (육조) 工曹
    쓰다가 고려 성종 이후에 공부(工部)라는 명칭을 썼다. 그러나 원 간섭기 초엽 원종 14년(1273년)에 잠시 혁파되었다가, 충숙왕 11년(1324년)에 공조(工曺)로 다시 환원되었지만 이듬해(1325년)에 곧 또 다시 혁파되었다. 하지만 공민왕 5년(1356년)이던 때에 다시 공부(工部)로 환원되었고, 그 뒤 공민왕 8년(1359년)에...
    도서 위키백과
  • 원주 용운사지 삼층석탑
    나 있다. 이 탑은 기단부와 탑의 몸체가 만나는 곳에 연꽃무늬를 새긴 돌을 끼워 넣은 점이 특이하다. 탑의 윗 부분에는 장식물로 노반, 복발, 앙화, 보륜이 남아 있다. 탑을 만든 시기는 옆에 있는 비로자나불과 함께 고려전기 작품인 것으로 보인다. 삼층석탑 용운사지석조비로자나불좌상 -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42호
    도서 위키백과
  • 순릉
    효명고황후의 능묘이다. 순릉(順陵)은 당 승천황제의 능묘이다. 순릉(順陵)은 고려 혜종의 능묘이다. 순릉(順陵)은 남당 원종의 능묘이다. 순릉(順陵)은 후주...순릉(純陵)은 고려 인종비 공예왕후의 능묘이다. 순릉(純陵)은 조선 도조비 경순왕후의 능묘이다. 순릉(順陵)은 조선 성종비 공혜왕후의 능묘이다. 동음이의
    도서 위키백과
  • 중랑장 中郎将, 中郎将
    되었던 조비(曹丕)의 사례처럼 거의 승상의 부관직이었다. 그 밖에 건위중랑장(建威中郎將) 주유(周瑜), 군사중랑장(軍師中郎將) 제갈량(諸葛亮) 등이 유명하였다. 또한 일부 중랑장 관직을 얻은 자는 각 지방의 군벌 세력들의 측근 내지 요인으로 우대되었는데, 동탁(董卓)의 측근 세력으로 활약했던 여포(呂布)나 우보...
    도서 위키백과
  • 숙릉
    숙릉은 한국과 중국의 능묘이다. 숙릉(肅陵)은 오 고조의 능묘이다. 숙릉(肅陵)은 후한 현조의 능묘이다. 숙릉(肅陵)은 고려 덕종의 능묘이다. 숙릉(淑陵)은 조선 익조비 정숙왕후의 능묘이다. 동음이의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현재페이지4 5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