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김수선 金壽善, Kim, Su-seon
    제3대 국회의원(경남 울산)에 당선되어 무소속 구락부의 중심인물로 활동하였다. 자유당의 사사오입개헌 등에 반대하였으나, 1955년 자유당에 입당하였다. 자유당 입당 후에는 의원내각제를 주장하다가 제명되었으며, 1957년 대통령에게 보내는 질문서를 발표하였다. 그 내용은 평화통일과 남북 교역 문제, 남북 통신...
    시대 :
    현대
    출생 :
    1911년
    사망 :
    1972년
    경력 :
    국회의원
    유형 :
    인물
    관련 사건 :
    사사오입개헌
    직업 :
    정치인
    대표작 :
    1인정치10여년의역사, 누구를위한정치인가
    성별 :
    분야 :
    정치·법제/정치
  • 슬로보 요셀 마셀 슬로보, Joe Slovo
    ANC) 국가평의회 최초의 백인 회원이 되었다. 슬로보의 가족은 1935년 남아프리카 공화국으로 이주했다. 그는 13세에 학교를 졸업하고 3년 후 SACP에 입당했는데, SACP가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유일하게 인종차별을 하지 않는 정치조직이라는 점이 입당 동기였다. 군복무를 마친 후 비트바테르스란트대학교에서 법학을...
    출생 :
    1926. 5. 23, 리투아니아 오벨라이
    사망 :
    1995. 1. 6, 남아프리카 공화국 요하네스버그
    국적 :
    리투아니아/남아프리카 공화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위령미사곡 Requiem Mass
    이 명칭은 입당송 "오 주여, 그들에게 영원한 안식을 주소서"(Requiem aeternam dona eis Domine)의 앞 부분에서 유래했다. 위령미사곡에서 사용하는 다음 작곡법은 일반 미사곡의 작곡법과 다르다. 다시 말하면 위령미사곡에는 미사통상문의 몇 가지 곡, 즉 키리에(Kyrie 연민송), 상투스(Sanctus 거룩송), 아그누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음악
  • 그레고리오 성가 Gregorian chant
    는 보통 연민송의 첫 부분 선율을 쓴다. 고유미사(Proper of Mass)는 축제나 절기에 따라 특별한 의미를 표현하기 위해 예배마다 다른 구절로 이루어져 있다. 입당송(introitus)은 입장할 때 부르는 노래로 원래 시편과 그 사이의 반복구절들로 이루어졌으며, 9세기에 와서는 과음절 양식의 반복구절-시편송에 의한 시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기독교 , 종교
  • 탄핑 산 譚平山, T'an P'ingshan
    1920년 베이징대학교를 졸업하고 중국공산당에 입당했다. 천두슈[陳獨秀]·리다자오[李大釗]와 함께 초기의 공산당을 지도했다. 1924년 국공합작하의 국민당에 입당하여, 조직부장·농민부장·공인부장을 역임했다. 1926년 모스크바에서 개최된 코민테른 제7회 대회에 중국 대표로 참가하여 중앙집행위원으로 선출되었다...
    출생 :
    1886
    사망 :
    1956. 4. 2
    국적 :
    중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제1차 국공합작
    혁명의 대중적 기초 마련을 위해 쑨원이 공산당과의 합작을 결정했다. 1924년 1월의 국민당 제1회 전국대표대회에서 공산당원은 개인자격으로 국민당에 입당하기로 하고, 국민당은 소련과의 제휴, 공산당과의 제휴, 노동자·농민에 대한 원조 등의 정책을 채택했다. 이 대회에서 국민당의 조직개편이 이루어지면서...
  • 덕복 德福
    내용 674년(문무왕 14) 당나라의 숙위(宿衛)로 있던 그가 당나라의 역술(曆術)을 익히고 돌아와 새 역법을 개정하게 하였다. 그가 숙위로 입당한 해는 불확실하지만, 666년의 김삼광(金三光) 입당 이전에는 파견한 사실이 없으므로 문무왕 6∼14년 사이로 추측된다. 숙위는 중국 주변의 약소국가의 왕자로서 당정(唐廷...
    시대 :
    고대/남북국/통일신라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유형 :
    인물
    직업 :
    관리
    분야 :
    역사/고대사
  • 교송 交誦, antiphon
    신약성서〉에서 뽑아 만든 찬송가를 교송으로 부르기도 했다. 오늘날에는 주로 정시기도(定時祈禱)나 성무일도(聖務日禱)에 교송을 부른다. 원래 미사 때 입당송·봉헌송·성찬송은 교송과 시편송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나, 중세 말기에 봉헌송과 성찬송을 부를 때 시편 본문을 쓰지 않게 되었다. 오늘날 봉헌송과 성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기독교 , 종교
  • 서울 콤 그룹 고려공산동맹
    赫)·임종환(林宗桓)·이낙영(李樂永)·한종유 등을 선정했다. 이때 권태석(權泰錫)·임혁근(林赫根)·박원희(朴元熙)·최창익(崔昌益)·최익환(崔益煥) 등을 입당시켰다. 당조직을 끝낸 뒤 서울 콤 그룹은 공청 조직으로 고려공산청년동맹을 조직했다. 서울 콤 그룹의 청년부책임자인 이정윤을 책임비서로, 이인수(李仁...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 , 선거
  • 김숙정 金叔貞
    당나라에서 학업을 마치고 귀국하였는데, 이들의 귀국에는 신라 정부의 큰 관심과 당나라 조정의 특별한 배려가 있었다. 즉, 신라는 왕자 김흔(金昕)을 입당조공(入唐朝貢)하게 하고, 그로 하여금 당나라 조정에 청원하도록 이르기를, 이미 당나라에서 학업을 닦고 있는 김숙정 등을 본국으로 보내줄 것과 새로 입당한...
    시대 :
    고대/남북국/통일신라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유형 :
    인물
    직업 :
    학자
    분야 :
    역사/고대사
  • 유해준 兪海濬
    1936년 상하이[上海]로 망명해 조선민족혁명당에 입당했으나, 1937년 탈당해 조선독립당에 입당했다. 창사[長沙]에서 황푸 군관학교[黃浦軍官學校] 제15기 제1총대 포병대대 제2대에 배속되어 군사훈련을 받은 뒤 충칭[重慶]에 있는 임시정부로 복귀했다. 1940년 9월 17일 광복군이 창설되자 총사령부의 참모가 되어...
    출생 :
    1917. 12. 14, 충남 당진
    사망 :
    1986. 4. 15
    국적 :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독립운동가
  • 고유 미사곡
    교회력에 따라 내용이 달라지는 부분으로 성서 구절을 토대로 한다. 부분적으로 독창이 있지만 성가대가 주로 부르며 입당송(Introitus)·승계송(Graduale)·알렐루야(Alleluia:혹은 Tructus)·세쿠엔티아(Sequentia)·봉헌송(Offertorium)·성찬송(Communio)으로 구성된다. 고유 미사(Proprium missae)도 통상 미사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현재페이지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건

포레의 〈레퀴엠〉 중 ‘입당송과 키리에’ 자필악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