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면천 속량(贖良), 免賤
    대상에서 제외되었으므로, 조선 정부는 재원과 군역 자원 확보를 위하여 합법적으로 면천을 제도화하였다. 그러나 17세기 이후 면천법의 확대로 인하여 신분제가 동요하는 계기가 되었다. 연원 및 변천 조선시대 노비제도는 대체로 태종조에 이르러 정비되었다. 태종 대의 노비 정책은 양민 확보를 위해 추진된 것...
    시대 :
    조선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신분
    유럽에서는 12,13세기말부터 18세기말까지의 사회를 신분제 사회로 본다. 신분제 사회의 구조적 특징의 하나는 각각의 개인이 어느 곳이든 신분사회에 속해, 여러 가지 신분이 일종의 계급질서를 이루고 있다는 점이다. 크게 나누면 성직자·귀족·시민·농민으로 나뉘지만, 보통 성직자나 귀족은 다시 몇 가지 계층으로...
    도서 다음백과
  • 우서 迂書
    행여부 摠論法度可行與否〉가 실려 있다. 서론인 〈총론사민〉에서 조선사회의 제도와 현실을 밝힌 뒤, 그 기반 위에서 부국안민책을 모색했다. 저자는 신분제를 폐지하고 사농공상의 4민을 계급이 아닌 전문화된 분업으로 발전시켜야만 부국안민을 실현할 수 있다고 보았다. 이를 위해 각론에서 신분제의 타파를 위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성선설 性善說
    보았다. 맹자가 말한 성선은 본연지성에 해당한다. 주희의 성론도 기질지성의 혼탁한 정도에 따라 성인·군자와 일반사람들로 구분된다고 하여 당시의 신분제사회를 뒷받침해주는 이념의 역할을 했다. 한편 우리나라에는 고려말에 유입된 주자학(朱子學)이 조선 중기 이후 지배사상의 위치를 확고히 했기 때문에 주자학...
  • 백골징포 白骨徵布
    계속 군포를 거두거나, 죽어서 군안에서 빼야 될 사람을 빼주지 않고 계속 거두는 경우가 있었다. 군정에서 백골징포가 일반화되었던 이유는 조선 후기의 신분제의 변화와 관련되어 있었다. 조선 후기에 들어 양인들의 역으로 된 군역은 군총제라 하여 인구의 변화와는 관계없이 고을 단위로 책정되었다. 따라서 신분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정제두의 경세론
    정제두의 경세론은 주로 〈차록 箚錄〉에 제시되었다. 그의 개혁구상 가운데 당시 사회모순을 해결하는 중심 과제는 토지제도와 신분제였다. 그는 토지소유를 호당 3결로 한정하여 점진적으로 균전제를 지향함으로써 빈부차이를 해소하고자 했다. 이러한 개혁 구상의 근거는 기자전제(箕子田制)였는데 그는 평양에 그 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동양철학
  • 족보 종보(宗譜), 族譜
    17세기 초에는 일본 사츠마[薩摩] 번의 침공을 받은 이후, 그쪽으로도 공물을 바치기 시작했다. 류큐국의 족보는 화교의 영향으로 작성되기 시작했지만, 귀족 신분제가 강하게 존속한 일본의 ‘가보(家譜)’ 형태를 띠었다. 류큐국은 1689년에 ‘계도좌(系圖座)’를 설치하여, 상층 신분인 ‘사족(士族)’에 한해서 족보...
    시대 :
    조선
    유형 :
    개념
    분야 :
    사회/가족
  • 유수원 柳壽垣
    신분제 질서의 폐지를 통한 사민의 비계급적 개편과 이에 기초한 전문화된 분업의 수행 및 자연자원의 원활한 개발·이용을 주장함으로써 조선 후기 실학에서 보이는 이용후생학파(利用厚生學派)의 선구적 위치를 차지했다. 본관은 문화. 자는 남로(南老), 호는 농암(聾菴)·농객(聾客). 할아버지는 대사간 상재(尙載...
    출생 :
    1694(숙종 20)
    사망 :
    1755(영조 31)
    국적 :
    조선,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학자
  • 양역제의 폐단과 개혁
    크게 증가했다. 군액이 이와 같이 증가되면서 향촌사회에서 역을 담당해야 할 양인들의 수가 절대적으로 부족하게 되었다. 특히 17세기 이래 진행된 신분제 변동으로 많은 양인들이 양반으로 신분을 상승시키고 있었기 때문에 신분제에 입각한 양역체제가 붕괴되는 현상이 일어났다. 더구나 군포징수의 실무를 담당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경세치용학파 중농학파, 經世致用學派
    부르기도 했다. 이후로도 사회의 폐단을 거론하며, 개혁안을 제시한 학자들은 많았다. 그러나 양란(兩亂) 이후 상품화폐경제의 발달과 농민층 분해의 진전, 신분제 붕괴, 서구 자연과학과의 접촉 등은 일련의 학자들이 지주제와 신분제에 기초한 중세사회의 원칙을 넘어선 개혁을 추구하도록 했다. 따라서 이후 실학자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노비 奴婢
    소작료를 제외한 생산물의 일부를 소유하고 독자적인 가계의 경리를 유지했기 때문에 양인 전호농민과 그 처지가 유사했다. 우리나라의 전근대사회는 신분제사회였으므로 노비는 사회적·법률적으로 극히 낮은 처지에 놓여 있었다. 초기 고대국가 단계에서 노비는 상전에게 살해되거나 상전을 따라 순장되기도 했다. 즉...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사회
  • 시민 혁명 市民革命, bourgeois revolution
    시민계급(부르주아지)이었고, 여기에 농민과 도시근로자 대중이 합세하면서 혁명이 성공할 수 있었다. 자본주의에 적합한 사회를 실현하기 위해 영주제와 신분제 등 봉건적 구속의 폐기, 법 앞에서의 개인적 평등과 경제적 자유의 실현, 자유로운 사적 소유의 확립 등을 기본 과제로 하였다. 최초의 시민혁명으로 간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혁명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현재페이지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2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