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면천 속량(贖良), 免賤대상에서 제외되었으므로, 조선 정부는 재원과 군역 자원 확보를 위하여 합법적으로 면천을 제도화하였다. 그러나 17세기 이후 면천법의 확대로 인하여 신분제가 동요하는 계기가 되었다. 연원 및 변천 조선시대 노비제도는 대체로 태종조에 이르러 정비되었다. 태종 대의 노비 정책은 양민 확보를 위해 추진된 것...
- 시대 :
- 조선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
족보 종보(宗譜), 族譜17세기 초에는 일본 사츠마[薩摩] 번의 침공을 받은 이후, 그쪽으로도 공물을 바치기 시작했다. 류큐국의 족보는 화교의 영향으로 작성되기 시작했지만, 귀족 신분제가 강하게 존속한 일본의 ‘가보(家譜)’ 형태를 띠었다. 류큐국은 1689년에 ‘계도좌(系圖座)’를 설치하여, 상층 신분인 ‘사족(士族)’에 한해서 족보...
- 시대 :
- 조선
- 유형 :
- 개념
- 분야 :
- 사회/가족
-
양역제의 폐단과 개혁크게 증가했다. 군액이 이와 같이 증가되면서 향촌사회에서 역을 담당해야 할 양인들의 수가 절대적으로 부족하게 되었다. 특히 17세기 이래 진행된 신분제 변동으로 많은 양인들이 양반으로 신분을 상승시키고 있었기 때문에 신분제에 입각한 양역체제가 붕괴되는 현상이 일어났다. 더구나 군포징수의 실무를 담당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