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비연시사 斐然詩社
    배웠으며 중인 출신의 문인들인 장효무(張孝懋)·임유(林瑜)·고진원(高晋遠)·유기(柳기)·박사유(朴士有)·한백첨(韓伯瞻) 등과 함께 모임을 결성하고 비연시사(斐然詩社)라고 하여 19세기 여항문학을 이끌었다. 서원시사(西園詩社)보다 약간 후기에 결성된 듯하다. 기능과 역할 그들은 스스로를 죽림칠현에 비의(比擬...
    시대 :
    조선
    설립 :
    조선 후기
    성격 :
    시회(詩會)
    유형 :
    단체
    설립자 :
    장지완(張之琬)
    분야 :
    문학/한문학
  • 운곡시사 耘谷詩史
    내용 5권. 왕조교체기의 역사를 시로 다루었으므로 ‘시사(詩史)’라고 하였고, ‘운곡행록(耘谷行錄)’이라고도 한다. 작자는 고려 말에도 벼슬을 하지 않았고, 조선왕조가 들어선 다음에는 깊이 은거하면서 스스로 겪은 역사의 내막에 대한 증언을 남기고자 하여 이 시집을 지었다. 원래는 더 많은 분량이었을 듯한데...
    시대 :
    고려
    저작자 :
    원천석(元天錫)
    창작/발표시기 :
    고려 말 조선 초
    성격 :
    시집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5권
    분야 :
    문학/한문학
  • 태평양시사 太平洋時事
    편찬/발간 경위 영문 제목은 『The Korean Pacific Times』이다. 태평양시사는 1918년 11월 28일 박용만(朴容萬)이 호놀룰루에서 창간하한 국문판 주간신문이다. 이 신문은 처음에는 등사판으로 제작하였으나 1920년 12월 4일부터 인터타이프(intertype) 식자기계를 이용하여 제작하였다. 역대주필은 박용만(朴容萬...
    시대 :
    근대
    창작/발표시기 :
    1918년 11월 28일 창간
    성격 :
    신문, 교민신문
    유형 :
    문헌
    간행/발행 :
    박용만(朴容萬)
    분야 :
    언론·출판/언론·방송
  • 서원시사 일섭원시사, 西園詩社
    내용 인왕산의 일섭원(日涉園)·칠송정(七松亭) 등에서 시회를 가졌던 위항인 시사로서 일명 ‘칠송정시사’라고도 한다. 원래 서원시사·서사(西社)는 송석원시사의 별칭이었으나 그 뒤 김희령의 일섭원이 서원이라 불리게 되자 이것을 명칭으로 채택하게 된 것으로서 송석원시사의 맥을 잇는다는 의도가 다분히 내포...
    시대 :
    조선후기
    설립 :
    1840년대 전후
    성격 :
    시회(詩會)
    유형 :
    단체
    설립자 :
    김희령(金羲齡), 지석관(池錫觀)
    분야 :
    문학/한문학
  • 시사총보 時事叢報
    한 달에 엽전 6돈[錢]이었다. 논조는 보수적이고 친정부적이었으며, 지면구성은 당시의 일반신문과 같이 관보·논설·잡보·광고 등의 각 부문으로 나누고 시사(詩詞)와 국조고사(國朝故事) 등도 게재하였다. 1899년 5월 23일자에 ‘구행개화호접래(狗杏開花虎蝶來)’라는 글귀에 대구(對句)를 현상모집하였는데, 이것...
    시대 :
    근대/개항기
    저작자 :
    장지연
    창작/발표시기 :
    1899년 1월 22일(창간), 1899년 8월 17일(폐간)
    성격 :
    신문, 격일신문
    유형 :
    문헌
    간행/발행 :
    홍중섭
    분야 :
    언론·출판/언론·방송
  • 박재동
    은 ‘한 치 밖에 안 되는 칼로 사람을 죽인다‘는 뜻으로, 짧은 말로 상대를 감동시키거나 급소를 찌른다는 의미다. 박재동은 88년 독재의 끝자락에 서서 시사만화가로의 촌철살인을 보여준다. 8년 동안 매일을 한겨레 신문의 2면을 장식한, 9cm x 9cm의 작은 공간. 바로 시사만화가 박재동의 ’한 치 밖에 되지 않는...
  • 직하시사 稷下詩社
    기능과 역할 최경흠(崔景欽)·유재건(劉在建)·조희룡(趙熙龍)·이경민(李慶民)·박응모(朴膺模) 등이 함께 활동하였다. 당시는 이미 위항인들이 본격적으로 시사활동을 전개한 지 약 2세기가 경과되었기 때문에 그동안 축적된 역량을 바탕으로 위항인들의 전기를 정리하는 단계에 이르게 되었다. 그래서 조희룡은...
    시대 :
    조선
    설립 :
    1853년
    성격 :
    시사(詩社)
    유형 :
    단체
    설립자 :
    최경흠, 유재건
    분야 :
    문학/한문학
  • 매킨토시사 McIntosh Laboratory, Inc.
    이 회사의 상호 '매킨토시'는 JBL의 스피커와 함께 최고급 오디오 앰프의 대명사로 일컬어지고 있다. 본사는 미국 뉴욕 주 빙엄턴에 있다. 이 회사는 1945년 프랭크 H. 매킨토시에 의해 소규모 음향 재생기기 납품업체인 칼리지메이커사로 설립되었다. 1949년 처음으로 매킨토시 상호를 단 앰프 50W-1을 일반 오디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기업
  • 중인 문인들이 송석원에서 시사를 열다
    중인인 천수경을 중심으로 하는 송석원시사가 인왕산계곡에서 열렸다. '송석원'은 인왕산 아래 있는 한양의 명승지이고 '시사'는 시 짓는 기량을 겨루는 모임을 말한다. 천수경, 장혼, 왕태 등 중인 문인들이 매년 봄과 가을, 좋은 날에 송석원에서 시사를 열면 수백 명이 모여들어 시를 지으며 놀았다. 큰 그릇에 먹물...
    시대 :
    1786년
    국가/대륙 :
    한국
  • 비연시사 斐然詩社
    비연은 장지완의 호에서 따온 것이다. 여항문학의 전성기를 이루었던 송석원시사가 해체된 뒤 한 세대 뒤의 인물들이 소규모의 시사들을 결성하게 되는데, 이 시사도 그중 하나이다. 장지완은 송석원시사의 핵심인물이었던 장혼의 제자로 송석원시사의 전통을 그대로 이어받았다. 구성원은 7명으로 장지완·장효무(張孝...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서원시사 西園詩社
    칠송정시사라고도 한다. 송석원시사가 해체된 뒤 결성되었다. 김희령(金羲齡)의 일섭원과 지석관의 칠송정 등에서 시회를 가졌던 여항시사이다. 일섭원은 송석원시사의 핵심인물인 김낙서(金洛瑞)의 전포로 이곳에서 그의 아들 김희령이 시사를 열었다. 칠송정은 인왕산 육각현 위에 있는 경승으로 지석관의 소유였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시사 문제 時事問題
    갈등 상황이 벌어지는 문제들이다. 저출산 고령화, 빈익빈 부익부, 학교 폭력의 심화, 사교육비 상승, 유럽의 금융 위기, 독도 영유권 문제 등이 있다. 시사문제는 신문과 방송에서 집중적으로 다뤄지고 많은 사람들의 관심이 쏠리는 문제들이라 축적된 자료가 많고 구하기도 쉽다. 자료를 공부해 문제의 원인을 찾고...
    도서 다음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현재페이지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출처1건

멀티미디어39건

미츠오 시사 미술관(미츠오 시사 비쥬츠칸, MITSUOシーサー美術館)
미츠오 시사 미술관(미츠오 시사 비쥬츠칸, MITSUOシーサー美術館)
미츠오 시사 미술관(미츠오 시사 비쥬츠칸, MITSUOシーサー美術館)
목포시사
숙종시사
운곡시사
목포시사
목포시사
운곡시사
목포시사
목포시사
목포시사
숙종시사
시사총보 창간호
목포시사 / 현판
목포시사 문화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