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영남가단 嶺南歌壇개설 가단은 특정한 시기에 우리말 노래를 창작하고 향유하는 활동을 전개한 집단이다. 영남가단은 16세기 중엽 이후 영남 지역을 중심으로 동일한 신분의 일정한 구성원이 일정한 공간을 바탕으로 시가 활동을 한 집단을 가리킨다. 영남가단은 명칭을 문제 삼을 수도 있으나, 16세기 중반 이현보(李賢輔, 1467∼1555)를...
- 시대 :
- 조선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문학/고전시가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호남가단 湖南歌壇개설 가단은 특정한 시기에 우리말 노래를 창작하고 향유하는 활동을 전개한 집단이다. 호남가단은 16세기 중엽 이후 호남 지역을 중심으로 동일한 신분의 일정한 구성원이 일정한 공간을 바탕으로 시가 활동을 한 집단을 가리킨다. 호남 지역은 백제 시대의 〈정읍사〉를 비롯하여 〈상춘곡〉을 지은 정극인(1401∼1481...
- 시대 :
- 조선
- 유형 :
- 개념
- 분야 :
- 문학/고전시가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노가재가단 老稼齋歌壇각 작가의 작품 끝에 붙인 후서(後序)는 당시 가악계를 살필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되기 때문이다. 『청구가요』는 김수장이 노가재를 중심으로 한 가단 활동을 통해서 이루어낸 작품을 뽑아 엮은 것으로, 바로 노가재가단 활동의 결실이다. 이 가단의 명칭은 당시 실제로 불린 것은 아니고 김수장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 시대 :
- 조선
- 설립 :
- 1760년(영조 36)
- 성격 :
- 가객단체
- 유형 :
- 단체
- 설립자 :
- 김수장(金壽長)
- 분야 :
- 문학/고전시가
-
경정산가단 敬亭山歌壇김천택과 김수장이 매우 친밀하였음을 나타낸다. 두 사람은 당시의 가악계를 대표하던 인물로서 많은 가인 · 가객들과 교유했다. 이들을 중심으로 일종의 가단이 형성되고, 이로 말미암아 가악이 크게 발달하였을 것이다. 경정산(敬亭山)은 중국의 산으로, ‘독좌경정산(獨坐敬亭山)’이라는 이백(李白)의 시구로 널리...
- 시대 :
- 조선
- 유형 :
- 단체
- 분야 :
- 문학/고전시가
-
분강가단 汾江歌壇개설 분강가단은 16세기 중반 이후 경상도 예안의 분강에서 이현보(1467∼1555)를 중심으로 시회를 즐기고 뱃놀이를 하면서 강호의 즐거움을 누린 일군의 시가활동을 말한다. 이현보는 벼슬살이에서 물러나 고향인 분강에서 이해, 이황, 이문량, 이중량, 황준량 등과 뱃놀이를 하면서 〈어부가〉를 산정하고, 놀이를...
- 시대 :
- 조선
- 위치 :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분천리
- 설립 :
- 16세기 중엽
- 성격 :
- 시가 창작 및 향유 집단
- 유형 :
- 단체
- 해체 :
- 18세기 전반
- 설립자 :
- 이현보(李賢輔)
- 분야 :
- 문학/고전시가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석문정시가단 石門亭詩歌壇내용 석문정시가단은 경상북도 문경 지역의 사족 채헌(1715~1795)이 1787년(정조 11) 현재 문경시 산북면 이곡리에 석문정을 세우고 친인척, 동학과 더불어 시가를 창작하고 향유하는 활동을 펼침으로써 성립되었다. 채헌의 아들 채시옥(蔡蓍玉, 1748~1803)을 비롯하여 채래(蔡淶), 채용(蔡溶), 채시로(蔡蓍老), 채시성...
- 시대 :
- 조선후기
- 위치 :
- 경상북도 문경시 산북면 이곡리
- 설립 :
- 1787년경
- 성격 :
- 시가 창작 및 향유 집단
- 유형 :
- 단체
- 해체 :
- 19세기 초
- 설립자 :
- 채헌(蔡瀗)
- 분야 :
- 문학/고전시가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보성 대원사 극락전 관음보살․달마대사 벽화 관음보살도 혜가단비도, 寶城 大原寺 極樂殿 觀..관음보살과 선재동자를 그렸는데, 선재동자가 관음보살의 뒤편에 서서 파랑새를 안고 있다. 또한, 동쪽 벽에 그려진 달마대사도는 선종에서 도상화 되었던 혜가단비(慧可斷臂)의 고사를 소재로 하였다. 큼직하게 그려진 달마대사와는 달리 혜가를 작은 크기로 그려 달마의 모습을 부각시켰다. 부리부리한 눈에 붉은색...
- 시대 :
- 조선
- 문화재 지정 :
- 보물 제 1861호
- 성격 :
- 불화
- 유형 :
- 유물
- 재질 :
- 토벽채색
- 제작시기 :
- 조선시대
- 분야 :
- 예술·체육/회화
- 소장/전승 :
- 대원사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