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시가 시, 詩歌와 같이 시상이 표현으로 나타나지 않고, ‘산’과 ‘바다’의 객관적 등가물(等價物)은 조선주의의 고취라는 미리 정해진 선험(先驗)에 압도당하고 있다. 민족과 국토에 바치는 찬가가 잠재적인 것보다 먼저 외부의 관념의 자극에서 촉발되었다는 것이 그것의 단적인 예증이다. 따라서, 최남선의 시의 관심은 현실에...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문학/현대문학
-
주택 한옥, 住宅개설 주택이라는 말은 머무를 주(住)와 집 택(宅)의 합성어로서 그 뜻은 사람이 들어와 사는 집을 말한다. 이 말은 순수한 우리말인 ‘집’에 대한 한자어로 외래어이며, 같은 한자어인 주거(住居)와 유사하나 전자가 집 그 자체의 건물만을 지칭한다면 후자는 집에서 이루어지는 생활도 포함된다고 할 수 있다. 또 가옥...
- 유형 :
- 개념
- 분야 :
- 생활/주생활
-
시조 단가, 時調에 이르기까지 누구나 짓고 즐기는 우리 노래이기에 한시에 못지않은 가치를 인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런 일을 거듭 해서 많은 작품이 전해지고, 시조가 민족문학으로서 핵심적인 위치를 차지한다는 인식이 확대되는 데에 크게 기여했다. 한역 시조의 전개 조선 후기에 시조를 한문으로 번역하여 기록하고자 하는...
- 유형 :
- 개념
- 분야 :
- 문학/고전시가
-
철학 哲學, philosophy학문의 성격을 규정지은 서양철학의 요람이다. 칸트(I. Kant)는 그리스에서 철학이 탄생한 의의를 다음과 같이 표현하였다. “그리스라는 경탄할 만한 민족이 희망봉(希望峰)을 도는 항로를 발견한 것보다 훨씬 더 중대한 사고방법의 혁명을 가져왔다.” 서기전 7세기경 소아시아 연안의 그리스 식민지에 살았던 최초의...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조세 租稅개설 조세를 좀 더 자세히 나누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① 조세는 공권력을 가진 국가나 공공단체가 거두어들이는 것이다. ② 조세의 목적은 공공재의 공급과 소득의 재분배를 위한 재원조달이라는 세수목적과 경제활동의 규제 · 유도, 부의 집중회피, 국민경제의 안정 및 성장과 같은 정책목적에 있다. 따라서 이 두...
- 유형 :
- 제도
- 분야 :
- 경제·산업/경제
-
-
Ethnic group 민족, 民族An ethnic group or ethnicity is a category of people who identify with each other based on common ancestral, social, cultural or national experience. Unlike most other social groups, ethnicity is primarily an inherited status. Membership of an ethnic group tends to be defined by a shared cultural...출처 영어 위키백과
-
발해 진국(振國), 渤海요서와 요동지역에서는 나당전쟁 이후 기미 지배 체제가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였다. 그리고 682년에 동돌궐 제국이 재건에 성공하자 동북지역 여러 민족의 반당 활동을 자극하였다. 693년경에는 흑수말갈과 실위의 반란이 있었고, 696년에는 요서에서 거란족을 중심으로 해족, 고구려 유민, 말갈족 등 여러 민족이...
- 시대 :
- 고대/남북국/발해
- 유형 :
- 지명/고지명
- 분야 :
- 역사/고대사
-
러시아 러시아연방전체생산물의 약 16%가 농업생산물이어서 농업국으로 간주되기도 하였다. 공용어는 러시아어이나, 약 150개의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약 200개의 민족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인구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전 인구의 70%가 넘는 러시아슬라브족이었으며, 이들은 대부분 러시아정교를 신봉하였다. 이 러시아슬라브족은...
- 시대 :
- 현대
- 유형 :
- 지명/국가
- 면적 :
- 1709만 8242㎢
- 분야 :
- 정치·법제/외교
-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 반민특위, 反民族行爲特別調査委員會내용 제헌국회는 정부 수립을 앞두고 애국선열의 넋을 위로하고 민족정기를 바로 잡기 위해 친일파를 처벌할 특별법을 제정할 수 있다는 조항을 헌법에 두었다. 이에 따라 제헌국회는 친일파를 처벌할 특별법 제정에 착수하여 반민족행위처벌법을 제정하였다. 이 법은 1948년 9월 22일에 공포되었으며, 반민족행위특별...
- 시대 :
- 현대
- 유형 :
- 제도
- 분야 :
- 정치·법제/정치
-
민족 최대의 비극, 한국전쟁근대에서 현대로 넘어오는 과정은 순탄치 않았다. 우리나라는 그 길목에서 한국전쟁이라는 민족 최대의 비극을 만나 만신창이가 된 채 현대의 문턱에 들어섰다. 1950년 6월 25일 새벽, 소련의 지원을 받아 무기와 장비를 갖춘 북한군이 38선을 넘었다. 그들은 곧 전쟁을 끝내고 한반도에서 사회주의 혁명을 완수할 것...
-
토지제도 土地制度요약문 토지제도는 토지의 이용·관리·거래·소유 등에 관련된 제도이다. 농업 사회이던 전통시대에 국가 경영을 위한 조세 수입과 백성들의 생활 안정을 위해서는 합리적 토지제도가 마련되어야 했다. 그리하여 왕조가 교체될 때마다 정전제, 전시과, 과전법 등 새로운 토지제도를 정비하여 안정을 도모했으나 결국은...
- 성격 :
- 토지제도
- 유형 :
- 제도
- 분야 :
- 경제·산업/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