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녹산등대
    계단을 올라 팔각정 정자에 다다르면 녹산등대가 있는 곳을 따라 녹산등대길이 그림처럼 펼쳐진다. 초원을 가로질러 신지끼 인어상이 있는 인어 해양공원에서 약 280m를 더 가면 거문도등대 못지않은 절경 속에 솟아 있는 녹산등대를 만날 수 있다. 녹산등대는 거문도에서 가장 큰 서도의 북쪽 끄트머리에 위치한 무인...
    위치 :
    전라남도 여수시 삼산면 서도리 산233-1
  • 등대 설치 100주년 기념 팔미도 등대와 바다
    항로표지의 하나로 뱃사람들에게는 적막한 밤바다의 어둠을 따뜻하게 밝혀주는 등불이 되어 왔다. 등대의 역사를 살펴보면 기원전에 세워진 고대 이집트 알렉산드리아의 파로스 등대가 그 최초로 전해지고 있다. 우리나라 최초의 등대는 일제에 의해 강제 개항된 인천에 세워진 팔미도 등대로, 선박의 왕래가 빈번해...
    발행일 :
    2003.5.30
    발행량 :
    1800000
    종수 :
    1
    액면가격 :
    190원
    디자인 :
    팔미도 등대와 바다
    우표번호 :
    2326
    인면 :
    27×37
    천공 :
    13
    전지구성 :
    4×5
    용지 :
    그라비어 원지
    인쇄 및 색수 :
    그라비어 5도
    우표크기 :
    30×40
    디자이너 :
    노정화/김창환(사진)
    인쇄처 :
    한국조폐공사
    도서 한국우표 | 태그 문화 일반
  • 이호테우 말 등대
    이호테우 말 등대는 제주도 도심과 제일 가까운 이호테우해변에 자리 잡은 등대로, 제주의 조랑말을 형상화하여 만든 등대이다. 높이 12m의 빨간 말 등대와 하얀 말 등대가 각각 안쪽 방파제와 바깥 방파제에 한 마리씩 자리 잡고 있다. 등대의 색이 흰색과 빨간색으로 칠해진 이유는 배들이 흰색, 빨간색 등대를 보고...
    위치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이호일동 375-43
  • 울기등대
    울기등대는 ‘제2의 해금강’이라 불리는 울산의 끝 ‘울기(蔚埼)’에 건립되었다. 동해안을 따라 항해하는 선박들의 길잡이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대왕암공원 내에 등대가 위치하여, 등대로 가는 600m의 길섶에는 타래붓꽃, 수선화, 해당화, 해국 등 각종 야생화가 찾는 이를 반기며, 매년 4월이면 왕벚나무 터널이...
    위치 :
    울산광역시 동구 등대로 155 (일산동)
  • 영산포 등대
    1915년 영산강의 가항 종점인 영산포 선창에 건립된 등대이다. 한국의 내륙 하천에 있는 유일한 등대로 해마다 범람하던 영산강의 수위 측정과 등대의 기능을 겸했으며 1989년까지 사용되었다. 영산포 선창은 일제 강점기에는 곡창지대인 호남 지역의 수탈의 거점으로 이용되었으며 1960년대까지 각종 선박이 왕래하면서...
    위치 :
    전라남도 나주시 등대길 80
    문화재 지정 :
    등록문화재 제129호(2004.12.31 지정)
  • 선유도항방파제등대
    선유도항 방파제등대는 2008년 12월에 선유도항을 오가는 선박의 안전 항해를 기원한다는 의미를 담아 두손을 합장한 모양으로 설치됐다. 외부는 빨간색으로 칠해져 있으며 높이는 10.8M이다.기도등대로 알려지면서 꿈과 소원을 비는 명소로 자리 잡고 있으며, 석양이 질 때에는 온통 붉게 물든 바다와 하늘이 어우러져...
    위치 :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 옥도면 선유도리 474-1
  • 천성항 방파제등대
    부산 가덕도는 2010년 이전에는 배를 타고 들어가야 했지만, 부산 신항과 거가대교가 생기면서 자동차로 오갈 수 있다. 가덕도에 위치한 천성항 방파제 등대는 부산광역시의 기념물인 천성진성의 망루를 형상화한 조형 등대로, 일명 ‘망루등대’라고 불린다. 국가 어항인 천성항을 드나드는 선박의 안전 항해를 위해...
    위치 :
    부산광역시 강서구 천성동 838
  • 부산의 등대, 그곳엔 사람이 산다 釜山의 燈臺, 그곳엔 사람이 산다
    오륙도 등대를 지나쳐야 했기 때문에 등대는 축조되자마자 부산의 상징이 되었다. 현재의 등대는 1998년에 재탄생한 것이다. 오륙도라고 하는 바위섬에 등대를 축조했다는 사실이 경이로울 정도로 등대는 위태롭게 서 있다. 위태롭기 때문에 더 예술적으로 보이는 것일지도 모르겠다. 등대로 오르는 난간은 급격한 경사...
    분야 :
    생활·민속
    지역 :
    부산광역시
  • 거문도 巨文島
    거문도 뱃노래>는 전라남도 무형문화재 제1호로 지정되어 있다. 360여 년 전 추씨가 처음 거주했다고 전해지며, 매년 음력 섣달 그믐날에는 추씨 할머니를 수호신으로 모시는 제사를 올린다. 서도의 남단과 북단에 등대가 있으며, 남단의 거문도 등대는 1904년에 설치된 우리나라 제1의 등대로 촉광이 약 40km에 이른다...
    위치 :
    전라남도 여수시 남서부 해상
    성격 :
    면적 :
    12㎢
    국가 :
    대한민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전라남도
  • 영도 등대 影島 燈臺
    세기에 걸친 축항과 항만 시설의 정비로 한국 최대의 항만이 되었다. 영도 등대(影島燈臺)는 부산항이 항만으로 제대로 자리 잡게 되면서 선박 왕래가 많아짐에 따라 건립되었는데, 특히 일본의 군사적인 목적에 의해서 만들어졌다는 설도 있다. 영도 등대는 1906년 12월에 목도 등대로 개설되었다. [변천] 1906년 12월...
    분야 :
    지리
    지역 :
    부산광역시 영도구
  • 알렉산드리아의 파로스등대 Pharos of Alexandria
    1994년 가을 프랑스의 고고학 발굴팀이 알렉산드리아 앞바다에서 세계 7대 불가사의로 알려진 파로스등대의 잔해 수백 점을 건지는 데 성공했다. 발굴팀은 화강암으로 된 높이 4.55미터, 무게 12톤의 여신상을 기중기로 끌어올렸는데 5만 평방미터에 달하는 거대한 면적에 거상들의 토르소, 목이 떨어진 스핑크스들이...
  • 제뢰 등대 鵜瀨 燈臺
    [개설] 1905년 6월에 건립되었으며 1998년 부산항 북방파제 등대로 한차례 이름이 바뀌었다. 2001년 신감만 부두 건설 매립 공사로 바위섬이 육지와 연결되고 인근에 무인 등대인 감만 부두 등표가 새로 건립되면서 등대의 역할을 마감되게 되었다. [위치] 제뢰 등대는 대한제국 정부가 ‘까치 여울’, ‘오리 여울’로...
    분야 :
    역사
    지역 :
    부산광역시 남구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현재페이지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239건

등대로
버지니아 울프(Virginia Woolf)
버지니아 울프(Virginia Woolf)
도동등대(행남등대)
등대
등대
등대
등대
등대
등대
등대
등대
등대
등대
등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