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고구려, 도교 수용
    당나라에서 숙달 등 8명의 도사가 천존상과 도교의 경전을 가지고 고구려에 와서 노자의 『도덕경』을 가르쳤다. 참조
    시대 :
    624년
    국가/대륙 :
    한국
  • 타페콩 사원 타페콩을 모시는 도교 사원, Poh Hock Seah Twa Peh Kong..
    1890년에 세워진 얍 콩시 길 건너에 위치한 도교 사원이다. 주신으로 타페콩(大伯公, 대백공)을 모시고 기타 신으로 뇌부호법 24천군(雷部护法 二十四天君)을 모신다. 사원의 구조는 이중 돌계단이 없는 2층 건물로 체 콩시와 비슷하다. 본 건물에는 ‘건덕당(建德堂)’이라는 현판, 그 위에 ‘복덕정신묘(福德正神廟...
    소재지 :
    No 57, Jalan Armenian, George Town, Pulau Pinang
    가격 :
    무료
    가는 법 :
    얍 콩시에서 바로
    이용 시간 :
    09:00~18:00
  • 한국의 도교 사상
    한국의 도교이 개창한 오두미도(五斗米道)를 도교의 원류로 보는 관점에서 한국의 도교를 설명하는 경우이다.종교·철학 > 한국의 종교 > 한국의 도교 > 한국도교의 사상·문화 > 한국도교의 사상·문화〔개설〕,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이런 두 가지 서로 대립되는 관점과는 달리, 한국의 도교는 민족 고유 신앙...
    도서 위키백과
  • 구겸지 사상가 구겸지, 寇謙之
    도교 제식(祭式)의 여러 가지 의례와 의식을 정리했으며 도가이론을 재정립했다. 그가 끼친 영향은 대단해서 도교를 북위(386~534/535)의 국교로 만들었다. 그러나 이 일 때문에 도교는 오랜 기간 종파들 사이에 피비린내나는 정치적 투쟁에 휘말리게 되었다. 구겸지는 원래 도교의 의사 겸 위생학자였다. 그러나 415...
    출생 :
    미상
    사망 :
    448
    국적 :
    중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철학가
  • 전진교 全眞敎, Chuanchenchiao
    할 수 있다. 왕중양이 죽은 뒤 마단양이 교단을 형성하기 위해 노력하여 그 기초를 닦았다. 뒤이어 장춘진인(長春眞人)이 몽골의 칭기즈 칸에게 불려가 도교의 총책임자로 임명되어 면세 특권을 받은 뒤, 강북은 물론 강남에서도 세력을 확장하여 강남의 정일교(正一敎)와 함께 도교계를 양분했다. 그사이 세력을 업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시탕 성당 관우를 모신 도교 사원, 시탕 성탕
    명나라 1575년에 건설되었으며, 방상붕(庞尚鹏)을 기념하기 위하여 방공사(庞公祠)라고 불렸다. 1674년과 1711년 두 번의 수리 공사 후 관제상(关帝像, 관우상)을 사찰에 모시고 이름을 성당으로 고쳤다. 금색 관우상의 모습이 늠름하지만 이곳에서 사진 촬영은 금지다. 참고
  • 한국의 도교 Taoism in Korea, 朝鮮道教
    도교도 역시 이런 관점에서 개관할 수 있으며, 이 문서는 그러한 개관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이 문서는 교단 도교와 민중 도교의 측면에서 시대순으로 한국의 도교 역사를 다루고 있다. 한국에서 전개된 도교 사상과 의식에 대해서는 각각 별도의 문서인 한국의 도교 사상과 한국의 도교 의식에서 다루고 있다. 도교는...
    도서 위키백과
  • 청학집 靑鶴集
    한국 단학(도교의 수련법)의 도액을 계보학적으로 정리한 것으로 유명하다. 그 계보는 광성자·명유에서 비롯하여 환인진인·환웅·단군을 원류로 하고 있다. 단군에 이어 아사달산에 살며 네모난 눈을 가진 문박(또는 문박 씨)에 의해 맥이 전승되며 문박은 다시 신라 4선 가운데 영랑에게 전수한다. 그후 도맥은 박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
  • 징허 도원 송나라 때 세워진 도교 사원, 청쉬 다오위안
    900년이 넘는 역사를 가지고 있는 징허 도원은 원래는 성당(圣堂)으로 불렸다. 명대에는 번성하지 않았지만 청나라 때 지금의 옥황각, 문창각, 성제각 등이 세워졌으며 1993년 복원을 거쳐 송대 도교 사원으로 번창하였다. 이곳에서는 매년 음력 6월 21~22일에 가장 큰 행사가 열린다. 참고
    이용 시간 :
    08:00~16:00
  • 꽌 타인 사당 1세기에 지은 도교 사원, 진무관
    1세기에 지은 도교 사원으로, 북방의 적을 토벌하고 나라를 지켰다는 현천진무(玄天鎭武)를 받드는 곳이다. 뱀과 거북을 거느린 현천진무신의 동상은 높이 약 4m, 무게 약 4t으로 베트남 최대의 동상으로 알려져 있다. 참고
    요금 :
    2만 동
    이용 시간 :
    8:00~16:00(연중 무휴)
  • 남궁두 南宮斗
    寺)에서 은거하였다. ≪해동이적 海東異蹟≫에 의하면 후에 경상도 의령의 한 암자에서 지낼 때 부주(符呪) · 상위(象緯) · 감여(堪輿) · 추점(推占) 등 도교의 방술에 뛰어난 노승을 무주 부근에서 만나 신선술을 익혔다. 먼저 정신통일을 하기 위하여 잠 안 자는 법을 익히고, 다음 벽곡(辟穀 : 곡기를 끊음...
    시대 :
    조선
    유형 :
    인물/전통 인물
    분야 :
    종교·철학/도교
  • 석경 石經, Shihching
    했지만, 인쇄술이 발달된 후에도 경전 가운데 권위가 인정된 것을 공시하기 위해 만들어지기도 했다. 원래는 유교경전을 석경으로 만들었지만 후에 불교·도교 경전도 만들었다. 유교의 석경은 국가사업으로서 태학(太學)·국자감의 앞에 세우는 것이 상례였다. 오늘날 7가지가 확인되어 있다. 맨 처음 만든 것은 한(漢...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유물 , 종교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현재페이지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1건

삼성훈경 / 각세진경
일본 도교 도
도가와 도교
금강도교전
금강도교전
도교의 신 옥황상제
도교의 창시자 노자
외백도교(外白渡桥)
도교로 발전한 도가 사상
도교 스승들이 황제에게 《도덕경》을 바치는 모습
유교, 도교, 불교가 하나임을 의미하는 송나라 시대 그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