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대수 大首내용 대수는 ≪진서 晉書≫ 여복지(輿服志)의 “대수계(大手髻) 7개의 비녀가 계(髻)를 덮었다.”라는 구절로 미루어 오래 전부터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우리 나라에서 왕비의 대례복에 하게 된 것은 대례복인 적의(翟衣)에 하던 적관(翟冠)이 임진왜란으로 소실된 이후로 추측된다. 임진왜란 이후 궁중의 제식을 정비...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생활/의생활
-
-
대수에서 역원이란?대수에서 ‘역원’은 연산의 결과가 ‘자기 자신이 되게 하는’ 수를 만드는 수를 말한다. 예를 들어, 4에 그 역원인 1/4을 곱하면 그 값은 1이 된다. 따라서 0이 아닌 수 x에 대하여 x×1/x=1이므로 1/x을 ‘x의 곱셈에 대한 역원’이라 한다. 덧셈에서는 -4에 4를 더하면 0이 된다. 따라서 x+(-x)=0이므로 -x를...
-
대수에서 지수란?지수는 어떤 수가 곱해지는 횟수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34은 ‘3×3×3×3’을 뜻하며 81과 같다. 지수는 양의 정수나 음의 정수, 실수, 심지어 복소수가 될 수도 있다. 또 밑수를 b로 하고, 지수를 e로 하여 거듭제곱을 나타낼 수도 있다(컴퓨터 관련 책에서는 이것을 b∧e로 표현한다). 지수는 대수방정식에 포함...
-
대수 다형체의 사상 Morphism of algebraic varieties..대역 단면 환)은 아핀 대수 기하학의 기본 대상이다. 사영 다형체에 대한 유일한 정규 함수는 상수 함수이다(복소 해석학에서 리우빌 정리의 대수적 아날로그로 볼 수 있음). 스칼라 함수 f:X\to \mathbb A^1 는, 어떤 x의 열린 아핀 이웃에서, x에서 정규인 유리 함수일 때 점 x에서 정규이다. 즉, x의 이웃에서 f=g/h...도서 위키백과
-
소대수언 昭代粹言기문(涪溪記聞)」·「자해필담(柴海筆談)」·「하담파적록(荷潭破寂錄)」 등이 수록되어 있다. 조선 중·후기의 동인·남인계열 인물들의 저서를 모아 『소대수언』이라는 제목을 붙인 데에서 편자 자신도 같은 계열임을 알 수 있다. 이 책에 실린 저작들은 『대동야승(大東野乘)』에도 수록된 것으로 야사적인 자료로서...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정도응(鄭道應)
- 창작/발표시기 :
- 1667년(현종 8) 이전
- 성격 :
- 역사서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2권 12책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소장/전승 :
- 규장각 도서
-
-
-
대수 부호 여진 선형 예측 ACELP, 代數符號勵振線形豫測전화나 기업 내의 음성 통신 등에 사용된다. 특징은 고정 잡음 부호를 벡터 모형으로 해서 넣어 두는 방식이 아니라 프레임당 몇 개의 진폭(+1/-1) 펄스 조합으로 이루어진 대수적 부호 구조로 되어 있고, 소수의 고정 진폭 펄스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부호 여진 선형 예측보다 연산량을 대폭 줄일 수 있는 점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