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생식세포 Gamete
    생식을 통해서 유전정보를 다음 세대로 전달하는 세포입니다. 위치 남성의 고환과 여성의 난소에 위치합니다. 구조 남성에게 있어 정세포, 여성에게 있어 난세포를 의미하며, 유전적인 다양성을 유지하기 위해 특별히 분화한 세포입니다. 생식을 제외한 생물체의 모든 부분을 담당하는 체세포에 비해 염색체 수가 절반...
    관련 질환 :
    여성불임, 남성 불임, 생식선 및 생식 세포의 신생물
    관련 인체 :
    난소, 고환
    관련 검사 :
    에스트라디올, 테스토스테론, 생식세포자궁관내이식, 세침흡인검사
    도서 인체백과 | 태그 건강 , 인체
  • 분화 分化, differentiation
    성숙한 개체는 수많은 유형의 분화된 세포로 구성된다. 미분화된 선구세포(precursor cell)의 분화는 난세포의 발생이나 유생의 형태형성 기간중에 일어나며 무성생식의 경우는 세포분열에 뒤이어서 일어난다. 분화현상은 손상된 조직의 재생과정이나 재생조직의 성장기간에도 나타난다. 특정한 단백질·탄수화물·지질...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생물
  • 단성화 單性花, stigma
    상태에서 바람에 날려 밑씨의 주공에 도달한다. 정자는 많은 수의 편모를 가지며 1개의 꽃가루관 안에 2~22개가 만들어진다. 여러 개의 장란기에서 생성된 난세포들이 수정하여 여러 개의 배를 만들지만, 단 1개만이 성숙하게 된다. 은행나무(Ginkgo biloba)도 암수딴그루이지만 꽃가루는 꽃가루받이 시 4세포이고 그 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난소암 ovarian cancer
    난소에 발생하는 암. 난소를 덮고 있는 상피에서 기원하는 난소 상피암과, 난세포에서 기원하는 악성 종자세포암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자궁관암(난관암)과 원발 복막암은 난소 상피암과 비슷한 특징을 보임으로 같은 방법으로 병기 분류 및 치료를 한다.
  • 식물의 수정과 열매
    씨방 속에 있는 밑씨를 향해서 자라기 시작합니다. 꽃가루 속에서 만들어진 두 개의 정핵(n)은 이 관을 따라 밑씨 쪽으로 내려가서 한 개는 밑씨에 있는 난세포와 만나서 배(2n)가 되고, 다른 한 개는 두 개의 극핵(n)과 만나서 배젖(3n) 되는데 이를 수정(중복수정)이라 합니다. 수정이 이루어지면 밑씨는 자라서 씨...
  • egg
    노른자 모두 응고하며 이 온도 이상에서는 단백질이 질겨진다. 커스터드와 머랭의 경우, 높은 온도에서는 수분이 다 빠져버리게 된다. 알은 끓이거나 튀길 수도 있고 삶기도 하고 스크램블하거나 굽기도 한다. 전채요리·주요리·후식 등 어떠한 식사과정에도 쓰일 수 있고 달거나 짠 음식에도 잘 어울린다. → 난세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생물
  • 배우체 配偶體, gametophyte
    교대로 나타나는 현상이다. 따라서 배우체는 세대교번을 하여 무성시기의 포자체가 된다. 배우체시기에 암수기관인 배우자낭이 각각 발생하여 배우자인 난세포와 정자가 생성되며 이들은 수정하여 배우자합체가 일어나 하나로 된다. 수정란(접합자)은 포자체 시기로 발전하여 수많은 단세포성 포자를 생성하게 되며 이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생물
  • 솔잎란류 whisk fern
    무성세대 식물(포자체)은 포자를 만드는데, 만들어진 포자는 땅속에서 발달하거나 나무 줄기에서 자라 매우 작고 무색인 유성세대의 식물(배우체)로 발달한다. 난세포와 정자는 유성세대의 식물 표면 위의 특별한 구조에서 생산된다. 이러한 배우자의 결합으로 포자체 세대가 시작된다. 한국에는 솔잎란 1종만이 제주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식물
  • 생식 세포 生殖細胞, reproductive cell
    식물의 경우, 무성생식을 하는 양치식물이나 조류 등은 포자낭을 생식 세포로 가지고 있고, 유성생식의 경우 암술과 수술에서 만들어지는 난세포와 화분(꽃밥)이 있다. 동물의 생식 세포는 난소와 정소에서 만들어지는 난자와 정자가 대표적이다. 유성생식이 이루어질 때 생식 세포들은 부모의 염색체들이 골고루 섞여...
    도서 다음백과
  • 각태류 뿔이끼류, 角苔類
    실 모양의 녹색체)는 짧은 사상(絲狀)이거나 없고, 포자가 발아한 직후 분화한다. 헛뿌리는 단세포성이고 매끈하며, 배우체는 엽상이다. 장란기(자성 세포인 난세포를 만들고 간직하여 두는 기관)는 독립된 구조를 갖지 않고 엽상체 속에 묻혀 있으며, 장정기(정자를 만들고 간직하여 두는 기관)는 엽상체 속에 함몰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생물
  • 암술머리 stigma
    끈적끈적한 점액을 가지고 있는 경우도 많다. 암술머리에 떨어진 꽃가루가 자라기 시작하여 꽃가루관을 만들고 꽃가루관은 계속해서 아래쪽으로 자라 밑씨에 다다른다. 꽃가루관 안에 들어 있던 정세포와 밑씨 속에 들어 있던 난세포가 결합하여 수정이 일어나고 식물의 배(胚)가 만들어지며 밑씨가 자라 씨가 된다...
    도서 다음백과
  • 생식핵 生殖核, reproductive nucleus
    다시 두 개로 나뉘어 두 개의 정핵이 된다.화분에서 화분관이 뻗으면 암술머리에서 암술대를 통과해서 밑씨로 향한다. 속씨식물에서는 두 개의 정핵이 각각 난세포, 극핵과 수정되어 배와 배젖으로 발달하는 중복수정이 일어난다. 겉씨식물의 화분 속에서는 세포분열이 일어나서 장정기(전엽체)세포가 형성되며 장정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식물 , 생물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현재페이지4 5 6 7 8 9 다음페이지 없음

관련항목

멀티미디어7건

〈사진 4〉 배란을 끝낸 사람의 난세포를 주사전자현미경으로 들여다본 사진. ×530
〈사진 5-1〉 수정을 끝내고 난할을 시작한 사람의 난세포를 투과전자현미경으로 들여다본 사진. ×340
〈사진 5-2〉 수정을 끝내고 난할을 시작한 사람의 난세포를 투과전자현미경으로 들여다본 사진. ×340
〈사진 1〉 미숙한 난포(Follicular)를 광학현미경으로 들여다본 사진. 토끼. MG염색. ×100
〈사진 2〉 성숙 과정의 난포를 광학현미경으로 들여다본 사진. 원숭이. HE. ×85
〈사진 3-2〉 성숙한 난포 일부를 확대한 사진. 생쥐. ×430
〈사진 3-1〉 성숙한 난포 일부를 확대한 사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