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X선 발견 100주년 기념 뢴트겐과 X선1995년 11월 8일은 X선을 발견한지 100주년이 되는 날입니다. 1895년 11월 8일은 독일의 물리학자 빌헬름 콘라드 뢴트겐은 진공관(Crookes管)으로 음극선을 연구중 파장(波長)이 0.01∼100Å (1천만분의 1mm)으로 감마선(r線)과 자외선의 중간파장인 미지의 전자파(電磁波)를 발견하여 X선이라 명명하였습니다. X선은 눈...
- 발행일 :
- 1995.11.8
- 발행량 :
- 3000000
- 종수 :
- 1
- 액면가격 :
- 150원
- 디자인 :
- 뢴트겐과 X선
- 우표번호 :
- 1841
- 인면 :
- 33×23
- 천공 :
- 13
- 전지구성 :
- 5×4
- 용지 :
- 백색무투문지
- 인쇄 및 색수 :
- 그라비아 5도색
- 디자이너 :
- 조종현
- 인쇄처 :
- 한국조폐공사
-
X선의 발견11월 8일, 독일의 물리학자 빌헬름 뢴트겐이 음극선을 연구하는 과정에서 다른 광선들보다 투과력이 훨씬 큰 방사선을 발견해 X선이라고 이름 붙였다. X선은 그 파장이 0.01~10나노미터에 불과해 종이나 직물 같은 부드러운 물체를 쉽게 통과 할 수 있었다. 이로써 의사가 환자의 환부를 직접 열어 보지 않고도 진단과...
- 시대 :
- 1895년 11월 8일
- 국가/대륙 :
- 유럽
-
-
X선을 이용해 나무 붕괴 매커니즘 밝혀미국에서 연간 생산량의 10%인 3억 톤의 목재가 쓰인다고 한다. 그런데 최근, 미국 산림청 생물학자인 바바라 일만 박사가 진균의 나무 붕괴 매커니즘을 X선을 이용해 밝혀냈다고 한다. 이는 고체물리기법이 산림 문제, 침입종 완화 연구, 생물학적 복원 및 장기적 생태 연구 프로그램 등에 적용가능하다는 점에서 고무...
-
블랙홀은 빛의 감옥이다빨려들어 갈 때는 속도가 매우 빨라진다. 그로 인해 굉장한 마찰에너지가 발생하고 1억 도 이상으로 뜨거워질 수 있다. 이렇게 뜨거운 물질은 X선의 형태로 복사에너지를 방출한다. 이 X선이 바로 구조신호가 될 수 있다. 백조자리에 있는 별에서 X선이 처음 발견된 것은 1964년의 일이다. 처음에는 이 X선이 중성자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