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어니스트 러더퍼드 Ernest Rutherford, Baron Rutherf..
    어니스트 러더퍼드는 방사선물질의 붕괴와 변환, 라듐으로부터 나오는 입자들, 알파 입자가 헬륨(He4)원자라는 사실, 원자구조에 관한 이론, 인위적 원소 붕괴 등에 관한 연구로 흔히 '핵물리학의 아버지'라고 불린다. 러더퍼드는 맥길대학교·맨체스터대학교·케임브리지대학교에서 두 세대에 걸쳐 젊은 과학자들에게 '...
    출생 :
    1871. 8. 30, 뉴질랜드 스프링그로브
    사망 :
    1937. 10. 9, 잉글랜드 케임브리지
    국적 :
    영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과학자
  • 어니스트 러더퍼드 Ernest Rutherford
    뉴질랜드 출신 영국의 물리학자로, 방사능의 법칙을 세우고, 방사선 방출이 원자 내부에서 일어나는 현상임을 밝히고, 원자 구조의 가설을 제시함.|어니스트 러더퍼드(Ernest Rutherford 1871~1937)는 방사성물질의 붕괴 및 변화, 알파입자가 헬륨원자라는 사실 입증, 원자구조에 관한 새로운 이론 등의 연구로 현대 ...
    도서 원자력사전 | 태그 원자력
  • 어니스트 러더퍼드 어니스트 러더퍼드는 누구이며, 물질과 양자역학의 이해에 어..
    뉴질랜드의 물리학자 어니스트 러더퍼드(Ernest Rutherford, 1871~1937)는 물질의 이해, 특히 그 미시적 구조와 방사능 이해에 많은 기여를 했다. 러더퍼드는 각 방사능에 알파, 베타, 감마선이라는 이름을 부여했다. 그의 가장 유명한 실험은 원자의 구조를 얇은 금박지에 방사선을 쏘아서 알아낸 실험이다. 그는 처음...
    출생 :
    1871년
    사망 :
    1937년
    국적 :
    뉴질랜드
  • 어니스트 러더퍼드 (관련어 어니스트러더퍼드) Ernest Rutherford, アー..
    과학자 정보 제1대 러더퍼드오브넬슨 남작 어니스트 러더퍼드은 뉴질랜드에서 태어난 영국의 핵물리학자로서 핵물리학의 아버지로 불린다. 방사능 법칙을 세웠고 방사능이 원자 내부에서 일어나는 반응이라는 사실을 밝혔으며, 자연 붕괴 현상을 연구해 기존 물질관에 대변화를 일으켰다. 알파 입자 산란 실험으로써 원...
    도서 위키백과
  • 역사 속 8월 과학사엔 어떤 일이 (관련어 어니스트 러더퍼드)
    1807년 8월 17일 : 풀턴, 최초의 증기선 운항 미국의 발명가 로버트 풀턴(Robert Fulton, 1765.11.14~1815.2.24)이 개량한 증기선 클러몬트호를 건조하여 1807년 오늘 세계 최초로 허드슨강 항해에 성공하였다. 1831년 8월 29일 : 패러데이, 전자기 상호 유도법칙 발견 영국의 과학자 패러데이(Michael Faraday, 1791.9....
  • Ernest Rutherford 어니스트 러더퍼드, アーネスト・ラザフォード
    Ernest Rutherford, 1st Baron Rutherford of Nelson, (30 August 1871 – 19 October 1937) was a New Zealand-born British physicist who became known as the father of nuclear physics. Encyclopædia Britannica considers him to be the greatest experimentalist since Michael Faraday (1791–1867).In early ...
  • 원자구성입자 原子構成粒子, subatomic particle
    작은 기본 입자들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이 명확해졌다. 첫번째 발견된 원자구성입자는 1897년 영국의 물리학자 J.J. 톰슨이 발견한 전자이다. 1911년 어니스트 러더퍼드는 태양계의 행성들이 태양 주위를 일정한 궤도를 따라 돌듯이 원자의 중심에는 양전하를 띤 무거운 핵이 있으며 그 주위를 음전하를 띤 가벼운 전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물리
  • 감마선 gamma ray
    1903년 이것이 베타선(방사능 핵에서 방출되는 전자들)과 다른 복사임을 증명한 어니스트 러더퍼드(Ernest Rutherford)가 이름을 붙였다. 감마 복사는 원자핵이 방사성 붕괴를 할 때 생기며, 때로는 원자를 이루고 있는 입자(π, Σ입자 등과 같은)가 붕괴할 때, 그리고 입자·반입자가 소멸할 때도 발생한다. 핵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물리 , 과학 일반
  • 입자물리학 117년
    기본입자를 찾았다. 1895년 광자 발견(빌헬름 뢴트겐) : 발견 당시는 X선 형태. 1897년 전자 발견(조셉 톰슨) 1899년 알파입자(헬륨 원자핵) 발견(어니스트 러더퍼드) 1900년 고에너지 광자 발견(폴 빌라르) : 감마선 1911년 원자핵 발견(러더퍼드) 1919년 양성자 발견(러더퍼드) 1920년 중성자 존재 예측(러더퍼드...
  • 맨체스터 대학교 The University of Manchester
    극장 등이 있다. 출신 인물 이스라엘의 초대 대통령을 지낸 하임 바이츠만이 맨체스터 대학교 출신이다. 노벨 물리학상을 받은 닐스 보어, 제임스 채드윅, 안드레 가임, 화학상을 받은 어니스트 러더퍼드, 아서 하든, 월터 노먼 하워스 등 물리, 화학, 생리의학, 경제학 분야에서 이십여 명의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했다...
    설립 :
    1824년
    유형 :
    공립 종합대학
    설립자 :
    존 달튼 경
    소재지 :
    영국 잉글랜드 맨체스터
    사이트 :
    www.manchester.ac.uk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대학교
  • 모즐리 Henry Gwyn jeffreys Moseley
    보여주었고, 원자번호와 원자핵의 전하량 사이의 관계를 밝혔다. 옥스퍼드대학의 트리니티 칼리지에서 공부했고, 1910년 맨체스터대학의 어니스트 러더퍼드(나중에 러더퍼드 경이 됨)의 실험실에서 강의를 시작했다. 그곳에서 제1차 세계대전이 일어나 군대에 입대할 때까지 일했다. 처음에는 라듐의 베타 붕괴와 방사능...
    출생 :
    1887. 11. 23, 잉글랜드 도싯 웨이머스
    사망 :
    1915. 8. 10, 터키 갈리폴리
    국적 :
    영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과학자
  • 양자역학은 언제 개발되었을까?
    해석하는 데 이 양자가설을 적용함으로써 눈부신 성과를 거두었다. 또 덴마크의 물리학자 네일 보어(1885~1962)는 뉴질랜드계인 영국의 물리학자 어니스트 러더퍼드(1871~1937)의 원자모형에도 적용되고 원자의 안정성과 원자가 흡수 · 방출하는 빛 스펙트럼선의 공식을 설명하는 이론을 만들었다. 또 파동역학을 개발...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9건

러더퍼드
러더퍼드
러더퍼드(Rutherford)
러더퍼드 모델
어니스트 러더퍼드
어니스트 러더퍼드
어네스트 러더퍼드
어니스트 러더퍼드
러더퍼드의 모형
러더퍼드의 실험 도해
러더퍼드의 원자 모형
안정되지 못한 러더퍼드의 원자 모형
러더퍼드(Ernest Rutherford, Baron Rutherford of Nelson)
러더포드 힐, 샤르도네
러더포드 힐, 메를로
러더포드 랜치 멜롯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