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융건릉 사적 제206호, 隆健陵
    아들의 무덤이다. 사도세자가 죽임을 당하기까지의 정황은 다소 복잡하다. 경종은 후사가 없는 데다 신병이 많아 후계자가 혼미에 빠져 있었다. 이때 노론의 4인방으로 불리는 김창집, 이건명, 이이명, 조태채 등의 주장에 따라 영조가 세제로 책봉된다. 그러자 소론 측에서는 시기상조론을 들고 일어나 노론의 4대신을...
  • 신화통신사 新華通信社, Hsinhua
    중국의 다른 뉴스 매체와 마찬가지로 정부의 통제를 받으며 운영된다. 공공정책을 반영하거나 국가의 시책을 추진할 때는 정보가 공개된다. 이러한 원칙들은 1960년대 문화대혁명 기간에 더욱 엄격해져 무수한 중국의 언론인들이 이를 어겼다는 혐의로 투옥되었다. 그러나 10년 뒤 4인방이 몰락하자 상당히 완화되었다.
  • 런민르바오 인민일보, Renmin ribao
    게시판에 붙여놓는다. 논설은 정치와 문화, 공산주의 이론과 철학, 마르크스주의 경제학 등의 주제를 다룬다. 문화대혁명 시기에는 당대의 반지식인적 분위기가 논설에 반영되었다. 마오쩌둥[毛澤東]이 죽은 뒤에는 4인방의 활동을 폭로하고 마오쩌둥 후계자들의 실용주의 정책노선을 강조하는 논설이 주를 이루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마오쩌둥과 문화대혁명
    강력한 사회주의 국가 건설에 필요하다고 주장했지만, 여전히 강력한 중앙정부 권력을 선호하고 있음이 분명해졌다. 상하이의 급진주의자이며 이후에 4인방의 일원이 된 장춘차오[張春橋]와 야오원위안[姚文元]이 상하이 코뮌을 설립한 직후인 1967년 2월 마오를 방문했을 때 마오는 '우두머리'(지도자)를 철폐하라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완리 萬里, Wan Li
    시 당위 서기, 시 혁명위원회(약칭 혁위) 부주임, 국무원 철도부 장관 등을 역임했다. 1976년 톈안먼 사건[天安門事件]으로 다시 실각했으나, 장칭[江靑] 등 4인방(四人幇)이 실각하자 다시 복권되어 1977년 쑹페이장[宋佩璋]의 후임으로서 안후이 성[安徽省] 당위 제1서기, 혁위 주임으로 취임했다. 1977년 제11기 중앙...
    출생 :
    1916, 중국 산둥 성[山東省] 둥핑[東平]
    국적 :
    중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백남억 白南檍
    3·4공화국 시절(1963~77) 민주공화당 소속으로 6·7·8·9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1963년 당정책위원회 의장을 맡았으며 길재호·김진만·김성곤과 함께 이른바 '4인방'의 일원으로 민주공화당 내에서 커다란 영향력을 행사했다. 1969년 국회에서 야당이 제출한 오치성 내무부장관 해임 결의안에 찬성하는 항명파동에...
    출생 :
    1914. 11. 11, 경북 김천
    사망 :
    2001. 1. 15, 서울
    국적 :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캉성 K'ang Sheng
    본명은 자오룽[趙容]. 문화대혁명(1966~76)중 막강한 권력을 휘두른 4인방 가운데 한 사람이었다. 대부분의 중국공산당 지도자들이 빈민 출신이었으나 캉성은 대지주 집안에서 태어났다. 상하이[上海]에서 서구식 교육을 받고 1920년대초 중국공산당에 가입했다. 노동자 조직가로서 소요사태에서 여러 번 노동자들을...
    출생 :
    1899, 중국 산둥 성[山東省] 주청[諸城]
    사망 :
    1975. 12. 16, 베이징[北京]
    국적 :
    중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웨이궈칭 韋國淸, Wei Kuoch'ing
    상무위원회 부위원장, 1981년 중앙군사위원회 책임자가 되었다. 1982년 9월 군총정치부 주임에서 해임되었고, 이어 당중앙위원, 중앙정치국 위원이 되었다. 4인방 실각 후 쉬스유[許世友]에게 덩샤오핑[鄧小平]의 복권을 강력히 주장했으나, 그의 극좌적 경향 때문에 덩샤오핑과는 대립이 있었다고 한다. 1985년 당중앙...
    출생 :
    1913, 중국 광시 성[廣西省] 둥란[東蘭]
    국적 :
    중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샤오쥔 蕭軍, Hsiao Chun
    으로 갔지만 공산당에 대해서는 비판적 태도를 취했고 전쟁 이후 소련군의 진주에도 반대했다. 이때문에 비판을 받고 한동안 문필활동을 하지 못하다가 '4인방'이 추방된 후부터 다시 활동을 시작했다. 작품으로 〈동행자 同行者〉(1936)·〈제3대 第三代〉(1936)·〈5월의 광산 五月的鑛山〉(1954)·〈과거의 시대 過去...
    출생 :
    1907, 랴오닝 성[遼寧省] 이 현[義縣]
    사망 :
    1988
    국적 :
    중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가
  • 이돈명 李敦明
    청계피복노조사건, 크리스천아카데미사건, 광주민주화운동 등 1970년대 이후 주요 시국사건에서 빠지지 않고 활약하며 황인철·조준희·홍성우와 함께 '4인방 인권변호사'라는 별칭을 얻었다. 5·3인천사태에 관련되어 수배 중이던 이부영 민주통일민중운동연합(민통련) 사무처장을 숨겨줬다는 이유로 1986년에 옥고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법률가
  • 중국공산당 제11회 전국대표대회 3차 중앙위원회 전체회의 中國共産黨第十一會全國代表大會三次..
    문제, 농업을 발전시키는 방침에 대해서도 각각 비판과 토론이 요구되었다. 중국공산당11회3중전회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의가 내려졌다. ① 기본적으로 '4인방' 운동에 대한 전면적인 비판을 전개하고 '계급투쟁을 강령으로 삼는다'라는 구호의 사용을 정지한다. 이는 사회주의 사회에 맞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1979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중국민주동맹 中國民主同盟, Democratic League of China
    정치강령으로 삼았다. 1966년 이후 문화대혁명 10년간 민맹은 활동을 정지당했고, 이 단체에 속한 많은 사람들이 혹독한 비판을 받았다. 장칭[江靑] 등의 4인방이 무너진 뒤인 1979년 10월 제4차 전국대표대회를 열고 전면적으로 활동을 재개했다. 또한 사업의 중점을 현대화 건설 방면의 지원으로 전환했다. 1983...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이전페이지 없음 1 2 현재페이지3 4 5 6 7 8 9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