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이재선의 모역 안기영사건, 李載先─謀逆
    개항과 더불어 개화시책을 서둘렀다. 그런데 무분별한 국고 낭비, 악화되는 관기 문란, 대외개방의 혼선 등이 발생하면서 유림세력의 불만을 샀다. 마침내 황준헌(黃遵憲)의 『조선책략(朝鮮策略)』이 국내에 반포되면서 유생들의 격렬한 척사위정상소가 계속 이어졌다. 이른바 신사척사상소운동이 격화되면서 민씨정권...
    시대 :
    근대
    발생 :
    1881년 9월 13일
    성격 :
    반란, 모역(역모)
    유형 :
    사건
    종결 :
    1881년 9월 20일
    분야 :
    역사/근대사
    관련 인물/단체 :
    안기영, 권정호, 이재선
    관련 장소 :
    경기도 감시
  • 나암수록 수록, 羅巖隨錄
    의 사실, 최익현(崔益鉉) 등의 흥선대원군 탄핵과 흥선대원군의 퇴진 등이 실려 있다. 또, 운양호사건과 강화도조약, 수신사 김홍집(金弘集)이 가지고 온 황준헌(黃遵憲)의 『조선책략(朝鮮策略)』으로 인해 빚어진 문제, 임오군란·갑신정변·동학란·갑오개혁·을미사변과 의병의 봉기, 단발령 고시, 독립협회의 조직...
    시대 :
    근대
    저작자 :
    박주대
    창작/발표시기 :
    조선 후기
    성격 :
    역사서, 야사집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권 4책
    간행/발행 :
    국사편찬위원회(1980 『한국사료총서』27호로 간행)
    분야 :
    역사/근대사
    소장/전승 :
    박정로(개인소장)
  • 이원일 경원(景元), 李源逸
    올려 줌)되었다. 1880년 성균관대사성에 등용된 뒤 이듬해 이조참의·사간원대사간 등을 역임하였다. 대사간 재임시 수신사 김홍집(金弘集)이 일본에서 황준헌(黃遵憲)의 『조선책략(朝鮮策略)』을 들여오자, 유생들이 이에 반발하여 상소를 통해 위정척사운동을 벌여 나갔다. 그런데 영남유생 중 이만손(李晩孫)의 상소...
    시대 :
    근대
    출생 :
    1842년(헌종 8)
    사망 :
    미상
    경력 :
    성균관대사성, 이조참의, 사간원대사간, 궁내부특진관
    유형 :
    인물
    직업 :
    관료
    성별 :
    분야 :
    역사/근대사
    본관 :
    경기도 용인
  • 홍재학 문숙(聞叔), 洪在鶴
    이 일을 계기로 척사 의식(斥邪意識)이 더욱 강해져 1881년의 신사척사운동(辛巳斥邪運動)에 앞장서게 된다. 1880년 일본에서 돌아온 수신사 김홍집(金弘集)이 황준헌(黃遵憲)이 지은 『조선책략(朝鮮策略)』을 고종에게 올려 이에 대한 찬반론이 대두하게 되었다. 당시 조정은 개화정책을 강화, 추진하기 위해 『조선...
    시대 :
    근대
    출생 :
    1848년(헌종 14)
    사망 :
    1881년(고종 18)
    유형 :
    인물
    관련 사건 :
    신사척사운동
    직업 :
    학자, 애국지사
    성별 :
    분야 :
    역사/근대사
    본관 :
    남양(南陽: 지금의 경기도 화성)
  • 김총리유고 金總理遺稿
    주 가운데 「진면주(秦勉奏)」의 별지는 외국의 차관을 상환하기 위한 대책을 상주한 내용이다. 소는 대부분 사직 상소인데, 특히 일본으로부터 들여 온 황준헌(黃遵憲)의 『조선책략(朝鮮策略)』에 의해 발생한 반대상소에 대한 자신의 소신을 밝히고, 책임을 지고 사직할 것을 청한 내용이 있다. 당시 위정척사를 주장...
    시대 :
    근대
    저작자 :
    김홍집
    창작/발표시기 :
    조선 말기
    성격 :
    시문집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8책
    분야 :
    역사/근대사
    소장/전승 :
    국민대학교 도서관, 고려대학교 도서관
  • 박주종 산천(山泉), 朴周鍾
    주제별로 정리하였다. 또한 여러 성현과 송·명의 선유(先儒)들의 격언이나 지론을 자료로 삼은 격언집 『면학유감(勉學類鑑)』, 김홍집이 일본에서 가져온 황준헌(黃遵憲)의 『조선책략(朝鮮策略)』을 배척하는 『수양만설(修壤謾設)』을 편찬하였다. 이외에 그는 교감(矯監) 작업을 하였는데, 박손경의 『주서강록간...
    시대 :
    조선후기
    출생 :
    1813년(순조 13)
    사망 :
    1887년(고종 24)
    유형 :
    인물
    관련 사건 :
    삼정구폐책(三政救弊策), 서원철폐령
    직업 :
    유학자
    대표작 :
    동국통지(東國通志), 향약집설(鄕約集設), 면학유감(勉學類鑑), 수양만설(修壤謾設)
    성별 :
    남성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함양(咸陽)
  • 정재규 영오(英五), 鄭載圭
    당시는 국권이 서서히 일제의 손에 넘어가는 시기였던 만큼, 벼슬은 전혀 생각지도 못하고 저술과 후진 양성에 진력하였다. 1860년 김홍집(金弘集)이 청나라 황준헌(黃遵憲)의 『조선책략(朝鮮策略)』을 정부에 제출하고 개화를 주장하자, 이에 대하여 조선은 아직 약한 상태이므로 일시적인 고식책에 불과하다 하여...
    시대 :
    조선
    출생 :
    1843년
    사망 :
    1911년
    유형 :
    인물
    직업 :
    유학자
    대표작 :
    납량사의기의변, 외필변변, 노백헌집
    성별 :
    분야 :
    종교·철학/유교
    본관 :
    초계(草溪)
  • 조선책략
    《조선책략》(朝鮮策略)은 일본 주재 청나라 공사관의 참사관으로 있던 청국인 황준헌(黃遵憲, 황쭌센)이 1880년경에 저술한 외교문제를 다룬 외교 방략서이다. 원명은 《사의조선책략》(私擬朝鮮策略)이다. 이 책의 내용은 김홍집, 박영효 등이 공동으로 정리한 수신사일기 중 2권에 따로 내용이 정리되어 있다. 황준헌...
    도서 위키백과
  • 하여장 何如璋, 何如璋
    700명의 병사를 잃고, 마미선창이 함락당하자 책임을 지고 면직당했다. 이후 양광총독 이한장의 초청으로 한산서원(韓山書院)의 주강(主講)이 되었다. 《조선책략》을 만든 황준헌은 하여장이 주일 공사로 있을 때 그 밑에서 일한 참사관이었다. 청일수호조약 황준헌 - 하여장의 측근 양수경 - 하여장의 수행원 전거 통제
    도서 위키백과
  • 영남 만인소
    8월, 2차 수신사로 갔다온 김홍집이 일본에서 귀국하였는데, 일본에 있던중에 김홍집은 일본 주재 청나라 공사관의 참사관으로 있던 청국인 황준헌(黃遵憲, 황쭌셴)을 만나 황준헌이 지은 《조선책략》(私擬朝鮮策略)을 받아 이를 유포하였다. 《조선책략》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인용문 조선책략의 유포로 국왕...
    도서 위키백과
  • 수신사 Joseon Susinsa, 朝鮮修信使
    일본의 현저한 발전상을 보고 돌아와 세계 정세에 대한 관심을 보다 드높였다. 이때 김홍집은 주일청국 공사관의 참찬관으로 김홍집과의 회담 내용을 정리한 황준헌의 《조선책략》을 가지고 돌아왔다. 이로 인해 조선에서 개화파가 등용되고, 미국과의 통상에 대한 주장이 힘을 얻었다. 결국, 1882년 러시아와 일본을...
    도서 위키백과
  • 신사유람단을 1881년 일본시찰단으로
    권고에 따른 것이다. 이들 수신사 일행은 일본 당국의 안내를 받아 일본의 근대 문물제도를 시찰했다. 특히 김홍집은 일본 주재 청국 공사관의 참사관인 황준헌(黃遵憲)이 지은 『조선책략(朝鮮策略)』을 가져와 조선 정부에 소개했다. 그 중심 내용에는 조선의 외교노선, 특히 러시아의 남진을 저지하는 방안으로 중국...
이전페이지 없음 1 2 현재페이지3 4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건

황준헌(黃遵憲)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