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상태 (함수해석학) State (functional analysis)C* 대수 이론에서, 상태(狀態, 특정한 부등식을 만족시키는, 작용소 노름 1의 복소수 값 유계 작용소이다. 이는 대략 C* 대수를 비가환 공간으로 여겼을 때 일종의 “확률 측도”로 여길 수 있다. 양자역학의 밀도 행렬을 추상화한 개념이다. 겔판트-나이마르크-시걸 구성(Гельфанд-Наймарк-Segal構成...도서 위키백과
-
-
리우빌 정리 (복소해석학) Liouville's theorem (complex analy..복소해석학에서 리우빌 정리는 복소 평면 위의 유계 정칙 함수가 상수 함수라는 정리다. 리우빌 정리에 따르면, 복소 평면 \mathbb C 위의 함수 f\colon\mathbb C\to\mathbb C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f는 상수 함수이다. f는 (복소 평면 전체에서) 유계 정칙 함수이다. 리우빌 정리는 테일러 급수...도서 위키백과
-
현대 미적분학의 종류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구한다. 적분학 미분 방정식을 풀기 위해 적분과 그 활용을 다룬다. 또한 넓이와 부피를 구할 때도 사용된다. 기타 여러 해석학 벡터 · 텐서 · 복소 해석학, 미분기하학 같은 여러 유형의 해석학이 있다. 영어 단어 ‘calculus’는 계산을 다루는 임의의 수학 분야를 총괄하는 명칭이라는 사실을 명심하라. 따라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