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벨베데레궁전 상궁 클림트 걸작에 흠뻑 취하고 싶은 날
    사람들로 붐빈다. 빈에서 금세공사의 아들로 태어난 구스타프 클림트(Gustav Klimt, 1862~1918)는 동양적인 장식 양식을 바탕으로 추상화에도 관심을 가지며 템페라(계란이나 아교질, 벌꿀, 무화과나무의 수액 등을 용매로 하여 색채 가루인 안료와 섞어 물감을 만들고 이것으로 그린 그림), 금박, 은박, 수채를 함께...
    대륙 :
    유럽
    국가 :
    오스트리아
    소재지 :
    Prinz Eugen-Strasse 27, A-1030 Wien
    분야 :
    예술
    가는 법 :
    트램 D선 벨베데레궁전역 또는 지하철 남역 하차.
    사이트 :
    www.belvedere.at
    이용 시간 :
    매일 오전 10시~오후 6시(하궁의 경우 수요일은 오후 9시까지)
  • 톤도도니
    1504년 경 미켈란젤로가 그린 유일한 템페라 작품이다. 톤도는 둥근 메달을, 도니는 그림을 주문한 안젤로 도니(Angelo Doni)를 가리킨다. 이 작품은 안젤로 도니와 막델레나 스토로치의 결혼 축하 선물로 제작되었으며, 원래의 둥근 액자 그대로 보존되어 있어 우피치 박물관의 소장품 중 가장 귀한 미술품 중 하나이다...
    도서 다음백과
  • 토비 Mark Tobey
    서체와 같은 자국들로 이루어진 그물망을 형성하는 독특한 양식을 창조했다. 현대 미국 미술의 기준에서 볼 때는 규모가 작으며 기본적으로 수채화·템페라·파스텔 등을 정교하게 사용하여 화면을 차분하게 다듬은 점에서 당대 미술가들과 구별되며 오히려 돋보인다. 그의 그림에 나타나는 추상적 선의 전면적 구성은...
    출생 :
    1890. 12. 11, 미국 위스콘신 센터빌
    사망 :
    1976. 4. 24, 스위스 바젤
    국적 :
    미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화가
  • 첸니니 Cennino (di Drea) Cennini
    Il libro dell'arte〉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그는 회화가 인간이 하는 일 중에서 높은 수준에 속한다고 생각했는데, 그 이유는 손을 사용한 기술과 이론이나 상상력을 결합한 것이기 때문이다. 이 책에서 그는 처음으로 달걀을 사용하는 템페라 기법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이 책의 필사본 2권이 피렌체에 보관되어 있다.
    출생 :
    1370경, 피렌체 근처
    사망 :
    1440경, 피렌체
    국적 :
    이탈리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화가
  • 얀 반 에이크, 〈아르놀피니 부부의 초상화〉
    내셔널 갤러리에서 인기 있는 작품 중 하나로 손꼽히는 〈아르놀피니 부부의 초상화〉는 유화 작품이다. 달걀에 색안료를 섞어서 그리는 템페라나 벽에 회칠을 한 뒤 마르기 전에 얼른 물감을 입히는 프레스코화는 유화만큼 수정이 쉽지 않았다. 기름과 색안료를 섞어 그리는 유화는 이견이 있긴 하지만 대체로 플랑드르...
    저작자 :
    얀 반 에이크(Jan van Eyck, 1395~1441)
    제작시기 :
    1434년
  • 블레이크의 회화
    천하게 모방함으로써 영국의 물질주의적 지배자들에게 봉사한다고 여겨 그들을 싫어한 것은 이러한 맥락에서 이해해야 한다. 블레이크의 판화·수채화·템페라에 나오는 인물들은 물결 모양의 윤곽에서 느껴지는 율동적인 생동감, 위풍당당한 단순함을 지닌 특이한 형상, 극적인 효과와 독창성을 지닌 몸짓으로 유명하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가
  • 티치아노 베첼리오, 〈벤드라민 가족〉 외
    플랑드르인들이 유화를 발전시켰다면, 베네치아인들은 캔버스를 발전시켰다. 특히 티치아노 베첼리오(Tiziano Vecellio, 1490~1576)는 목판 위에 유화나 템페라로 그리던 일반적인 방법을 버리고 배의 돛을 만드는 데 쓰는 천을 나무 막대기에 고정하여 만든 캔버스 위에 그림을 그리곤 했다. 베네치아 화파의 대표격...
    저작자 :
    티치아노 베첼리오(Tiziano Vecellio, 1490~1576)
    제작시기 :
    〈벤드라민 가족〉 1540~1545년 제작〈시간의 알레고리〉 1565년경 제작
  • 성 모자와 성자
    중앙에 성모 마리아가 아기 예수를 안고 있고, 왼쪽에는 세례자 요한, 오른쪽에는 마리아 막달레나가 성모자를 호위하고 있다. 보티첼리 말기의 작품으로, 무지개 색조에 기초를 둔 보다 선명한 색조와 음양을 통해 입체적인 효과를 주었다. 캔버스에 템페라, 영국, 런던 영국국립미술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서양화 , 미술
  • 안드레아 델 베로키오와 레오나르도 다빈치, 〈예수 세례〉
    밀려드는 주문을 감당할 수 없어 작품을 제작하다가 자주 중단하곤 했는데, 이 작품 또한 베로키오가 1470년 계란이나 아교 등에 안료를 섞어 바르는 템페라 기법으로 그리다 중단한 것을 몇 년 뒤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유화로 수정하고 마감한 것이다. 베로키오가 물살의 흐름에 따라 살짝 굴절된 성인들의 발, 암석...
    저작자 :
    안드레아 델 베로키오(Andrea del Verrocchio, 1435~1488)와 레오나르도 다빈치(Leonardo da Vinci, 1452~1519)
    제작시기 :
    1470~1475년
  • 성 제노비오의 세 가지 기적 Three Miracles of Saint Zenobius
    이 연작의 특징은 이전 기법과는 다르게 일련의 장면들을 환상적으로 그렸다는 것이다. 제노비우스는 피렌체의 초대 주교였다. 목재 패널에 템페라로 그렸으며 크기는 67.3 x 150.5 cm. 미국 뉴욕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품
  • 레베론 Armando Reveron
    같은 몇몇 작품들에서 화폭 분위기는 추상에 가까웠다. 〈흰색 풍경〉은 회색이 도는 대지 위에 드러난 흰색의 자취들을 표현했다. 이 시기에 그는 때때로 템페라 물감으로 종이가방과 마자루에 그림을 그리는 등 다양한 소재들을 이용한 실험을 했다. 정신분열증을 비롯한 정신병은 평생토록 그를 괴롭혔으며, 1933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화가
  • 삼손과 데릴라 Samson and Delilah
    데릴라가 삼손을 재우고 힘의 근원인 머리카락을 자르는 장면을 그렸다. 사물의 색체를 최대한 배제해서 입체감이 돋보이게 한 그림이다. 린넨에 템페라, 36.8 x 47 cm, 런던 영국국립미술관 소장.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서양화 , 명화 , 미술
이전페이지 없음 1 2 현재페이지3 4 5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3건

템페라(tempera painting)
템페라연질캡슐
템페라연질캡슐
템페라, 1889, 21.5×15.8cm, 개인 소장
〈로테르담의 에라스무스〉, 목판에 템페라, 1523, 43×33cm, 스위스 바젤 국립 박물관
미켈란젤로, 〈그리스도의 매장〉, 1510년, 나무에 템페라, 159×149cm, 영국 런던 내셔널 갤러리
우첼로, 〈산로마노의 전투〉, 1436년, 패널에 템페라, 182×317cm, 영국 런던 내셔널 갤러리
보티첼리, 〈비너스의 탄생〉, 1486년, 캔버스에 템페라, 180×280cm, 이탈리아 피렌체 우피치 미술관
홀바인, 〈대사들〉, 1533년, 패널에 유채와 템페라, 207×209.5cm, 영국 런던 내셔널 갤러리
베로키오, 〈그리스도의 세례〉, 1472~75년, 나무에 템페라와 유채, 177×151cm, 이탈리아 피렌체 우피치 미술관
다 빈치, 〈최후의 만찬〉, 석고에 템페라와 유채, 1495~98년경, 460×880cm, 이탈리아 밀라노 성 마리아 성당
피에로 델라 프란체스카, 페데리고 다 몬테펠트로와 그의 아내 바티스타 스포르차(Federigo da Montefeltro & Battista Sforza), 목판 템페라, 1472년 이후, 피렌체 우피치 미술관
보티첼리, 〈네 천사와 여섯 성인과 함께 있는 성모자 _ 성 바르나바 사원〉, 1488년, 패널에 템페라, 167×195cm, 이탈리아 피렌체 우피치 미술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