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춘향전 (1971년 영화)
    영화 정보 춘향전은 1971년 공개된 대한민국의 영화이다. 신성일 : 이몽룡 역 문희 : 성춘향 역
    도서 위키백과
  • 춘향전연구 春香傳硏究
    발행하였고, 1976년에 개정증보판이 나왔다. 「판소리 발생고」·「삽입가요연구(揷入歌謠硏究)」를 비롯한 일련의 가요연구를 저변으로 이룩된 「춘향전」에 관한 연구서이다. 여기에서는 판소리 「춘향가」와 소설 「춘향전」의 관계를, 근원설화에서 판소리 한 마당으로, 다시 판소리 대본 및 판소리계 소설로의 정착...
    시대 :
    현대
    저작자 :
    김동욱(金東旭)
    창작/발표시기 :
    1965년
    성격 :
    학술서
    유형 :
    문헌
    간행/발행 :
    연세대학교 출판부
    분야 :
    문학/현대문학
  • 남원고사 춘향전(春香傳), 南原古詞
    긔ᄉᆞ 구월 념팔’로 되어 있어, 1864년(고종 1)에서 1869년 사이에 기록된 것으로 추정된다. 전체 분량이 약 10만 자 정도가 되므로, 20세기 이전의 「춘향전」으로서는 가장 장편이다. 그래서 완판(完板) 84장본 「열녀춘향수절가(烈女春香守節歌)」보다 약 30년이 앞서며, 작품의 양도 두 배 이상이 된다. 그 때문에...
    시대 :
    조선
    유형 :
    작품/문학
    분야 :
    문학/고전산문
  • 일설춘향전 一說春香傳
    구성 및 형식 『일설춘향전』은 이광수가 「춘향전」을 현대소설로 개작한 장편소설이다. 『동아일보』의 현상모집에 당선되어, 1925년 9월 30일부터 1926년 1월 3일까지 『동아일보』에 연재되었다. 1929년 한성도서주식회사에서 단행본으로 출판하면서 제목을 ‘일설춘향전’이라 하였다. 내용 『일설춘향전』은...
    시대 :
    근대
    유형 :
    작품/문학
    분야 :
    문학/현대문학
  • 한문연본춘향전 漢文演本春香傳
    개설 1권 1책. 필사본. 기존 국문본 「춘향전」을 순한문으로 개작한 것이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구성 및 형식 형식면에서는 중국의 「서상기(西廂記)」를 모방한 연희본(演戱本)이다. 저자는 원각사의 공연을 위하여 지었다고 밝히고 있으나 실제 공연 여부는 분명하지 않다. 전체 분량은 33장이다. 각 장은 24행, 각...
    시대 :
    근대
    저작자 :
    여규형
    성격 :
    한문소설, 희곡
    유형 :
    작품
    권수/책수 :
    1권 1책
    분야 :
    문학/한문학
    소장/전승 :
    규장각 도서
  • 현토 한문춘향전 懸吐 漢文春香傳
    발행자를 저작자와 같은 사람으로 표시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유철진이 아닌 다른 익명의 한문학자일 것으로 보인다. 내용 「현토한문춘향전」은 국문본 「춘향전」을 한문으로 번역한 것이다. 독자들의 편의를 위해 한글로 토를 달아놓았다. 첫머리는 “李翰林震元(이한림진원)은 相公思白之孫(상공사백지손)이오...
    유형 :
    작품
    분야 :
    문학/한문학
  • 고본춘향전 古本春香傳
    신문관(新文舘)에서 편수 겸 발행인 최창선(崔昌善)이라는 가명으로 출판하였는데, 최창선은 최남선으로 추정되고 있다. 내용 전체적인 줄거리는 다른 「춘향전」 이본들과 비슷하다. 특히 「남원고사(南原古詞)」를 저본(底本)으로 하고 여기에 경판본(京板本) 35장을 약간 참고하여 개작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
    시대 :
    근대
    저작자 :
    최남선
    창작/발표시기 :
    1913년
    성격 :
    개작소설
    유형 :
    작품
    분야 :
    문학/현대문학
  • 춘향전 속의 허구
    새로운 시각으로 고전을 읽으면 새로운 시야가 트인다 판소리 '춘향가'로 우리에게 익숙한 소설 《춘향전》은 그 속에 허구가 곳곳에 스며 있습니다. 그 가운데 두 가지만 찾아보겠습니다. 먼저 이도령이 과거에 장원급제하여 암행어사로 나간다는 대목입니다. 원래 과거에 급제하면 종9품 벼슬을 받고 장원급제를 하면...
  • 그림이 된 고소설, 춘향전
    춘향전도〉는 주로 20세기 이후에 그려진 듯한데, 명성 황후도 소장하였을 만큼 귀천을 가리지 않고 널리 퍼진 듯하다. 형태는 한 폭의 속화에서 6폭, 8폭 병풍까지 다양하다. 남원에서는 이 〈춘향전도〉를 사업화하여 병풍을 제작, 판매하고 있다. 〈춘향전도〉 속화의 형태는 다양한데 〈도상옥중화(圖像獄中花...
  • 현제명 玄濟明
    지금의 서울대학교 음악대학의 모체인 경성음악전문학교를 설립했다. 8·15해방 후 한민당 당원으로 정치활동을 하기도 했고, 1950년 한국 최초의 오페라 〈춘향전〉을 총지휘했으며, 1954년 고려교향악단을 조직했다. 1955년 마닐라 음악회의에 참석, 1958년 국제연합교육과학문화기구(UNESCO) 국제음악회의에 참석했다...
    출생 :
    1902, 경북 대구
    사망 :
    1960. 4, 서울
    국적 :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음악가
  • 「탈선 춘향전 脫線 春香傳
    [개설] 「탈선 춘향전」은 1948년에 부산에서 활동하던 소설가 겸 극작가였던 향파(向破) 이주홍(李周洪)[1906~1987]이 처음 쓴 희곡으로 1949년 동래중학교에서 초연하였다. 이후 1950년대와 1960년대 수산대학교를 비롯한 부산 지역의 각 대학에서 많이 공연되었다. 2006년 이주홍 탄생 100주년을 맞아 극단 연희단...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
    지역 :
    부산광역시
  • 탈선 춘향전 (드라마)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 정보 《탈선 춘향전》은 한국방송공사 1TV 특집드라마이다. 고전 춘향전을 코믹하게 재구성하여 그려낸 쇼드라마 극본 : 이재현 연출 : 박경식 김난영 나미 유지인 : 성춘향 역 이용 이주일 임동진 : 변학도 역 임희춘 한진희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1 2 현재페이지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32건

춘향전
춘향전
춘향전
춘향전
춘향전
춘향전
춘향전
춘향전
춘향전
춘향전
춘향전
춘향전
춘향전 / 김자경오페라단
춘향전 / 김자경오페라단
춘향전 / 김자경오페라단
춘향전 / 김자경오페라단
더보기